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仙 李白 詩

백비과(白鼻騧) – 이백(李白)

by 산산바다 2020. 11. 7.

산과바다

백비과

李白 詩(이백 시) HOME

 

 

 

          백비과(白鼻騧) 이백(李白)

          하얀 코 누런 말

 

銀鞍白鼻騧(은안백비과) : 은빛 안장에 하얀 코 누런 말

綠地障泥錦(녹지장니금) : 녹색 바탕에 비단 진흙 가리개.

細雨春風花落時(세우춘풍화락시) : 가랑비 내리고 봄바람 불어 꽃 질 때

揮鞭直就胡姬飲(휘편직취호희음) : 채찍 휘둘러 곧장 서역 아가씨에게로 가 술 마시네.

 

 

* 障泥(장니) : 말다래. 말 탄 사람 옷에 흙이 튀지 않게 하는 馬具

 

* 해제 - 삼국시대에 만들어진 고양악인가(高陽樂人歌)에서 유래했다는 악곡으로서, 남조 양()에서 유행하여 북위(北魏)에까지 전해졌다. 내용은 젊은이들의 기상과 낭만을 노래한 것이 대부분이다. 횡취곡사(橫吹曲辭) 중의 하나이다.

 

* 해설 - 개원천보유사에 따르면, 성당대 장안의 한량들은 봄이 오면 무리를 지어 조랑말에 비단 언치(안장이나 길마 밑 깔개)와 금 안장으로 치장을 하고 꽃나무 아래를 오고 가면서, 하인들더러 술을 들고 쫓아오게 하고는 경개 좋은 동산을 만나면 말을 멈추고 마셨다 한다.

 

* 과(騧) 원래 주둥이가 검은 연황색의 말을 일컫는데, 이 작품에서 노래한 것은 흰 코배기의 연황색 말이다. 이름 모를 주인공은 가랑비 내리는 고즈넉한 봄날, 은 안장에 초록 말다래를 드리운 멋진 말을 타고 어여쁜 아가씨가 있는 술집으로 향한다.

색채와 형상이 어우러진 앞 세 구절의 묘사를 배경으로 "채찍을 휘두르며[揮鞭]" "주저 없이 갈 곳을 정하는[直就]" 젊은이들의 시원스러운 동작 묘사가 펼쳐져, 마치 눈앞에 전개되는 한 장면을 보는듯한 느낌을 준다. 이들의 젊음은 봄바람에 지는 꽃과 다를 바 없는 것이지만, 이 순간만큼은 지는 꽃마저 압도할 듯 아름답고 힘차다. 소년행(少年行)1에 나오는 "지는 꽃을 다 밟는다.[落花踏盡]" 같은 구절이 이를 잘 설명해 주고 있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