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四書/孟子

孟子(맹자) 6. 先名實者(선명실자)

by 산산바다 2016. 2. 25.

산과바다

 

孟子(맹자) HOME

 

 

6 告子 下(고자 하)

 

6. 先名實者(선명실자)

 

淳于髡(순우곤): 순우곤이

先名實者(선명실자): 말하기를 명예와 공적에 먼저 손대는 것은

爲人也(위인야): 남을 위해서 하는 일이고

後名實者(후명실자): 명예와 공적을 뒤로 돌리는 것은

自爲也(자위야): 자기를 위해서 하는 것이다.

夫子在三卿之中(부자재삼경지중)하사 : 선생님께서는 삼경 중에 들어 계시면서

名實(명실): 명예와 공적이

未加於上下而去之(미가어상하이거지)하시니 : 위아래를 위해 하신 일이 없으면서 떠나가시니

仁者(인자): 인자한 사람은

固如此乎(고여차호)잇가 : 본래 그렇습니까?’

孟子曰居下位(맹자왈거하위)하여 : 맹자가 말하기를 아래 위에 처해 있으면서

不以賢事不肖者(불이현사불초자): 현자로서 불초한 사람을 섬기지 않은 것은

伯夷也(백이야): 백이이다.

五就湯(오취탕)하며 : 다섯 차례 탕왕에게 나가고

五就桀者(오취걸자): 다섯 차례 걸에게로 나간 것은

伊尹也(이윤야): 이윤이다.

不惡汚君(불악오군)하며 : 더러운 국군을 싫어하지 않고

不辭小官者(불사소관자): 작은 벼슬자리를 사퇴하지 않은 것은

柳下惠也(유하혜야): 유하혜이다.

三子者不同道(삼자자불동도)하나 : 이 세 사람은 방법은 달랐으나

其趨(기추): 취의는

一也(일야): 하나였다.’

一者(일자): 하나라는 것은

何也(하야): 무엇입니까?’

曰仁也(왈인야): 인자함이요.

君子(군자)군자는

亦仁而已矣(역인이이의): 역시 인자해야 할 따름이요.

何必同(하필동)이리오 : 하필 방법이 같아야 할 것이야 있었겠소?’

曰魯繆公之時(왈노무공지시): 노나라 목공 때에

公儀子爲政(공의자위정)하고 : 공의자가 정사를 맡아보고

子柳子思爲臣(자류자사위신)이로되 : 자류와 자사가 신하노릇을 하였는데

魯之削也滋甚(노지삭야자심)하니 : 노나라의 땅이 깎이운 것이 더욱 심하였습니다.

若是乎賢者之無益於國也(약시호현자지무익어국야): 그토록이나 현자가 나라에 무익합니까?’

曰虞不用百里奚而亡(왈우불용백리해이망)하고 : 우리나라에서는 백리해를 등용하지 않아서 멸망하였고

秦穆公(진목공): 진 목공은

用之而覇(용지이패)하니 : 그를 등용해서 패를 칭했소.

不用賢則亡(불용현칙망)이니 : 현자를 등용하지 않으면 멸망하는데

(): 땅이 깎기는 정도로

何可得與(하가득여)리오 : 어찌 그칠 수 있었겠습니까?’

曰昔者(왈석자): 옛날에

王豹處於淇(왕표처어기): 왕표가 기수 가에 살아서

而河西善謳(이하서선구)하며 : 하서지방 사람들이 소리를 잘 했고

綿駒處於高唐(면구처어고당): 면구가 고당에 살아서

而齊右善歌(이제우선가)하고 : 제우지방 사람들이 노래를 잘 불렀고

華周杞梁之妻善哭其夫(화주기양지처선곡기부): 화주와 기량의 처가 남편의 죽음 애절하게 곡해서

而變國俗(이변국속)하니 : 나라의 풍속을 변하게 만들었습니다.

有諸內(유제내): 안에 들어 있는 것은

必形諸外(필형제외)하나니 : 반드시 밖으로 나타납니다.

爲其事而無其功者(위기사이무기공자): 할 일을 하였는데 그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예는

(): 저 곤은

未嘗覩之也(미상도지야)로니 : 여지껏 본 일이 없습니다.

是故(): 그러므로

無賢者也(무현자야): 현자가 없는 것입니다.

有則髡必識之(유칙곤필식지)니이다 : 있었다면 제가 반드시 그것을 알았을 것입니다.’

曰孔子爲魯司寇(왈공자위노사구)러시니 : 공자께서 노나라의 사구로 계셨는데

不用(불용)하고 : 중용되지 않았었소.

從而祭(종이제): 수종인원으로 제사에 참례하셨는데

燔肉(번육): 번욱이

不至(불지)어늘 : 오지 않아서

不稅冕而行(불세면이행)하시니 : 면복을 벗지 않으시고 떠나가 버리셨소.

不知者(부지자): 모르는 사람은

以爲爲肉也(이위위육야)라하고 : 고기 때문이었다고 여길 것이고

其知者(기지자): 아는 사람은

以爲爲無禮也(이위위무예야)라하니 : 무례하기 때문이라고 여길 것이요.

乃孔子則欲以徵罪行(내공자칙욕이징죄행)하사 : 이것은 공자가 작은 죄로 떠나가시려 하시고

不欲爲苟去(불욕위구거)하시니 : 구차하게 그만두려고 하지 않으신 것이요.

君子之所爲(군자지소위): 군자가 하는 일을

衆人(중인): 일반 사람들은

固不識也(고불식야)니라 : 본래 모르는 것이요.’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