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빈가녀(貧家女)/의혼(議婚) - 백거이(白居易)
가난한 집안의 여자/혼인을 의논하다
天下無正聲(천하무정성) : 세상에 바른 음악 없어
悅耳卽爲娛(열이즉위오) : 듣기만 좋으면 즐겁다 하네.
人間無正色(인간무정색) : 세상에 바른 용모 없어
悅目卽爲姝(열목즉위주) : 보기만 좋으면 예쁘다 하네.
顔色非相遠(안색비상원) : 얼굴 모양 별 차이 없지만
貧富則有殊(빈부칙유수) : 가난하고 부유함에 차이 있다네.
貧爲時所棄(빈위시소기) : 가난하면 세상 사람에게 버림받고
富爲時所趨(부위시소추) : 부유하면 세상 사람들이 따르게 된다네.
紅樓富家女(홍루부가녀) : 붉은 누각 있는 부잣집 딸
金縷繡羅襦(김루수라유) : 금실로 수놓은 옷만 입는다네.
見人不斂手(견인부렴수) : 사람을 보고도 인사도 하지 않고
嬌癡二八初(교치이팔초) : 순진한 열여섯 어린 나이인데도
母兄未開口(모형미개구) : 엄마와 오빠는 말도 꺼내지 않아
已嫁不須臾(이가부수유) : 시집가는 건 시간문제이리라
綠窗貧家女(록창빈가녀) : 녹색 창가의 가난한 집 딸
寂寞二十餘(적막이십여) : 쓸쓸히 보낸 지 이십여 년이지만
荊釵不直錢(형채부직전) : 가시나무 비녀는 값도 안 나가고
衣上無直珠(의상무직주) : 옷에는 값진 보석 하나도 없도다.
幾廻人欲聘(기회인욕빙) : 몇 번이고 폐백을 보내려 해도
臨日又蜘躕(림일우지주) : 기일이 되면 또다시 머뭇거린다네.
主人會良媒(주인회량매) : 주인은 중매쟁이 불러놓고
置酒滿玉壺(치주만옥호) : 옥 호리병에 술을 가득 채운다네.
四座且勿飮(사좌차물음) : 사람들아 잠깐 마시기 중지하고
聽我歌兩途(청아가량도) : 나의 노래 두 가지 들어보소서.
富家女易嫁(부가녀역가) : 부잣집 딸은 시집가기 쉽고
嫁早輕其夫(가조경기부) : 일찍 시집가도 남편 무시하고
貧家女難嫁(빈가녀난가) : 가난한집 딸은 시집가기 어렵지만
嫁晩孝於姑(가만효어고) : 늦게 가도 시부모께 효도한다오.
聞君欲娶婦(문군욕취부) : 그대에 묻노니 장가들 때엔
娶婦意何如(취부의하여) : 신부를 구할 때, 어떤 신부 생각하는가.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樂天 白居易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택(傷宅)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8 |
---|---|
경비(輕肥)/강남한(江南旱)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8 |
입비(立碑)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8 |
매화(買花)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8 |
서량기(西涼伎)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