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定惠院海棠(정혜원해당)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28.

산과바다

海棠花(해당화)

蘇軾 詩 HOME

 

 

 

                     定惠院海棠(정혜원해당) : 소식(蘇軾)

                     정혜원의 해당화

                     (내가 살고있는 정혜원 동쪽 온 산에 뭇꽃들 핀 중에 해당화 한 그루가 있었는데,

                      그 고장 사람들은 그것의 귀중함을 모른다.)

原題寓居定惠院之東雜花滿山有海棠一株土人不知貴也(우거정혜원지동잡화만산유해당일주토인부지귀야) 이다.

 

江城地瘴蕃草木只有名花苦幽獨嫣然一笑竹籬間桃李滿山總麤俗也知造物有深意故遣佳人在空谷

自然富貴出天姿不待金盤薦華屋朱唇得酒暈生臉翠袖卷紗紅映肉林深霧暗曉光遲日暖風輕春睡足

雨中有淚亦悽愴月下無人更淸淑先生食飽無一事散步逍遙自捫腹不問人家與僧舍拄杖敲門看修竹

忽逢絶艶照衰朽嘆息無言揩病目陋邦何處得此花無乃好事移西蜀寸根千里不易到銜子飛來定鴻鵠

天涯流落俱可念爲飮一樽歌此曲明朝酒醒還獨來雪落紛紛哪忍觸

 

 

江城地瘴蕃草木 : 강성 땅은 습기가 많아 초목이 번성하는데

只有名花苦幽獨 : 오직 한 그루 이름난 꽃 있어 그윽한 외로움에 괴로워라.

嫣然一笑竹籬間 : 대 울타리 사이에서 방긋 한번 웃는데

桃李漫山總麤俗 : 산에 가득한 복숭아와 오얏꽃은 모두 속되다.

也知造物有深意 : 또한 조물주에게도 깊은 뜻이 있어

故遣佳人在空谷 : 그러므로 미인을 고요한 빈 골짜기로 보낸 것이네.

自然富貴出天姿 : 자연스러운 부귀한 모습 자연스런 자태의 표출이며

不待金盤薦華屋 : 금 화분에 담아 부귀한 집에 보내지는 것을 바라지도 않는다.

朱脣得酒暈生臉 : 붉은 입술이 술을 마시고 얼굴이 붉게 달아오르듯

翠袖卷紗紅映肉 : 푸른 소매 깁이 말려 붉은 살결이 드러나듯 하다.

林深雲暗曉光遲 : 숲이 깊고 구름이 어두워 새벽빛 들기 더디고

日暖風輕春睡足 : 빛은 따뜻하고 바람은 가벼워 봄 잠자기에 좋구나.

雨中有淚亦悽慘 : 빗속에 눈물 있어 또한 처참하고

月下無人更淸淑 : 달빛 아래 아무도 없으니 더욱 맑고 깨끗하다.

先生飽食無一事 : 선생은 배부르게 먹고 할 일도 없어

散步逍遙自捫腹 : 문을 나서 산보 하며 자기 배를 만진다.

不問人家與僧舍 : 그러나 인가나 절간을 가리지 않고

拄杖鼓門看脩竹 : 짚었던 지팡이로 문을 두드리고 긴 대나무를 바라본다.

忽逢絶艶照衰朽 : 갑자기 아름다운 꽃을 대하자 늙고 쇠퇴한 모습 비추어져

歎息無言揩病目 : 말없이 탄식하며 병든 눈을 닦는다.

陋邦何處得此花 : 시골 마을 어느 곳에서 이 꽃을 얻었을까?

無乃好事移西蜀 : 고향 땅인 서촉(西蜀) 땅에서 옮겨온 것이 아닐까?

寸根千里不易到 : 한 치 나무뿌리를 천 리길 옮겨오기 쉽지 않으니

銜子飛來定鴻鵠 : 틀림없이 기러기나 고니가 씨를 물고 날아왔을 것이다.

天涯流落俱可念 : 하늘 멀리 떠나있어 서로 동정할 수 있느니

爲飮一樽歌此曲 : 한잔 술을 마시며 이 노래를 부른다.

明朝酒醒還獨來 : 내일 아침 술이 깨어 또 혼자 오면

雪落紛紛那忍觸 : 눈처럼 꽃잎이 지리니 어찌 만져볼 수나 있으랴.

 

 

* 이 시는 소동파가 황주(黃州)로 좌천되어 정혜원(定惠院)에 우거(寓居)하면서 지은 것이다. 해당화(海棠花)는 동파의 고향인 서촉(西蜀)에서 나는 꽃으로, 산야에 만발한 도리화(桃李花)와는 달리 세속에서는 보기 드문 꽃이다. 동파는 이 꽃을 자신에게 비유하여 자신의 청절(淸絶)함과 현재의 불우한 처지를 읊었다

 

* 定慧院(정혜원) : 黃州(황주)에 있다.

* 海棠花(해당화)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관목이다. 흔히 매괴(玫瑰)라고 부르기도 한다.

* () : 습하고 더운 땅

* () : 우거지다

* () : 싱긋 웃다

* 麤俗(추속) : 더럽고 지저분한 풍속

* () : 둥근 테 모양의 빛

* () :

* () : 머금다

* 鴻鵠(홍곡) : 기러기와 고니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