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有以官法酒見餉者因用前韻求述古爲移廚飮湖上(유이관법주견향자인용전운구술고위이주음호상)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18.

산과바다

서호(西湖)

蘇軾 詩 HOME

 

 

 

有以官法酒見餉者因用前韻求述古爲移廚飮湖上(유이관법주견향자인용전운구술고위이주음호상) : 소식(蘇軾)

관부에서 빚은 술을 가져온 사람이 있어서 술고에게 주방을 호수로 옮겨보자 청하는 시를 앞에 썼던 운으로 짓다

 

喜逢門外白衣人欲膾湖中赤玉鱗遊舫已妝吳榜穩舞衫初試越羅新

欲將漁釣追黃帽未要靴刀抹絳巾芳意十分強半在為君先踏水邊春

 

 

喜逢門外白衣人(희봉문외백의인) : 술 가져온 이 문 밖에서 기분 좋게 만난 뒤에

欲膾湖中赤玉鱗(욕회호중적옥린) : 서호에서 잉어 잡아 회를 뜨고 싶어져서

遊舫已妝吳榜穩(유방이장오방온) : 오나라 사공에게 놀잇배 단장 마쳐두었고

舞衫初試越羅新(무삼초시월라신) : 무희들에게 월나라 비단옷 입히기로 했네.

欲將漁釣追黃帽(욕장어조추황모) : 고기 잡을 낚싯대 챙겨 어부 따라가려면

未要靴刀抹絳巾(미요화도말강건) : 가죽신과 칼과 두건 챙길 필요 없을 테고

芳意十分强半在(방의십분강반재) : 꽃 피는 봄기운도 반이 넘게 남아 있으니

爲君先踏水邊春(위군선답수변춘) : 사군 위해 봄날 물가 먼저 다녀오겠네.

 

 

* 法酒 : 관청에서 규정한 양조법에 따라 빚은 술을 가리킨다.

* 述古 : 당시 항주태수에서 남도(南都 오늘날 허난 상쵸우商丘)태수로 옮겼던 진양(陳襄 1017~1080)

* : 서호(西湖)를 가리킨다.

* 白衣人 : ()나라 때 강주자사(江州刺史) 왕홍(王弘)이 중양절에 도연명에게 술을 보내 마시게 해준 것을 가리킨다. ‘淵明귀거래사歸去來辭를 지은 도잠陶潛을 가리킨다. ‘白衣는 일반적으로 관청에 속한 하급관리 또는 관리가 시키는 일을 하는 하인을 가리킨다. ‘白衣白衣送酒의 의미로 쓰기도 한다. 단도란檀道鸞속진양추續晉陽秋에서 陶潛九月九日無酒, 於宅邊東籬下菊叢中摘盈把, 坐其側, 未幾, 望見白衣人至, 乃王弘送酒也, 卽便就酌, 醉而後歸(도연명이 중양절에 마실 술이 없어 동쪽 울타리에 피어 있는 국화꽃을 따다가 옆에 앉아 쉬고 있었는데, 멀리서 흰옷 입은 사람이 오는 게 보이더니 강주자사 왕홍이 보내는 술을 가져온 사람이라 그 자리에서 바로 술을 마시고 취한 뒤에 집으로 돌아갔다).’라고 했다.

소식은 章質夫送酒六壺書至而酒不達戱作小詩問之란 시에서도 白衣送酒舞淵明, 急掃風軒洗破觥(관청에서 술을 보내 도연명을 춤추게 했듯 / 누추한 집 쓸어내고 깨진 항아리 씻었네)’이라고 했다.

* : 활어(活魚) 또는 선어(鮮魚)의 살을 얇게 저민 익히지 않은 살을 가리킨다.

* 遊舫(유방)은 놀잇배를, ‘舞衫은 춤을 추는 무희(舞姬)들이 입는 얇고 가벼운 옷을 가리킨다.

* : . 노를 젓다. ‘은 각각 확실하게새롭게의 뜻

* 黃帽(황모) : 노란색 관모(冠帽)를 쓴 선부(船夫)

* 未要靴刀抹絳巾 : ‘靴刀抹絳巾은 전투에 대비하여 가죽신을 신고 칼과 활을 들고 머리에 붉은 띠를 두른 무장의 복색을 가리킨다.

 

동파가 항주통판으로 있던 희녕(熙寧) 6(1073), 당시의 지항주(知杭州) 진양陳襄(자 술고述古)과 수창酬唱한 작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