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樂天 白居易 詩

계약(戒藥) - 백거이(白居易)

by 산산바다 2021. 2. 12.

산과바다

白居易 詩 HOME

 

 

 

           계약(戒藥) - 백거이(白居易)

           약에 대한 경계

 

 

促促急景中(촉촉급경중) : 세월은 급박하게 흘러가는데

蠢蠢微盡裏(준준미진리) : 티끌 같은 생명들은 꼼지락거리며 살아간다.

生涯有分限(생애유분한) : 한평생 누구라도 끝이 있는 것인데

愛戀無終已(애연무종이) : 끝나는 날 없기를 좋아하고 사랑하며

早夭羨中年(조요선중년) : 젊어서는 중년을 부러워하고

中年羨暮齒(중년선모치) : 중년들은 늙은이를 부러워하고

暮齒又貪生(모치우탐생) : 늙은이는 더 살기를 욕심 부리며

服食求不死(복식구불사) : 죽지 않기 바라며 약을 먹는다.

朝呑太陽精(조탄태양정) : 아침에는 뜨는 해 보며 정기 삼키고

夕吸秋石髓(석흡추석수) : 저녁에는 추석의 골수 마시며

徼福反成災(요복반성재) : 복 받기를 빌지만 재앙이 되고

藥誤者多矣(약오자다의) : 약을 잘못 먹은 이도 너무 많은데

以之資嗜欲(이지자기욕) : 그런 것들로 사는 동안 즐거움 삼고

又望延甲子(우망연갑자) : 사는 날 늘어나기 바라보지만

天人陰騭間(천인음즐간) : 하늘과 사람 모두 어둠 속에 있어서

亦恐無此理(역공무차리) : 그렇게 되지 못할 것을 두려워한다.

域中有眞道(역중유진도) : 이 세상에 있는 참다운 진리

所說不如此(소설불여차) : 그렇지 않다고 말을 하는데

後身始身存(후신시신존) : 몸을 돌보지 않아야 비로소 몸을 지킬 수 있다는

吾聞諸老氏(오문저노씨) : 그 말을 노자의 도덕경에서 들었다.

 

 

* 促促(촉촉) : 빠르게. 바쁘게. 소식(蘇軾)仙都山鹿이란 시에서 日月何促促, 塵世苦局束(세월은 어찌하여 이다지도 빠르고 / 세상살이 힘들구나 얽매인 게 많아서)’이라고 했다. 걱정스럽게 매달리는 모양을 가리키기도 한다.

* 急景(급경) : 촉박한 세월을 가리킨다. 빠르게 흘러가는 세월을 가리킨다.

* 蠢蠢(준준) : 벌레들이 움직이는 모습을 가리킨다. 어리석어 사물을 판별하지 못하는 이들을 가리킨다. 소란스럽거나 예의가 없는 모양을 가리키기도 한다.

* 微塵(미진) : 지극히 작은 물질을 가리킨다. 대비바사론(大毗婆沙論)에서 應知極微是細色. 不可斷截破壞貫穿, 不可取捨乘履摶掣, 非長非短, 非方非圓, 非正不正, 非高非下, 無有細分, 不可分析, 不可覩見, 不可聽聞, 不可齅嘗, 不可摩觸. 故說極微是最細色. 此七極微, 成一微塵, 是眼識所取色中最微細者(극미는 가장 미세한 물질임을 알아야 한다. 극미는 끊을 수도 부술 수도 뚫을 수도 없다. 취하거나 버릴 수 없고 승리(?)하거나 단체(?)할 수도 없다. 길지도 짧지도 않고 모나지도 둥글지도 않으며 바르지도 바르지 않은 것도 아니다. 높거나 낮은 것도 아니고 더욱 작게 할 수도 없고 분석할 수도 없으며 보거나 듣거나 맛보거나 냄새를 맡거나 만져볼 수도 없다. 그래서 극미를 가장 미세한 물질이라고 한다).’라고 했다.

* 分限(분한) : 제한. 한계. 한도.

* 暮齒(모치) : 만년(晩年)

* 貪生(탐생) : 사는 것에 지나치게 미련을 두는 것을 가리킨다. 폄훼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 服食(복식) : 양생술(養生術)의 하나로 단약(丹藥)을 먹는 것을 가리킨다. 古詩十九首驅車上東門에서 服食求神仙, 多爲藥所誤(신선이 되겠다고 약을 먹었다가 / 많은 사람 잘못되어 목숨 잃었네)’라고 하였다.

* 秋石(추석) : 단약(丹藥)의 이름이다. 백거이는 思舊란 시에서도 微之鍊秋石, 未老身溘然(미지는 추석이란 단약을 먹고 / 젊은 나이에 갑자기 세상을 떴네)’이라고 했다.

* 徼福(요복) : 복을 빌다. 복을 구하다.

* 嗜欲(기욕) : 기호(嗜好)와 욕망(欲望), 몸의 감각기관을 통해 느끼는 즐거움을 누리려는 욕망을 가리킨다. 정욕(情欲)을 가리키기도 한다. 순자荀子성악性惡에서 妻子具而孝衰於親, 嗜欲得而信衰於友, 爵祿盈而忠衰於君(처자식이 생기면 부모에 대한 효심이 약해지고, 기호와 욕망이 채워지면 벗과의 믿음이 줄어들게 되며, 자리가 높아지고 봉록이 많아지면 임금에 대한 충성심이 약해진다).’이라고 했다.

* 甲子(갑자) : 세월. 나이.

* 陰騭(음즐) : 음덕(陰德). 말없이 안정시키는 것을 가리킨다. 어둠 속을 가리킨다.

* 域中(역중) : 온 세상. 온 나라. 노자(老子)도덕경(道德經)에서 域中有四大而王居其一焉. 人法地地法天天法道道法自然(나라에 네 가지 큰 것이 있으니 왕도 그 중의 하나요.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으며,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있는 그대로의 저절로 그러함을 본받는 것이올시다).’이라고 했다. ‘眞道는 진리眞理를 가리킨다.

* 後身(후신) : 불교佛敎에서 삼세三世를 말할 때 다른 몸으로 태어나는 것을 후신後身이라고 한다. 태평어람太平御覽에서 배자어림裴子語林을 인용하여 張衡之初死, 蔡邕母始孕. 此二人才貌相類, 時人云邕是衡之後身(장형이 죽었을 때 채옹의 모친이 회임을 했다. 이 두 사람은 재능과 생김새가 서로 닮아서 사람들이 말하기를 채옹은 장형의 후신이라고 했다).’이라고 했다. 노자老子도덕경道德經에서 天長地久. 天地所以能長且久者, 以其不自生, 故能長生. 是以聖人後其身而身先; 外其身而身存. 非以其無私邪? 故能成其私(천지가 그토록 장구할 수 있는 것은 자기의 생존을 위해서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운행하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성인들은 일을 마주대하면 앞을 다투지 않음으로써 사람들의 앞에 서게 되고, 자신을 도외시함으로써 오히려 자신의 생존을 지키게 된다. 이것은 그에게 사사로움이 없어 그러는 것 아니겠는가? 그는 그렇게 함으로써 그 자신을 이루어내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 : ‘~에게서를 뜻하는 개사 로 읽었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