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자영노신시제가속(自詠老身示諸家屬) - 백거이(白居易)
식솔들에게 보이려고 읊어보는 늙은이의 시
壽及七十五(수급칠십오) : 살다 보니 나이가 일흔다섯 되었고
俸霑五十千(봉점오십천) : 이 나이에 녹봉도 오만 전을 받으며
夫妻偕老日(부처해로일) : 부부가 지금까지 함께 살아 있고
甥侄聚居年(생질취거년) : 조카들까지 한 집에 모여 살고 있네.
粥美嘗新米(죽미상신미) : 햅쌀로 지은 것은 죽도 맛이 있고
袍溫換故綿(포온환고면) : 오래된 솜 갈아 넣은 옷들도 따뜻하며
家居雖濩落(가거수호락) : 찾아오는 사람 없어 집은 조용하지만
眷屬幸團圓(권속행단원) : 식구들 모두 모여 사니 다행이로다.
置榻素屛下(치탑소병하) : 소박한 병풍 아래 침상을 놓고
移爐靑帳前(이로청장전) : 푸른 휘장 앞으로 화로를 옮겨
書聽孫子讀(서청손자독) : 손자 녀석 책 읽는 소리를 듣고
湯看侍兒煎(탕간시아전) : 어린 종 차 달이는 모습을 보네.
走筆還詩債(주필환시채) : 때때로 붓을 들어 밀린 시를 짓고
抽衣當藥錢(추의당약전) : 입던 옷 꺼내 약값으로 대신 치르며
支分閑事了(지분한사료) : 바쁘지 않은 일들도 나눠 하다가
爬背向陽眠(파배향양면) : 등 긁으며 양지 향해 잠을 청하네.
* 十千 : 일만(一萬).
* 濩落 : 원래는 벼슬에서 물러나 한가로이 지내는 것을 가리키는 말에서 나중에는 뜻을 얻지 못하고 쓸쓸하게 지내는 것을 가리키는 말로도 쓰였다.
* 置榻 : 현자를 예우하는 것.
* 素屛 : 채색되지 않은 검소한 흑백병풍.
* 詩債 : 다른 사람에게 요청을 받았거나 아직 답을 하지 못해 빚처럼 남은 시를 말한다.
백거이는 「晩春欲携酒尋沈四著作先以六韻寄之」란 시에서도 ‘顧我酒狂久, 負君詩債多(돌아보니 술에 빠져 지낸 날이 많아서 / 그대에게 빚진 시가 한두 편이 아니네)’라고 했다.
* 支分 : 처치하다. 안배하다.
첫 구절에서 ‘壽及七十五’라고 한 것을 보면 임종을 앞두고 쓴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구절 중 ‘五十千’의 단위로는 ‘전錢’을 붙였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樂天 白居易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답우문(答友問)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24 |
---|---|
취음선생전(醉吟先生傳)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24 |
노병상잉이시자해(老病相仍以詩自解)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24 |
숙동려관(宿桐廬館)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24 |
조촌행화(趙村杏花)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