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和蔡準郎中見邀遊西湖三首(화채준낭중견요유서호삼수)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15.

산과바다

西湖(서호)
西湖(서호)

蘇軾 詩 HOME

 

 

 

          和蔡準郎中見邀遊西湖三首(화채준낭중견요유서호삼수) : 소식(蘇軾)

          낭중 채준이 서호를 유람하다 쓴 시에 대한 화답시 3

 

 

夏潦漲湖深更幽西風落木芙蓉秋飛雪暗天雲拂地新蒲出水柳映洲

湖上四時看不足惟有人生飄若浮解顏一笑豈易得主人有酒君應留

君不見錢塘宦遊客朝推囚暮決獄不因人喚何時休

 

城市不識江湖幽如與蟪蛄語春秋試令江湖處城市卻似麋鹿遊汀洲

高人無心無不可得坎且止乘流浮公卿故舊留不得遇所得意終年留

君不見拋官彭澤令琴無弦巾有酒醉欲眠時遣客休

 

田間決水鳴幽幽插秧未遍麥已秋相攜燒筍苦竹寺卻下踏藕荷花洲

船頭斫鮮細縷縷船尾炊玉香浮浮臨風飽食得甘寢肯使細故胸中留

君不見壯士憔悴時饑謀食渴謀飲功名有時無罷休

 

 

其一

夏潦漲湖深更幽(하료창호심갱유) : 여름 장마로 호숫물 불어나면 깊고 그윽해서 멋지고

西風落木芙蓉秋(서풍락목부용추) : 서풍에 낙엽 지고 부용꽃 피는 가을도 좋다네.

飛雪闇天雲拂地(비설암천운불지) : 눈발이 날려 하늘이 흐리고 구름이 땅을 스치다가

新蒲出水柳映洲(신포출수류영주) : 부들이 물 위로 머리 내밀고 버들이 섬에 모습을 비친다네.

湖上四時看不足(호상사시간부족) : 호숫가의 사철은 보고 또 보아도 성에 안 차고

惟有人生飄躍浮(유유인생표약부) : 오로지 우리네 인생만 물에 뜬 듯 표박하네.

解顔一笑豈易得(해안일소개역득) : 파안대소 한 번 하기 쉽지 않으니

主人有酒君應留(주인유주군응류) : 주인에게 술 있을 때 머물 러야 한다네.

君不見錢塘游宦客(군불견전당유환객) :그대는 보지 못하는가! 전당에서 벼슬 사는 이 나그네가

朝推囚, 暮決獄,(조추수, 모결옥) : 아침이면 심문하고, 저녁이면 판결함을?

不因人喚何時休(불인인환하시휴) : 그러니 남이 부를 때 아니면 언제 쉬어 보리

 

 

其二

城市不識江湖幽(성시불식강호유) : 도시는 강호의 그윽한 맛을 모르나니

如與蟪蛄語春秋(여여혜고어춘추) :매미에게 봄과 가을을 얘기하는 것 같으리라

試令江湖處城市(시령강호처성시) : 시험 삼아 강호를 도시 속에 놓아 보면

却似麋鹿游汀洲(각사미녹유정주) : 사슴이 물가에서 노는 것과 같으리라

高人無心無不可(고인무심무불가) : 고인은 무심하여 못 할 일이 없는 법이고

得坎且止乘流浮(득감차지승류부) : 웅덩이를 만나면 잠시 머물러 물결을 타고 떠다닌다네.

公卿故舊留不得(공경고구류부득) : 공경도 옛 친구도 붙잡아 둘 수는 없지마는

遇所得意終年留(우소득의종년류) : 마음 맞는 것 만나면 내내 거기에 머문다네.

君不見抛官彭澤令(군불견포관팽택령) :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벼슬을 버린 팽택령이

琴無絃, 巾有酒,(금무현, 건유주) : 거문고에 줄이 없고 두건에는 술이 묻는 채

醉欲眠時遺客休(취욕면시유객휴) : 취하여 잠이 오면 손님을 돌려보내는걸?

 

 

其三

田間決水鳴幽幽(전간결수명유유) : 논 사이에 물꼬를 터 물소리가 졸졸졸

揷秧未遍麥已秋(삽앙미편맥이추) : 모내기는 덜 끝났고 보리는 다 거두었네.

相攜燒筍苦竹寺(상휴소순고죽사) : 대나무 우거진 절에서 함께 죽순을 삶아 먹고

却下踏藕荷花洲(각하답우하화주) : 연꽃 핀섬에 가서 연뿌리를 밟아 더듬는다네.

船頭斫鮮細縷縷(선두작선세누루) : 이물에서 얇게 날고기를 자르고

船尾炊玉香浮浮(선미취옥향부부) : 고물(船尾)에서 향긋하게 옥을 삶네.

臨風飽食得甘寢(임풍포식득감침) : 바람맞으며 실컷 먹고 단잠도 잘 수 있나니

肯使細故胸中留(긍사세고흉중류) : 잡다란 일이야 가슴속에 머물러 있게 하리라

君不見壯憔悴時(군불견장초췌시) : 그대는 보지 못했는가! 장사가 초췌한 때를

飢謀食, 渴謀飮,(기모식, 갈모음) : 배고프면 밥을 찾고, 목마르면 물을 찾으며,

功名有時無罷休(공명유시무파휴) : 공명이란 때가 있는 법 포기하지 않는다네.

 

 

동파가 항주통판杭州通判으로 있던 희녕熙寧 5(1072) 작이다.

 

* 夏潦 : 여름철에 오랫동안 내린 비로 홍수가 나는 것을 가리킨다.

* 出水 : 물 위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가리킨다.

* 西湖 : 같은 지명을 가진 곳이 많지만 여기서는 항주성 서쪽에 있는 명승지 전당호(錢塘湖)를 가리킨다. 명성호(明聖湖)라고도 한다. 소제춘효(蘇堤春曉), 곡원풍하(曲院風荷), 평호추월(平湖秋月), 단교잔설(斷橋殘雪), 유랑문앵(柳浪聞鶯), 화항관어(花港觀魚), 뇌봉석조(雷峰夕照), 쌍봉삽운(雙峰揷雲), 남병만종(南屛晩鐘), 삼담인월(三潭印月) 등을 십처경승(十處景勝)으로 꼽는다.

* 芙蓉: 목부용(木芙蓉)을 가리킨다. 가을에 희거나 붉은 꽃이 핀다. 관상용이지만 약재로도 쓴다. 연꽃을 이르기도 한다.

* 初日 : 막 떠오른 해()를 가리킨다..

* 出水: 물 위로 모습을 드러내는 것을 가리킨다. 백거이白居易因夢得題公垂所寄蠟燭因寄公垂란 시에서 照梁初日光相似, 出水新蓮艶不如(아침햇빛 대들보를 비추듯 밝아 / 새로 핀 연꽃도 고운 얼굴 무색해지네)’라고 했다.

* 解顔一笑 : 열자列子ㆍ황제皇帝중에서 自吾之事夫子友若人也, 三年之後, 心不敢念是非, 口不敢言利害, 始得夫子一眄而已. 五年之後, 心庚念是非, 口庚言利害, 夫子始一解顔而笑(내가 스승님을 섬기고 백고자와 같은 사람을 벗으로 삼은 지 삼 년 후부터는 마음으로 감히 옳고 그른 것을 생각하지 않았고, 입으로는 감히 이로운 것과 해로운 것을 말하지 않게 되자 비로소 스승님께서 나를 한 번 돌아보셨을 뿐이다. 이 년이 더 지나고 나서는 마음으로 다시 옳고 그른 것을 생각하였고, 입으로는 이로움과 해로움을 말하게 되자 스승님께서 그때야 얼굴을 활짝 펴시고 웃어주셨다).’라고 했다.

* 宦客(환객) : 벼슬길에 올라 임지(任地) 따라 떠도는 것을 가리킨다.

* 追囚決獄 : 죄인을 심문하고 송사를 판결하는 것을 가리킨다. 백거이(白居易)山枇杷花二首(其二)란 시에서 若使此花兼解語, 追囚御史定違程(이 꽃에게 말이라도 알아듣게 한다면 / 죄인 다루는 어사의 일정 그르치겠네)’이라고 했다.

* 채준(蔡準) [?~?]

북송(北宋) 때 대신이자 시인으로 흥화부(興化府) 선유현(仙遊縣)(현재의 푸젠福建 보전莆田) 사람이다. 경우(景祐) 원년(1034)에 진사가 되었고 저작좌랑을 시작으로 벼슬이 시랑(侍郞)에 이르렀다. 아들 경()은 재상이 되었다. 소식(蘇軾)과 서호를 유람하며 시를 주고받았다. 사후에 태사(太師)가 추증되었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