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樂天 白居易 詩

감고장복사제기(感故張僕射諸妓) - 백거이(白居易)

by 산산바다 2021. 2. 15.

산과바다

白居易 詩 HOME

 

 

 

          감고장복사제기(感故張僕射諸妓) - 백거이(白居易)

          죽은 장복야의 여인들을 생각하다가

 

 

黃金不惜買蛾眉(황금불석매아미) : 황금을 아끼지 않고 미녀들을 사들이고

揀得如花三四枝(간득여화삼사지) : 그 중에 꽃처럼 예쁜 여인 서넛 골라서

歌舞敎成心力盡(가무교성심력진) : 온갖 정성 기울여 노래와 춤을 가르쳤는데

一朝身去不相隨(일조신거불상수) : 꽃들은 하루아침에 떠난 임을 따르지 않네.

 

 

* 僕射(복사) : 한나라 때부터 있었던 관직으로 당송대(唐宋代)에는 좌우 두 명의 복야가 재상의 직을 수행하며 군무(軍務)를 관장하였다.

* 蛾眉(아미) : 누에나방의 더듬이처럼 가늘고 긴 눈썹을 뜻하는 것으로 미녀의 눈썹 또는 미녀를 가리킨다. 시경詩經위풍衛風석인碩人에서 螓首蛾眉, 巧笑倩兮(넓은 이마에 가늘고 기다란 눈썹 / 웃을 때는 입 꼬리에 예쁜 보조개)’라고 했다. 여기서는 복야 장음(張愔)의 애첩 관반반(關盼盼)을 가리킨다.

* 三四枝 : 여기에서 는 미녀를 가리킨다.

* 身去 : 죽다. 세상을 떠나다.

 

낙천이 교서랑이었던 정원(貞元) 말기에 서주로 유람을 갔을 때, 서주자사 장음이 마련해준 술자리에서 관반반이란 기녀를 만나 함께 술을 마셨는데, ‘술 취한 자태가 하도 고와서(醉嬌勝不得) 바람에 하늘대는 한 송이 모란꽃 같다(風裊牧丹花)’는 대구를 써줬을 만큼 재색을 겸비한 관반반은 당시 서주에서 명성을 날리던 기녀로 이후 장음의 애첩이 되었다.

 

이 시는 낙천이 강주(江州) 시절에 자신을 찾아온 사훈원외랑(司勳員外郎) 장중소(張仲素)에게 장음이 이미 세상을 떴고 관반반은 수절 중이라는 이야기를 듣고 쓴 것인데, 낭군이 죽으면 뒤를 따르는 것이 여인의 도리라고 생각했을지는 모르겠으나 장음이 세상을 뜬 뒤에 십 년 넘게 수절한 관반반은 낙천의 시를 보고 충격을 받았던지 낙천에게 아래와 같은 화답시를 남긴 뒤에 열흘 넘게 곡기를 끊은 끝에 세상을 떴다.

 

自守空樓斂恨眉(자수공루염한미) : 비어 있는 연자루를 시름 속에 지키며

形同春後牧丹枝(형동춘후목단지) : 봄 지나 시든 꽃처럼 살아왔더니

舍人不會人深意(사인불회인심의) : 사인께서는 사람의 깊은 맘도 모르고

訝道泉臺不相隨(아도천태불거수) : 죽은 낭군 따라가지 않았다고 말하네.

- 관반반(關盼盼)의 시 백공의 시에 화답하여(和白公詩)전문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