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中庸(중용) 제28장
子曰(자왈)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愚而好自用(우이호자용)하며 : “어리석으면 스스로 쓰이기를 좋아하며,
賤而好自專(천이호자전)이요 : 천하면서도 스스로 전제하기를 좋아한다.
生乎今之世(생호금지세)하여 : 지금의 세상에 나서
反古之道(반고지도)면 : 옛날의 도를 어긴다면
如此者(여차자)는 : 이러한 자는
災及其身者也(재급기신자야)니라 : 재앙이 그의 몸에 미치게 될 것이다.”
非天子(비천자)면 : 천자가 아니라면
不議禮(불의례)하며 : 예를 의논하지 못하며,
不制度(불제도)하며 : 법도를 제정하지 못하며,
不考文(불고문)이니라 : 문자를 고정하지 못한다.
今天下車同軌(금천하거동궤)하며 : 지금 천하의 수레는 궤폭이 같고,
書同文(서동문)하며 : 글은 문자가 같으며,
行同倫(행동륜)이니라 : 행동은 윤리가 같다.
雖有其位(수유기위)나 : 비록 그러한 자리에 있으나
苟無其德(구무기덕)이면 : 진실로 그러한 덕이 없다면
不敢作禮樂焉(불감작례락언)이며 : 감히 예와 악을 만들지 못한다.
雖有其德(수유기덕)이나 : 비록 그러한 덕이 있으나
苟無其位(구무기위)면 : 진실로 그러한 자리에 없다면
亦不敢作禮樂焉(역불감작례락언)이니라 : 또한 감히 예를 만들지 못한다.
子曰(자왈) :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吾說夏禮(오설하례)나 : “나는 하나라 예를 말하려 해도
杞不足徵也(기불족징야)며 : 기나라로는 증명하기에 부족하다.
吾學殷禮(오학은례)하니 : 나는 은나라 예를 배웠는데
有宋存焉(유송존언)이어니와 : 송나라가 존재하고 있을 뿐이다.
吾學周禮(오학주례)하니 : 나는 주나라 예를 배웠는데
今用之(금용지)라 : 지금 그것이 쓰이고 있으니
吾從周(오종주)하리라 : 나는 주나라를 따른다.”
산과바다 이계도
'四書 > 中庸'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中庸(중용) 제30장 (0) | 2016.02.21 |
---|---|
中庸(중용) 제29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27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26장 (0) | 2016.02.21 |
中庸(중용) 제24장~25장 (0) | 2016.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