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樂天 白居易 詩

소요영(逍遙詠) - 백거이(白居易)

by 산산바다 2021. 2. 6.

산과바다

향산사(香山寺)

白居易 詩 HOME

 

 

 

          소요영(逍遙詠) - 백거이(白居易)

          자유로운 삶을 노래함

 

 

亦莫戀此身(역막연차신) : 이 몸을 사랑하지도 말고

亦莫厭此身(역막염차신) : 이 몸을 싫어하지도 마라.

此身可足戀(차신가족련) : 이 몸을 어찌 사랑하리오.

萬劫煩惱根(만겁번뇌근) : 만겁 번뇌의 뿌리인 것을.

此身可足厭(차신가족염) : 이 몸을 어찌 싫어하리오.

一聚虛空塵(일취허공진) : 한 줌 허공의 먼지인 것을.

無戀赤無厭(무연적무염) : 사랑도 싫어함도 버려 없어야

始是逍遙人(시시소요인) : 비로소 자유로이 노니는 사람이 되리라.

 

 

* 逍遙(소요) : 슬슬 거닐어 돌아다님.

* 亦莫(역막) : ~도 마라.

* 何足(하족) : 어찌 ~할 만하겠는가? ~할 필요가 없다.

* 萬劫(만겁) : 지극히 오랜 시간. 불교에서 억겁(億劫)은 무한하게 오랜 시간을 말한다.

* 一聚(일취) : 한 줌.

* 始是(시시) : 비로소 ~이다.

 

백거이(白居易)는 말년에 나이의 노쇠와 정치적 실망, 불교의 영향 등으로 은둔생활을 하다가 개성(開城) 4(839) 백거이의 68세 겨울에 중풍에 걸려 오랫동안 고생하면서 향산사(香山寺)의 승려인 여만대사(如滿大師)와 향화사(香火寺)를 짓고 스스로 호를 향산거사(香山居士)라 할 정도로 불교에 관심이 많았다. 이 시는 불교의 경전인 법구경의 내용을 인용한 것으로 보이며, 번뇌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정신세계를 갖고자 하는 심정을 표현한 시이다.

 

 

 

<불교의 경전 법구경 제11장 노모품(老耗品)>

 

210.

不當趣所愛(부당취소애) : 사랑하는 사람을 만들지 말고

亦莫有不愛(역막유불애) : 미워하는 사람도 만들지 말라.

愛之不見憂(애지불견우) : 사랑하는 사람은 못 만나 괴롭고

不愛亦見憂(불애역견우) : 미워하는 사람은 만나 괴롭다.

 

211.

是以莫造愛(시이막조애) : 그러므로 사랑을 짓지 말라.

愛憎惡所由(애증오소유) : 사랑으로 말미암아 미움 생기니

已除結縛者(이제결박자) : 이미 그 얽매임을 벗어난 사람은

無愛無所憎(무애무소증) : 사랑할 것도 없고 미워할 것도 없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