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산에는 꽃이 피네/야생화(초본)

구절초 九節草 Korean chrysanthemum

by 산산바다 2023. 10. 9.

산과바다

                  구절초 九節草 Korean chrysanthemum

                    2023. 10. 9. 담음

 

* 구절초는 우리나라 가을꽃을 대표하는 꽃으로 소박하고 토속적이고 정감이 넘치는 백의(白衣)의 꽃이다.

* 구절초는 구일초(九日草) 선모초(仙母草)라고도 하고 구절초라는 이름은 아홉 번 꺾이는 풀, 또는 음력 99일에 꺾는 풀이라는 뜻에서 유래 되었다는군요.

 

 

          구절초 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Maxim.) Kita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국화속(Chrysanthemum)

 

넓은잎구절초·구일초(九日草선모초(仙母草들국화·고뽕[苦蓬]이라고도 한다.

높은 지대의 능선에서 군락을 형성하여 자라지만, 들에서도 흔히 자란다.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산기슭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50cm 정도로 땅속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번식한다. 모양이 산구절초와 비슷하며 뿌리에 달린 잎과 밑부분의 잎은 1회깃꼴로 갈라진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밑부분이 편평하거나 심장 모양이며 윗부분 가장자리는 날개처럼 갈라진다.

꽃은 911월에 줄기 끝에 지름이 46cm의 연한 홍색 또는 흰색 두상화가 한 송이씩 핀다. 총포조각은 긴 타원형으로 갈색이다.

열매는 수과(瘦果여윈 열매. 모양이 작고 익어도 터지지 않으며 한 개의 씨를 가짐)로 씨는 10월에 익는다. 꽃을 술에 담가 먹는다.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재배한다. 한국·일본·중국·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 구절초는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으며, 재배도 가능하다. 구절초와 비슷한 산구절초 바위구절초 등도 민간 약재로 혼용되고 있다.

* 한국에서 흔히 들국화라고 하는 자생식물에는 구절초를 일컫는 것이 보통이나 감국, 산국, 쑥부쟁이, 개미취 등의 국화과 식물들을 총칭한다. 흔히 일반인이 들국화라고 부르지만 들국화라는 식물은 없다

* 생약 구절초는 줄기와 잎을 말린 것이며, 한방과 민간에서는 꽃이 달린 풀 전체를 치풍·부인병·위장병에 처방한다. 유사종인 산구절초·바위구절초 등도 약재로 쓴다.

 

 

* 국화속(Chrysanthemum) 14 : 가는잎감국, 감국, 구절초, 남구절초, 마키노국화, 바위구절초, 산구절초, 산국, 신창구절초, 울릉국화, 이화구절초, 포천구절초, 한라구절초, 흰감국 등

 

* 국화속에는 한국의 자생식물이 없고, 대부분 동아시아, 그중에서도 중국에 많이 자생한다. 흔히 우리나라 자생식물인 구절초, 감국 종류를 산국속(Dendranthema)으로 분류하여 표기되는데 이는 잘못된 표기이다. 수십 년 전 분류학자들에 의해, 지금보다 더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던 국화속을 여러속으로 가르게 되면서 구절초도 국화속이 아닌 산국속(Dendranthema)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다시 산국속이 국화속에 통합되면서 구절초, 감국 종류도 다시 국화속으로 돌아왔다.

* 구절초는 국화과 고유종이고, 산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의 변종으로 분류된다. 산구절초에 비해 식물체가 크다. 키도 크고, 잎도 크며, 꽃도 크다. 그런 까닭인지, 산구절초에 비해 서식 환경조건이 덜 험악한 곳에 산다.

 

* 구절초(23. 10. 6)    * 구절초(18. 10. 3)    * 구절초(17. 10. 5)    * 구절초(16. 10. 25)    * 구절초(14. 9. 12)

* 구절초(13. 10. 4)    * 구절초(13. 9. 25)    * 구절초(12. 9. 18)

 

* 산구절초(13. 11. 2)

 

* 산국(18. 10. 23)    * 산국(16. 10. 26)    * 산국(15. 11. 27)    * 산국(14. 10. 31)    * 산국(13. 10. 9)

* 산국(11. 10. 15)

 

* 감국(13. 10. 16)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