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樂天 白居易 詩

별주민(別州民) - 백거이(白居易)

by 산산바다 2021. 2. 15.

산과바다

팥배나무

白居易 詩 HOME

 

 

 

              별주민(別州民) - 백거이(白居易)

              항주의 백성들과 헤어지면서

 

 

耆老遮歸路(기로차귀로) : 나이든 노인들이 길을 막고서

壺漿滿別筵(호장만별연) : 이별의 술자리를 가득 채웠네.

甘棠無一樹(감당무일수) : 감당나무 한 그루 없는 곳인데

那得淚潸然(나득루산연) : 어찌하여 눈물은 흘러내리나

稅重多貧戶(세중다빈호) : 무거운 세금에 가난한 집 많고

農饑足旱田(농기족한전) : 밭 가물어 주린 농부 너무 많아서

唯留一湖水(유류일호수) : 물 채운 호수 하나 남겨두었네

與汝救凶年(여여구흉년) : 그대들을 흉년에서 구해보려고.

(今春增築錢塘湖堤, 貯水以防天旱, 故云.)

(올 봄에 전당호 둑을 증축하여 가뭄을 방지할 물을 채울 수 있게 되어 한 말이다.)

 

 

* 遮歸路 : 가는 길을 막다.

* 壺漿 : 술을 가리킨다. 찻물을 가리킨다.

* 甘棠(감당) : 팥배나무를 가리킨다. 열매는 팥과 같이 생겼고 꽃은 배꽃 같이 생겨 팥배나무라 한단다.

 

‘감당지애(甘棠之愛)’란 옛말이 있다. 중국의 《사기》 연세가(燕世家)에 보면 주나라 초기의 재상 소공(召公)이 임금의 명으로 산시(陜西)를 다스릴 때, 선정을 베풀어 백성들의 사랑과 존경을 한 몸에 받았다고 한다. 귀족에서부터 일반 백성들에 이르기까지 적절하게 일을 맡김으로써 먹고 살기에 부족함이 없도록 했다.

그는 지방을 순시할 때마다 감당나무 아래에서 송사를 판결하거나 정사를 처리하며 앉아서 쉬기도 했다.

그래서 소공이 죽자 백성들은 그의 치적을 사모하여 감당나무를 귀중하게 돌보았으며 ‘감당(甘棠)’이란 시를 지어 그의 공덕을 노래했는데, 《시경》 〈소남〉 〈감당〉 편에 그 내용이 실려 있다.

 

우거진 감당나무 자르지도 베지도 마소
소백님이 멈추셨던 곳이니
우거진 감당나무 자르지도 꺾지도 마소
소백님이 쉬셨던 곳이니
우거진 감당나무 자르지도 휘지도 마소
소백님이 머무셨던 곳이니

甘棠(팥배나무)

* 潸然 : 눈물을 흘리다. 두보杜甫送梓州李使君之任이란 시에서 君行射洪縣, 爲我一潸然(그대가 진공 고향 사홍현으로 가는 길에 / 내 대신 찾아가 마음껏 울어나 주오)’이라고 했다.

 

이별에 즈음한 시기일 것을 감안하면 장경(長慶) 4(824) 작일 것인데, 7,8唯留一湖水, 與汝救凶年두 구절은 낙천이 항주자사로 재임하는 동안에 서호(西湖)의 둑을 증축하여 전당(錢塘)과 염관(鹽官-현재의 해녕海寧) 일대의 수리능력을 크게 개선함으로써 가뭄으로 인한 농민들의 피해를 줄일 수 있게 한 것을 말한 것이다.

낙천은 서호의 제방 증축 외에도 이필(李泌)에 의해 개설되었다가 물길이 막혀버린 성 안의 우물 여섯 개도 준설하여 전당호의 물이 들어올 수 있게 함으로써 항주 사람들이 짠맛이 나는 물을 음용하는 고충을 해소해주었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