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자각이수(自覺二首) - 백거이(白居易)
나는 알았네.
其一
四十未爲老(사십미위노) : 인생 사십 아직 늙은이도 아닌데
憂傷早衰惡(우상조쇠악) : 걱정과 근심에 늙고 추해졌구나.
前歲二毛生(전세이모생) : 작년에 머리가 희끗희끗하고
今年一齒落(금년일치낙) : 금년엔 이빨이 하나 빠졌구나.
形骸日損耗(형해일손모) : 몸은 날마다 허약해지고
心事同蕭索(심사동소색) : 마음은 같이 쓸쓸해지는구나.
夜寢與朝餐(야침여조찬) : 밤에 자는 밥과 아침에 먹는 밥도
其間味亦薄(기간미역박) : 그 사이 맛도 없어진다.
同歲崔舍人(동세최사인) : 같은 나이인 최사인은
容光方灼灼(용광방작작) : 용모가 한참 건장하구나.
始知年與貌(시지년여모) : 이제야 알겠노라, 나이와 용모도
衰盛隨憂樂(쇠성수우낙) : 근심과 즐거움 따라 성하고 쇠함을
畏老老轉逼(외노노전핍) : 늙음이 두려우나 늙음은 갈수록 닥쳐오고
憂病病彌縛(우병병미박) : 병나는 것 두려우나 병은 더욱 속박해온다.
不畏復不憂(부외복부우) : 두려워말고, 또 근심하지도 말자
是除老病藥(시제노병약) : 이것이 늙음과 병을 없애는 약이리니.
其二
朝哭心所愛(조곡심소애) : 아침에는 사랑하는 딸을 통곡하고
暮哭心所親(모곡심소친) : 저녁에는 친애하는 어머님 곡하다니.
親愛零落盡(친애령낙진) : 자식과 부모 다 돌아가니
安用身獨存(안용신독존) : 어찌 이 몸만 혼자 살아갈 필요 있나
幾許平生歡(기허평생환) : 평생의 기쁜 일이 얼마인가?
無限骨肉恩(무한골육은) : 끝없는 부모님의 은혜이로다.
結爲腸間痛(결위장간통) : 근심을 맺어 속병이 되고
聚作鼻頭辛(취작비두신) : 슬픔을 취하여 코끝이 얼얼하다.
悲來四肢緩(비내사지완) : 슬픔에 사지가 늘어지고
泣盡雙眸昏(읍진쌍모혼) : 눈물이 다함에 두 눈동자 흐려진다.
所以年四十(소이년사십) : 그래서 나이 사십에
心如七十人(심여칠십인) : 마음은 칠십 노인이로다.
我聞浮圖敎(아문부도교) : 내가 들은 불교의 가르침
中有解脫門(중유해탈문) : 그 중에는 해탈의 문이 있었도다.
置心爲止水(치심위지수) : 마음 가지기를 고요한 물처럼 하고
視身如浮雲(시신여부운) : 내 몸 보기를 뜬 구름처럼 해야 한다.
抖擻垢穢衣(두수구예의) : 때 묻은 더러운 옷을 떨어내고
度脫生死輪(도탈생사륜) : 생사의 윤회를 벗어나야 한다.
胡爲戀此苦(호위련차고) : 어찌해야 이 고통을 바꿀까
不去猶逡巡(부거유준순) : 떠나지 않으면 꾸물거린다.
回念發弘願(회념발홍원) : 생각을 돌려 큰 소원을 빌어
願此見在身(원차견재신) : 이러한 것이 내 몸에 나타났으면
但受過去報(단수과거보) : 다만 과거의 업보를 받아
不結將來因(부결장내인) : 장래의 인과를 맺지 말았으면
誓以智慧水(서이지혜수) : 맹서하건데, 지혜의 물로
永洗煩惱塵(영세번뇌진) : 번뇌의 흙먼지를 영원히 씻어 내리라.
不將恩愛子(부장은애자) : 은애로운 것을 거느리지 않고
更種悲憂根(경종비우근) : 다시는 슬픔과 근심의 뿌리를 심지 않으리라.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樂天 白居易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주오수(對酒五首)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3 |
---|---|
대주(對酒)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3 |
흉댁(凶宅)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3 |
채시관(采詩官)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3 |
몽선(夢仙)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