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보살만(菩薩蠻) - 이백(李白)
보살만
平林漠漠煙如織(평림막막연여직) : 아득한 넓은 숲의 안개는 옷감을 짜 놓은 듯하고
寒山一帶傷心碧(한산일대상심벽) : 늦가을 산은 마음이 슬프도록 푸르네.
瞑色入高樓(명색입고루) : 어두움은 누대 위에 밀려오고
有人樓上愁(유인루상수) : 누대 위의 이내 몸엔 시름이 스며든다.
玉階空佇立(옥계공저립) : 부질없이 옥계단에 우두커니 서니
宿鳥歸飛急(숙조귀비급) : 새들은 서둘러 제 둥지를 찾아가는구나.
何處是歸程(하처시귀정) : 어느 곳이 내가 돌아갈 곳인가?
長亭更短亭(장정갱단정) : 정자(亭子) 길은 끝없이 이어져 있으니.
* 이백(李白)의 보살만(菩薩蠻)은 최령흠(崔令欽)의 교방기(敎坊記)와 돈황(敦煌)의 유물에서 나온 작품이라 하며, 이백의 작품으로 단정하기는 분명하지 않고 보살만(菩薩蠻)과 억진아(憶秦娥) 두 수 만이 전하여 위작 논란이 계속되고 있는 작품이다.
고향에서 멀리 떠나온 나그네가 가을 산을 바라보며 고향으로 돌아가는 길이 멀기만 하다는 마음을 표현한 노래이다.
* 菩薩蠻(보살만) : 사패(詞牌)의 이름으로, 본래 당의 교방곡(敎坊曲)이다. 당 선종(宣宗) 때 여만국(女蠻國)이 당에 조공을 바치면서 함께 따라온 가무부대를 보살만 부대로 불렀다고도 한다. 보살만의 구성은 쌍조(雙調)로 2절이며, 총 44자이다.
* 平林(평림) :넓게 펼쳐진 삼림.
* 漠漠(막막) : 아주 넓거나 멀어 아득하다.
* 煙如織(연여직):안개가 옷감을 짜 놓은 듯 펼쳐져있다.
* 寒山(한산) : 늦가을 춥고 적막한 산.
* 傷心碧(상심벽) : 마음이 아프도록 푸르다.
* 暝色(명색) : 날이 저물어 가는 어스레한 빛. 모색(暮色)
* 佇立(저립) : 우두커니 섬.
* 宿鳥(숙조) : 둥지로 돌아가는 새.
* 長亭更短亭(장정갱단정) : 당(唐)나라 때에는 큰 길 10리마다 행인들이 쉬는 정자인 장정(長亭)을 두고 5리마다 단정(短亭)을 설치하여 말과 나그네가 쉴 수 있게 하였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仙 李白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성견두견화(宣城見杜鵑花) - 이백(李白) (0) | 2020.11.02 |
---|---|
공후요(箜篌謠) - 이백(李白) (0) | 2020.11.02 |
봉대곡(鳳臺曲) - 이백(李白) (0) | 2020.11.02 |
봉황곡(鳳凰曲) - 이백(李白) (0) | 2020.11.02 |
원정(怨情)(新人如花雖可寵) - 이백(李白) (0) | 2020.1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