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樂天 白居易 詩

묘시주(卯時酒) - 백거이(白居易)

by 산산바다 2021. 2. 16.

산과바다

白居易 詩 HOME

 

 

 

             묘시주(卯時酒) - 백거이(白居易)

             아침술

 

 

佛法贊醍醐(불법찬제호) : 불가에서는 부처의 성품을 제호에 빗대어 찬탄하고

仙方誇沆瀣(선방과항해) : 선가의 방사들 밤이슬을 신선의 음료라 자랑하지만

未如卯時酒(미여묘주시) : 술꾼들이 묘시에 마시는 아침술만 못하다네.

神速功力倍(신속공력배) : 신속한 공력이 제호항해의 몇 배나 되니

一杯置掌上(일배치장상) : 술 한 잔 채워서 손에 들고서

三咽入腹內(삼인입복내) : 세 모금으로 나누어 뱃속으로 흘려보내면

煦若春貫腸(후약춘관장) : 봄날의 따뜻한 기운 온 몸으로 퍼지고

暄如日炙背(훤여일자배) : 겨울날 따뜻한 햇볕을 등에 쬐는 것 같네

豈獨肢體暢(기독지체창) : 딱딱하게 굳어 있던 사지를 풀어주고

仍加志氣大(잉가지기대) : 정신적인 기력까지 넓고 크게 해줘서

當時遺形骸(당시유형해) : 몸에 남은 힘든 것들 남김없이 없애주고

竟日忘冠帶(경일망관대) : 온 종일 번잡했던 관청 일도 잊게 만들어

似游華胥國(사유화서국) : 꿈속에서 화서국을 유람하는 것 같고

疑反混元代(의반혼원대) : 천지개벽 시절로 돌아간 것처럼

一性旣完全(일성기완전) : 나의 본성 완전히 순수한 상태가 되고

萬機皆破碎(만기개파쇄) : 바쁜 일과 온갖 계교 형체도 없이 사라지네.

半醒思往來(반성사왕래) : 술이 조금 깬 중에도 생각들이 오가고

往來籲可怪(왕래우가괴) : 오가는 것마다 하나같이 괴상한 것들뿐인데

寵辱憂喜間(총욕우희간) : 영광과 치욕, 걱정과 즐거움 속에

惶惶二十載(황황이십재) : 불안해하며 보낸 세월 스무 해였네.

前年辭紫闥(전년사자달) : 작년에는 조정에 벼슬을 내려놨고

今歲抛皁蓋(금세포조개) : 올해는 자사 자리도 던져버렸네.

去矣魚返泉(거의어반천) : 떠날 때는 연못으로 돌아가는 고기 같아야 하고

超然蟬離蜕(초연선이태) : 미련 없이 허물을 벗어버리는 매미 같아야 하겠지

是非莫分別(시비막분별) : 옳은지 그른지를 가릴 일 없고

行止無疑碍(행지무의애) : 진퇴를 두고 고민해야 할 일 없어서

浩氣貯胸中(호기저흉중) : 바르고 크고 곧은 기운 가슴속에 그대로 있고

靑雲委身外(청운위신외) : 집착이 사라진 몸뚱이를 구름에게 맡겨버리네.

捫心私自語(문심사자어) : 가슴을 매만지며 혼잣말로 말해보는데

自語誰能會(자어수능회) : 나만 아는 이 말을 누구도 알아듣지 못할 것이네.

五十年來心(오십년래심) : 오십 년을 사는 동안 나의 마음이

未如今日泰(미여금일태) : 오늘처럼 편안한 때는 있어보지 못했는데

况玆杯中物(황자배중물) : 하물며 이렇게 좋은 술도 있으니

行坐長相對(행좌장상대) : 언제까지고 오랫동안 함께해야 하리라.

 

 

* 醍醐(제호) : 우유와 치즈를 거쳐 정제한 고대에 최상으로 여기던 음료를 가리킨다. 불가(佛家)에서는 이를 불성(佛性)에 빗대어 말한다.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성행품聖行品에서 從佛出生十二部經, 從十二部經出修多羅, 從修多羅出方等經, 從方等經出般若波羅蜜, 從般若波羅蜜出大涅槃, 猶如醍醐. 言醍醐者, 喩於佛性(부처에서 십이부경이 나오고 십이부경에서 수다라가 나오고 수다라에서 방등경이 나오고 방등경에서 반야바라밀경이 나오고 반야바라밀경에서 대열반경이 나왔으니 제호와 같다. 제호는 불성을 비유하여 말한 것이다).’이라고 했다.

* 沆瀣(항해) : 밤중에 내리는 이슬로 선인(仙人)들의 음료로 알려져 있다. 진귀한 음료를 가리키기도 한다.

* ()() : 따뜻한 것을 가리킨다.

* 炙背(자배) : 햇볕에 등을 쬐는 것.

혜강(嵇康)여산거원절교서與山巨源絶交書에서 野人有快炙背而美芹子者, 欲獻之至尊, 雖有區區之意, 亦已疏矣(시골에 사는 사람은 햇볕에 등을 쬐는 것을 기분 좋은 일로 여기고, 미나리를 맛있게 먹을 수 있는 것으로 여겨 임금님께 바치고 싶어 하지만, 그렇게 간절한 마음이 있다 하더라도 그것이 현실에 들어맞는 것은 아닙니다).’라고 하였다.

* 華胥國(화서국) : 태고에 황제(黃帝)가 꿈속에서 노닐었다는 낙원을 가리킨다. ‘華胥는 중국 상고시기 모계씨족의 걸출한 여족장의 이름이기도 하다. 복희(伏羲)와 여와(女娲)를 낳아 중화민족의 시조모로 여겨진다.

* 混元(혼원) : 천지개벽의 시기를 가리킨다.

* 萬機(만기) : 군왕이나 집정자가 날마다 처리해야 하는 온갖 정무를 가리킨다. 머리를 굴려야 하는 온갖 일을 가리키기도 한다.

* 寵辱(총욕)憂喜(우희) : 은총을 받는 것과 능욕을 당하는 것, 그리고 걱정스러운 것과 즐거운 것을 가리킨다.

* 惶惶(황황) : 불안해하며 지내다. 바쁘다. 분주하다.

* 紫闥(자달) : 궁정(宮廷). 조정(朝廷)

* 皁蓋(조개) : 고대에 관원들이 사용했던 검은색 해 가리개를 가리킨다.

* 捫心(문심) : 가슴을 어루만지다.

* 杯中物(배중물) : (). 도잠(陶潛)責子란 시에서 天運苟如此, 且進杯中物(하늘의 명운이 진실로 이와 같으니 / 술 한 잔 가득 부어 마실 수밖에)’이라고 했다.

* 行坐(행좌) : 길을 갈 때나 앉아 있을 때나. 언제나. 시종(始終).

 

이 시는 보력(寶曆) 2(836), 낙천이 소주(蘇州)에 있을 때 쓴 작품이다. 임명된 지 1년 만에 눈과 폐가 좋지 않아 벼슬을 내려놓은 뒤였다. 제목으로 쓴 卯時酒는 묘시卯時, 즉 아침에 마시는 술을 가리킨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