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화곽사군제구기(和郭使君題枸杞) - 백거이(白居易)
「구기자」 시를 지어 곽사군에게 답하다
「枸杞寄郭使君」이란 제목으로도 전한다
山陽太守政嚴明(산음태수정엄명) : 산양 태수의 정사가 엄격하고 분명해서
吏靜人安無犬驚(이정인안무견경) : 관민이 함께 편안하고 개들도 놀랄 일 없었는데
不知靈藥根成狗(부지영약근성구) : 영약의 뿌리가 개 된다는 걸 뒤늦게 알고 보니
怪得時聞吠夜聲(괴득시문폐야성) : 이상도 하여라 밤만 되면 개 짖는 소리가 들려오네.
* 山陽(산양) : 지명. 한(漢)나라 때 설치한 지명으로 하남군(河南郡)에 속한다. 위진(魏晉) 때 혜강(嵇康), 향수(向秀) 등이 이곳 죽림(竹林)에서 놀았다고 전해진다. 인품이 고상한 사람들이 모이는 곳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도 한다. ‘山陰’으로 쓴 자료도 있다.
* 嚴明(엄명) : 상벌(賞罰) 집행이 엄격하고 분명한 것을 가리킨다.
* 吏靜(이정) : ‘吏’를 ‘夜’로 쓴 자료도 있다.
* 구기(枸杞)나무와 관련된 여러 가지 전설 중에 이 시처럼 개와 관련된 전설은 오대(五代) 시기에 쓰여 진 《속선전續仙傳》에 전한다.
어느 날, 주씨(朱氏) 성을 가진 선비가 길을 가다가 강아지 두 마리가 시냇가에 있는 구기나무 숲 속으로 들어가는 것을 보고 숲 속으로 따라 들어갔지만 강아지들은 보이지 않고 구기나무 뿌리 밑이 파여져 있는 것을 보게 되었는데 땅을 파 보았더니 나무의 뿌리가 조금 전에 본 강아지들을 닮아 있었다.
신기한 생각에 뿌리를 캐서 집으로 돌아와 달여 먹은 다음날, 몸이 가벼워지고 생각이 맑아졌으며 귀까지 밝아진 것 같은 느낌이 들었는데 나이가 팔십에 이르러서도 늙은 모습이 얼굴에 나타나지 않았다고 전한다.
* 약재에 대해 싣고 있는 자료들에서는 구기나무에 대해 아래와 같이 적고 있다.
春采枸杞葉, 名天精草; 夏采花, 名長生草; 秋采子, 名枸杞子; 冬采根, 名地骨皮.
봄에 따는 잎은 천정초라 하고, 여름에 따는 꽃은 장생초라 하며,
가을에 따는 열매는 구기자라 하고, 겨울에 캐는 뿌리는 지골피라 하는데
不僅每部分都有名字, 可入藥, 而且功能是耐老.
모든 부위마다 이름이 있을 뿐만 아니라 모두 약재로도 쓰이는데
하나같이 그 효능은 노화를 막는다는 것이다.
《본초강목本草綱目》 중에서
枸杞久服能堅筋骨, 耐寒暑, 輕身不老, 乃中藥中之上品.
구기를 오랫동안 복용하면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하고
더위와 추위를 견딜 수 있게 하여 몸을 가볍게 하고 늙지 않게 하므로
한방약재 중에서도 상품으로 친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 중에서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樂天 白居易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가출가(在家出家)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20 |
---|---|
답객문항주(答客問杭州)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20 |
희제신재장미시위주질(戱題新栽薔薇時尉盩厔)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20 |
곡강감추이수(병서)曲江感秋二首(并序)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20 |
관사소정한망(官舍小亭閑望)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