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樂天 白居易 詩

재가출가(在家出家) - 백거이(白居易)

by 산산바다 2021. 2. 20.

산과바다

結跏趺坐

白居易 詩 HOME

 

 

 

           재가출가(在家出家) - 백거이(白居易)

           집에 있으며 출가(出家)하다

 

 

衣食支吾婚嫁畢(의식지오혼가필) : 옷과 밥 의지하던 혼인이란 걸 끝냈으니

從今家事不相仍(종금가사불상잉) : 이제부터 집안일 전과 같지 않을 테고

夜眠身是投林鳥(야면신시투림조) : 밤에는 짐승처럼 숲 속에서 잠을 자고

朝飯心同乞食僧(조반심동걸식승) : 아침 먹는 마음은 비구들과 같겠구나.

淸唳數聲松下鶴(청려수성송하학) : 소나무 밑에서 학들이 맑은 소리로 울고 있고

寒光一点竹間燈(한광일점죽간등) : 대숲 속 등불 하나 서늘한 빛으로 비치는데

中宵入定跏趺坐(중소입정가부좌) : 깊은 밤 가부좌 틀고 참선삼매 즐기느라

女喚妻呼多不應(여환처호다불응) : 밖에서 부르는 여인들 소리도 듣지 못하네.

 

 

* 支吾(지오) : 대처하다. 대항하다. 해결하다. 해치우다. ‘支捂로 쓰기도 한다.

* 相仍(상잉) : 상례를 좇다. 여전히. 변함없이.

* 投林(투림) : 산짐승이나 날것들이 숲 속에 있는 잠자리로 돌아가는 것을 가리킨다. (어떤 곳에) 몸을 깃들이거나 귀은(歸隱)을 가리키기도 한다.

* 乞食僧(걸식승) : 산스크리트 비쿠(bhiksu)를 음역한 비구比丘의 의역意譯으로, ‘밥을 빌어먹는 수행자란 뜻의 걸사(乞士)로 쓰기도 한다. 대지도론大智度論에서는 비구를 乞士, 破煩惱, 出家人, 淨持戒, 怖魔등 다섯 가지 뜻으로 번역하고 있다.

* 淸唳(청려) : 학이 우는 소리를 가리킨다.

* 寒光(한광) : 보는 사람에게 서늘한 기운을 느끼게 하는 빛을 가리킨다.

* 入定(입정) : 참선할 때 잡념 없이 마음이 한 곳에 집중해 있는 것을 가리킨다.

* 跏趺坐(가부좌) : 참선할 때의 좌법(坐法)으로 두 발을 교차하여 좌우 넓적다리 위로 올리는 것을 전가좌(全跏坐)라 하고, 좌우 어느 한쪽 발만 반대쪽 넓적다리 위에 올리는 것을 반가좌(半跏坐)라 한다.

 

제목이 재가출가인 것을 감안하여 첫 구절에 나오는 혼가필(婚嫁畢)’을 혼인이나 이혼, 또는 사별의 뜻이 아닌 부부생활의 종결의 의미로 새겨 읽었다.

나이가 변수로 작용했을 수는 있겠지만 인간의 욕망이 신체의 노쇠와 함께 수그러드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백거이가 살고 있는 집을 향산사라는 절 이름으로 바꿔 불렀을 만큼 도량에서 수행에 전념하는 출가자들처럼 살아보고 싶었을 것으로 여겨졌기 때문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