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과38 뚝새풀 Short awn 산과바다 뚝새풀 Short awn 2023. 5. 23. 담음 * 둑새풀이라고도 한다. 뚝새풀 Alopecurus aequalis var. amurensis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화본과 >뚝새풀속(Alopecurus) 둑새풀이라고도 한다. 논밭 같은 습지에서 무리 지어 난다. 줄기는 밑 부분에서 여러 개로 갈라져 곧게 서고 높이가 20∼4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길이가 5∼15cm, 폭이 1.5∼5mm이며 흰색이 도는 녹색이다. 잎혀는 반달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며 길이가 2∼5mm이고 흰색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꽃이삭은 원기둥 모양으로 길이가 3∼8cm이며 연한 녹색이고, 작은 이삭은 길이가 3∼3.5mm이고 좌우로 납작하며 1개의 꽃이 들어 있다. 포영(苞穎:작은 이삭의 밑에 난 .. 2023. 5. 23. 띠(띠풀) King cogongrass 산과바다 띠(띠풀) King cogongrass 2022. 5. 17. 담음 * 꽃피지 않은 띠의 어린 새순을 '띄, 삘기, 삐비'라 하고, 어린 이삭을 날것으로 먹는다. 띠(띠풀) Imperata cylindrica (L.) Raeusch.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 >띠속(Imperata)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강가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단단한 비늘조각이 덮인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30∼80cm이고 마디에 털이 있다.잎은 주로 뿌리에서 나오고 편평하며 줄 모양이고 길이가 20∼50cm, 폭이 7∼12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줄기를 감싸는 잎.. 2022. 5. 17. 수크령 Fountain grass 산과바다 수크령 Fountain grass 2020. 9. 12. 담음 * 한글명 수크령은 그령을 암그령으로 삼고, 이에 대응하는 것에서 생겨난 이름이다. * 그령(암그령)은 참새그령속(Eragrostis)이고 수크령은 수크령속(Pennisetum)으로 전혀 다른 종이다.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L.)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수크령속(Pennisetum) 줄기는 여러해살이로 짧은 땅속줄기(地下莖)가 다닥다닥 모여 나 큰 무리를 만든다.잎은 길이 30∼60cm, 나비 9∼15mm이며 잎몸(葉身)이 단단한 편이고, 짙은 녹색이며, 잎혀(葉舌)에 짧은 잔털이 있다.꽃은 8~9월에 피며, 꽃이삭(花穗)은 똑바로 서며(直立), 기부의 꽃싼잎(苞葉.. 2020. 9. 14. 논피 rice cockspur 산과바다 논피 rice cockspur 2020. 9. 3. 담음 * 벼농사에서 귀찮은 존재다. 피살이 하던 생각이 나는군요. 논피 Echinochloa oryzoides (Ard.) Fritsch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피속(Echinochloa) 논과 논밭뚝 밭에 발생하는 한해살이 화본과 잡초이다. 강피라고도 한다. 논에서 자란다. 높이 80∼110cm로 곧게 자라며 마디는 낮게 있다. 줄기는 잎집에 싸여 있으며 연한 녹색으로 편평하고 수염뿌리가 난다. 잎은 긴 줄 모양 바소꼴로 나비 8∼12mm이고 가장자리에 작은 톱니가 거칠게 난다. 벼와 비슷하나 잎눈과 잎혀가 없다.꽃은 여름철에 연한 녹색 꽃이 원추꽃차례로 피는데, 꽃차례의 길이는 15∼20cm이.. 2020. 9. 4. 강아지풀 green foxtail 산과바다 강아지풀 green foxtail 2020. 9. 3. 담음 * 강아지풀의 본명은 ‘가라지’다. 훈몽자회(訓蒙字會)는 강아지풀을 ‘ᄀᆞ랏’으로 기재했다. ‘가라지’는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으로 알려진 가라지조(수강아지풀)의 ‘가라지’이다.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L.) P.Beauv.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강아지풀속(Setaria) 길가나 빈터에서 흔하게 볼 수 있는 1년생 초본이다. 밑에부터 가지가 갈라지는 줄기는 40~70cm 높이로 곧게 자라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잎은 길이 10~20cm 정도로 어긋나게 달리고 앞면을 만져보면 깔끄러운 느낌이 든다. 표면은 녹색 또는 자주색으로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7~8월 줄기 끝에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의 .. 2020. 9. 4. 주름조개풀 Undulate basketgrass 산과바다 주름조개풀 Undulate basketgrass 2020. 9. 1. 담음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주름조개풀속 Oplismenus 응달에서 흔히 자란다.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가지가 갈라져서 높이 10∼30cm로 자란다. 잎은 편평하며 길이 3~7cm, 폭 1~1.5cm로서 질이 부드럽고, 가장자리는 물결모양으로 주름지며 양면에 긴 털이 있다. 잎혀는 매우 짧고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8~10월에 피고 꽃차례는 길이 6~12cm로서 6~15mm길이의 가지가 8~10개로 갈라지며 소수(小穗:작은 꽃이삭)가 밀착하고 소수는 길이 3mm 정도로서 대가 거의 없으며 짧은 털이 있다. 포.. 2020. 9. 1. 수강아지풀 Bottle grass 산과바다 수강아지풀 Bottle grass 2019. 7. 12. 담음 강아지풀과 모양이 같아 보이는데 이삭이 한 뼘 정도는 되고 키가 1m 정도로 커 보임이 강아지풀과 구분이 되는군요. *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으로 가라지조라고도 하는군요. 수강아지풀 Setaria x pycnocoma (Steud.) Henrard ex Nakai 현화식물문 >백합.. 2019. 7. 15. 옥수수 Corn 산과바다 옥수수 Corn 2019. 6. 19. 담음 풍매화로 꽃은 빈약하여 볼품 없지만 수꽃은 줄기끝 높은 곳에 달리어 줄기의 중간 마디에 달려있는 암꽃으로 꽃가루가 떨어져 쉽게 수분이 이루어 지는 구조 이군요. 대학찰옥수수 먹을 때가 되었군요. ♀ 꽃 ♂ 꽃 수분꽃가루가 많이 떨어져 암술머리에 수분이 되는군요. 옥수수 Zea mays L.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옥수수속(Zea) 옥수수는 볼리비아를 중심으로 한 남아메리카 북부의 안데스산맥의 저지대나 멕시코가 원산지인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는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는데 고려시대 원나라에서 전달되었다는 설과 조선시대 명나라에서 전달되었다는 설이 있다.따라서 그 이름도 중국음의 위수수[玉蜀黍]에서 유래하여 한자의 우리식 발.. 2019. 6. 21. 띠(띠풀) King cogongrass 산과바다 띠(띠풀) King cogongrass 2019. 6. 3. 담음 * 산 넘어 삿갓논의 모가 자리잡아가는 논 둑에서 자람을 담음. 띠(띠풀) Imperata cylindrica (L.) Raeusch.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 >띠속(Imperata)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강가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단단한 비늘조각이 덮인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30∼80cm이고 마디에 털이 있다.잎은 주로 뿌리에서 나오고 편평하며 줄 모양이고 길이가 20∼50cm, 폭이 7∼12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줄기를 감싸는 잎집이 된다.꽃.. 2019. 6. 4. 금강아지풀 Golden Bristlegrass 산과바다 금강아지풀 Golden Bristlegrass 2018. 9. 24. 담음 다자란 이삭이 하늘을 향하고 있음이 특이하고 강아지풀과 다르군요. * 강아지풀과 서로 크게 다른 점으로는 꽃 이삭의 모양과 까락(털)의 색깔이 다르군요. * 금강아지풀은 까락(털)의 색깔이 황금색이고 원기둥보양으로 다 자라도 이.. 2018. 9. 28. 밀 Wheat 산과바다 밀 Wheat 2018. 5. 13. 담음 꽃을 담으며 밀밭길따라 걸어가며 박목월의 나그네 시가 생각나서 올려본다. 나그네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노을이여~지훈에게 - 박목월 강(江)나루 건너서밀밭 길을 구름에 달 가듯이가는 나그네 길은 외줄기남도(南道) 삼백리(三百里) 술 익는 마을마다타는 저녁놀 구름에 달 가듯이가는 나그네 위 시는 박목월이 조지훈의 완화삼(부제: 목월에게)에 和答한 시라는군요. 실제로 이 시의 부제로는 술 익는 강마을의 저녁노을이여~지훈라는 대목이 붙어 있다. 한국 현대 문학에 길이 남을 화답시라 할 수 있겠다. 이는 1946년 발간된 박목월·박두진·조.. 2018. 5. 16. 주름조개풀 Undulate basketgrass 산과바다 주름조개풀 Undulate basketgrass 2017. 9. 18. 담음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Ard. 피자식물문 >단자엽식물강 >화본목 >벼과 >주름조개풀속 Oplismenus 응달에서 흔히 자란다. 밑부분이 옆으로 뻗으면서 마디에서 뿌리가 내리고 가지가 갈라져서 높이 10∼30cm로 자란다. 잎은 편.. 2017. 9. 18. 뚝새풀 Short awn 산과바다 뚝새풀 Short awn 2017. 4. 29. 담음 유년 시절 집앞의 논에가서 열매를 바가지로 훑어오면 볶아 주시어 먹곤 하였었는데...... 어릴 때 고향 마을의 추억이 아련하군요. 한 개체에서 이상한 모양이 보이는군요. 이삭의 맨 위부분에 흰꽃 같은 것이 피어있는데 이것은 무었일까? 뚝새풀 Alopecurus aequalis Sobo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화본과 >뚝새풀속(Alopecurus) 둑새풀이라고도 한다. 논밭 같은 습지에서 무리 지어 난다. 줄기는 밑 부분에서 여러 개로 갈라져 곧게 서고 높이가 20∼40cm이다. 잎은 편평하고 길이가 5∼15cm, 폭이 1.5∼5mm이며 흰색이 도는 녹색이다. 잎혀는 반달 모양 또는 달걀 모양이며 길이가 2∼5mm이고 흰색이다... 2017. 4. 30. 벼 Asian rice 산과바다 벼 Asian rice 2016. 9. 6. 담음 우리의 주식량으로 재배되는 벼이기에 벼의 꽃은 더욱 새롭게만 보이는군요. 어려서부터 보아 왔지만 풍매화로 꽃이 빈약하여 볼품은 없군요. 벼 Oryza sativa L.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 >벼속(Oryza) 논에서 심어 기르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모여 나며, 곧추서고 높이 80~120cm, 털이 없으며, 3~4개의 마디가 있다. 잎은 선형으로 길이 20~30cm, 폭 1cm, 앞면과 잎 가장자리는 거칠고 뒷면은 윤이 난다. 잎혀는 피침형으로 길이 1cm, 2개로 갈라진다.꽃은 7~9월에 피고 줄기 끝에서 밑으로 처지는 원추꽃차례를 이루며, 작은이삭이 여러 개 모여 달린다. 작은이삭은 1개의.. 2016. 9. 7. 수크령 Fountain grass 산과바다 수크령 Fountain grass 2016. 9. 6. 담음 * 한글명 수크령은 그령을 암그령으로 삼고, 이에 대응하는 것에서 생겨난 이름이다. * 그령(암그령)은 참새그령속(Eragrostis)이고 수크령은 수크령속(Pennisetum)으로 전혀 다른 종이다. 수크령 Pennisetum alopecuroides (L.)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화본목 >벼과 >수크령속(Pennisetum) 줄기는 여러해살이로 짧은 땅속줄기(地下莖)가 다닥다닥 모여 나 큰 무리를 만든다.잎은 길이 30∼60cm, 나비 9∼15mm이며 잎몸(葉身)이 단단한 편이고, 짙은 녹색이며, 잎혀(葉舌)에 짧은 잔털이 있다.꽃은 8~9월에 피며, 꽃이삭(花穗)은 똑바로 서며(直立), 기부의 꽃싼잎(苞葉.. 2016. 9. 7. 띠(띠풀) King cogongrass 산과바다 띠(띠풀) King cogongrass 2016. 6. 3. 담음 * 꽃피지 않은 띠의 어린 새순을 '띄, 삘기, 삐비'라 하고, 어린 이삭을 날것으로 먹는다. 띠(띠풀) Imperata cylindrica (L.) Raeusch.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 >띠속(Imperata)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강가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단단한 비늘조각이 덮인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30∼80cm이고 마디에 털이 있다.잎은 주로 뿌리에서 나오고 편평하며 줄 모양이고 길이가 20∼50cm, 폭이 7∼12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 2016. 6. 4. 띠(띠풀) King cogongrass 산과바다 띠(띠풀) King cogongrass 2015. 6. 24. 담음 * 꽃피지 않은 띠의 어린 새순을 '띄, 삘기, 삐비'라 하고, 어린 이삭을 날것으로 먹는다. 띠(띠풀) Imperata cylindrica (L.) Raeusch.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 >띠속(Imperata)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강가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단단한 비늘조각이 덮인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30∼80cm이고 마디에 털이 있다.잎은 주로 뿌리에서 나오고 편평하며 줄 모양이고 길이가 20∼50cm, 폭이 7∼12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줄기를 .. 2015. 6. 24. 띠(띠풀) King cogongrass 산과바다 띠(띠풀) King cogongrass 2014. 5. 30. 담음 띠(띠풀) Imperata cylindrica (L.) Raeusch.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벼목 >벼과 >띠속(Imperata) 화본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이나 들의 볕이 잘 드는 풀밭이나 강가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단단한 비늘조각이 덮인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뻗는다. 줄기는 뿌리줄기의 마디에서 나와 곧게 서며 높이가 30∼80cm이고 마디에 털이 있다.잎은 주로 뿌리에서 나오고 편평하며 줄 모양이고 길이가 20∼50cm, 폭이 7∼12mm이며 끝이 뾰족하고 밑 부분이 좁아져 줄기를 감싸는 잎집이 된다.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고 줄기 끝에 수상꽃차례 모양의 원추꽃차.. 2014. 5. 3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