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과837 배롱나무 Crape Myrtle 산과바다 배롱나무 Crape Myrtle 2024. 7. 20. 담음 * 배롱나무는 붉은색과 분홍색으로 피고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배롱나무라고 하는군요. * 붉은 꽃이 100일 이상 계속 피어서 목백일홍 또는 백일홍나무라고도 하며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부처꽃과 >배롱나무속(Lagerstroemia)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약 5m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붉은 갈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면서 흰 무늬가 생긴다. 작은 가지는 네모지고 털이 없다. 새 가지는 4개의 능선이 있고 잎이 마주난다. 잎은 타.. 2024. 7. 21. 나무수국 Panicle Hydrangea 산과바다 나무수국 Panicle Hydrangea 2024. 7. 14. 담음 * 꽃이 피어 양성화와 열매가 없다면 나무수국과 큰나무수국의 구분이 어렵군요. * 연록색 봉오리가 연녹색 꽃을 피워 점점 흰색으로 되고 모두 흰색이 되면 양성화가 피기 시작하는군요. * 나무수국은 중성화와 양성화가 같이 피는데 큰나무수국은 꽃이 중성화만 피므로 구분이 되는군요. * 수국이나 산수국은 꽃이 산방꽃차례를 이루지만 나무수국은 원추꽃차례이군요. 나무수국 Hydrangea paniculata Siebo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범의귀과 >수국속(Hydrangea) 관상용으로 정원에 심는다. 낙엽 관목으로 높이는 2∼3m이다. 잎은 마주나고 때로는 3개가 돌려나는 것도 있으며 타원.. 2024. 7. 15. 어리연 Water gentian 산과바다 어리연 Water gentian 2024. 7. 14. 세종호수공원에서 담음 * 모양은 노랑어리연과 같아 보이고 화관은 흰색 바탕에 가운데 부분이 황색이고 지름이 1.5cm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안쪽과 가장자리에 흰색 털이 있다. 어리연 Nymphoides indica (L.) Kuntz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조름나물과 >어리연속(Nymphoides) 못이나 호수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이다. 뿌리줄기가 진흙 속에서 옆으로 길게 뻗고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물 속에서 비스듬히 길이 1m 이상 자라고 가늘며 끝 부분에 1∼3개의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잎은 물 위에 뜨고 지름 7∼20cm의 둥근 심장 모양이며 표면에 광택이 있고 밑 부분이 깊게 2개로.. 2024. 7. 15. 꼬마부들 Slender cattail 산과바다 꼬마부들 Slender cattail 2024. 7. 13. 담음 * 수꽃은 다 떨어지고 흔적만 보이는군요. * 꼬마부들 : 애기부들에 비해 암꽃이삭이 작다는 뜻의 이름이다. * 국내 부들속(Typha) 식물 중에서 키가 가장 작으며, 잎이 5mm 미만으로 좁고 암꽃이삭의 길이 3~6cm로 짧으므로 구분된다. 꼬마부들 Typha laxmannii Lepech. 속씨식물 >외떡잎식물강 >벼목 >부들과 >부들속(Typha) 부들 또는 애기부들에 비해 암꽃이삭이 작다는 뜻의 이름이다. 여러해살이풀이며, 높이 80~130㎝이다.잎은 어긋나기하고 선형이며, 도톰하고 끝은 둔하다.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속은 스펀지 구조로 되어 있다. 길이는 40~90㎝, 폭은 0.2~0.6㎝이다... 2024. 7. 13. 히어리 Korean winter hazel 산과바다 히어리 Korean winter hazel 2024. 7. 6. 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한국에서만 자라는 특산종이다. 지리산과 조계산, 백운산 등 주로 남부 지방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히어리 Corylopsis coreana Uyek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조록나무과 >히어리속(Corylopsis) 한국에서만 자라는 특산종이다. 지리산과 조계산, 백운산 등 주로 남부 지방의 산기슭이나 골짜기에서 자란다. 송광납판화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높이 1∼2m이고 작은가지는 황갈색 또는 암갈색이며 피목(皮目)이 밀생한다. 겨울눈은 2개의 눈비늘로 싸여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밑은 심장형이다. 잎 가장자리에 뾰족한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털이 .. 2024. 7. 7. 풍접초 Spiny spider flower 산과바다 풍접초 Spiny spider flower 2024. 7. 6. 담음 * 한국에는 1속 1종이 있다. (풍접초속 >풍접초) * 최근의 DNA 연구에 의해, 풍접초속(Cleome)과 Podandrogyne속, Polanisia속은 서로 구별할 수 없기 때문에 일부 분류학자들은 이들 속을 구분하는 것을 포기하고 3개 속을 넓은 의미(sensu lato)의 풍접초속(Cleome)으로 취급한다. 풍접초 Cleome spinosa Jacq.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양귀비목 >풍접초과 >풍접초속(Cleome) 백화채·양각채라고도 한다. 열대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줄기는 높이가 1m에 달하고 줄기는 곧게 서며 전체에 샘털과 더불어 잔가시가 산생한다.잎은 어긋나기하며 손모.. 2024. 7. 7. 수련 睡蓮 Water lily 산과바다 수련 睡蓮 Water lily 2024. 7. 6. 담음 * 꽃은 3일 동안 피었다 닫혔다 하며 5월부터 9월까지도 꽃을 볼 수 있더군요. * 꽃이 밤에 접어들기 때문에 수련(睡蓮)이라고 한다. * 수련꽃의 색은 흰색이라는데 원예품종은 노란색과 붉은색도 있군요. * 쌍떡잎식물로 분류되면서도 떡잎을 1장 가지는 특이한 식물이고 잎이 V자 모양으로 갈라짐이 연꽃과 다르군요. 수련 Nymphaea tetragona Georgi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수련목 >수련과 >수련속(Nymphaea) 여러해살이 수중식물로 굵고 짧은 땅속줄기에서 많은 잎자루가 자라서 물 위에서 잎을 편다. 잎은 뿌리에서 나온다. 긴 엽병이 수면까지 자라 그 끝에 잎이 난다. 잎은 난상 원형 또는 난상.. 2024. 7. 7. 배롱나무 Crape Myrtle 산과바다 배롱나무 Crape Myrtle 2024. 7. 6. 담음 배롱나무꽃은 붉은색과 분홍색으로 피고 흰색 꽃이 피는 것을 흰배롱나무라고 하는군요. * 붉은 꽃이 100일 이상 계속 피어서 목백일홍 또는 백일홍나무라고도 하며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부처꽃과 >배롱나무속(Lagerstroemia) 나무껍질을 손으로 긁으면 잎이 움직인다고 하여 간지럼나무라고도 한다. 높이 약 5m이다. 나무껍질은 연한 붉은 갈색이며 얇은 조각으로 떨어지면서 흰 무늬가 생긴다. 작은 가지는 네모지고 털이 없다. 새 가지는 4개의 능선이 있고 잎이 마주난다. 잎은 타원형.. 2024. 7. 7. 능소화 Chinese trumpet creeper 산과바다 능소화 Chinese trumpet creeper 2024. 7. 6. 국립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하늘 높은 줄 모르고 기어올라 꽃을 피운 능소화(凌霄花 하늘을 능가하는 꽃)가 싱싱하게 주홍빛 꽃잎을 넓게 벌리고 곱게도 피어있군요. * 꽃이 아름다워 정원에 많이 심어 기르는데 삽목으로 잘 번식이 된다는군요. 詩經 陣風(시경 진풍)에 능소화(苕)가 나오는군요.142. 防有鵲巢(방유작소) 방축위의 까치집 防有鵲巢(방유작소) : 방축 위에 까치집邛有旨苕(공유지초) : 언덕엔 향기로운 능소화誰侜予美(수주여미) : 누가 내 여인 꼬여내어心焉忉忉(심언도도) : 어찌 내 마음을 시름겹게 하나! 中唐有甓(중당유벽) : 뜰 안에 벽돌 길邛有旨鷊(공유지역) : 언덕엔 향기로운 타래난초 풀誰侜予美(수주여미) : 누.. 2024. 7. 7. 어리연 Water gentian 산과바다 어리연 Water gentian 2024. 7. 6. 세종수목원에서 담음 * 모양은 노랑어리연과 같아 보이고 화관은 흰색 바탕에 가운데 부분이 황색이고 지름이 1.5cm이며 5개로 깊게 갈라지고 안쪽과 가장자리에 흰색 털이 있다. 어리연 Nymphoides indica (L.) Kuntz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조름나물과 >어리연속(Nymphoides) 못이나 호수에서 자라는 수생식물이다. 뿌리줄기가 진흙 속에서 옆으로 길게 뻗고 잔뿌리가 사방으로 퍼진다. 줄기는 물 속에서 비스듬히 길이 1m 이상 자라고 가늘며 끝 부분에 1∼3개의 잎이 드문드문 달린다. 잎은 물 위에 뜨고 지름 7∼20cm의 둥근 심장 모양이며 표면에 광택이 있고 밑 부분이 깊게 2개로 갈.. 2024. 7. 6. 범부채 Blackberry Lily 산과바다 범부채 Blackberry Lily 2024. 7. 6. 담음 * 2005년의 DNA 염기서열 분석 결과에 따라서, 범부채속(Belamcanda)의 유일종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는 붓꽃속(Iris)으로 옮겨져 학명이 Iris domestica L.로 바뀌었다. 범부채 Iris domestica (L.) Goldblatt & Mabb.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백합목 >붓꽃과 >붓꽃속(Iris) 붓꽃속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추위에도 꽤 견디나 양지바른 산지와 바닷가에서 자란다. 높이 50∼100cm이다. 뿌리줄기를 옆으로 짧게 벋고 줄기는 곧게 서며 윗부분에서 가지를 낸다. 잎은 어긋나고 칼 모양이며 좌우로 납작하고 2줄로 늘어선다. 빛깔은 녹색 바탕에 .. 2024. 7. 6. 도라지 Balloon flower 산과바다 도라지 Balloon flower 2024. 7. 6. 담음 * 도라지는 하늘색 또는 흰색 꽃이 피는 기본종이다. 도라지(桔梗)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DC. 속씨식물문>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초롱꽃과 >도라지속(Platycodon) 길경·도랏·길경채·백약·질경·산도라지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뿌리는 굵고 줄기는 곧게 자라며 자르면 흰색 즙액이 나온다. 높이는 40∼100cm이다.잎은 어긋나고 긴 달걀 모양 또는 넓은 바소꼴로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없다. 잎의 끝은 날카롭고 밑부분이 넓다. 잎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은 회색빛을 띤 파란색이며 털이 없고 길이 4∼7cm, 너비 1.5∼4cm이다.꽃은 7~8월에 피고 .. 2024. 7. 6. 달맞이꽃 Evening primrose 산과바다 달맞이꽃 Evening primrose 2024. 7. 6. 담음 * 꽃이 밤에만 피기 때문에 달맞이꽃, 月見草라 한다는데 오늘은 흐린 날이라 꽃잎이 열리나 보군요. 달맞이꽃 Oenothera odorata JACQ.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도금양목 >바늘꽃과 >달맞이꽃속(Oenothera) 월견초유, 야래향, 산지마, 월하향, 월견초, 향대소초라고도 한다. 남아메리카 칠레 원산이며 우리나라에 들여와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 흔히 퍼져 자라는 귀화식물로 두해살이 풀이며 높이는 50~90cm이다. 꽃이 밤에만 피기 때문에 달맞이꽃, 월견초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뿌리에서 1개 또는 여러 대의 줄기가 곧게 서서 자라며 잔털이 밀생한다. 잎은 뿌리잎은 땅바닥에 방석 모양으로 펼쳐진.. 2024. 7. 6. 무궁화 無窮花 Althea (a rose of Sharon) 산과바다 무궁화 無窮花 Althea (a rose of Sharon) 2024. 7. 5. 담음 * 무궁화꽃은 새벽에 꽃이 피기 시작하였다가 오후에는 오므라들기 시작하고 해 질 무렵에는 꽃이 떨어지기를 반복한다. * 무궁화를 나라꽃으로 선정한 것은 1896년 독립문 주춧돌을 놓는 의식 때 애국가 후렴에 ‘무궁화 삼천리 화려강산’이라는 구절을 넣으면서 민족을 상징하는 꽃이 되었다고 한다. 무궁화 Hibiscus syriacus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아욱과 >무궁화속(Hibiscus) 무궁화는 낙엽 관목으로서 여러 품종이 있고 높이가 3~4m에 달하며, 어린 가지에 털이 많으나 점차 없어진다. 무궁화는 정원에서 재배가 쉽고 씨로 번식이 가능하지만 꺾꽂이로 번식되므로 형.. 2024. 7. 5. 실새삼 Australian dodder 산과바다 실새삼 Australian dodder 2024. 7. 1. 담음 * 개미취의 잎에 기생함을 담았는데 덩굴이 아주 가늘고 꽃의 총상꽃차례가 덩어리처럼 뭉쳐 달림이 새삼과 달라 구분이 되어 실새삼으로 올리는군요. * 새삼속(Cuscuta) 식물의 기주는 주로 콩과식물이며 국화과 식물 그리고 버드나무, 찔레나무, 사철나무, 그 밖의 다양한 풀, 나무, 고사리 등으로 기주도 다양하군요. 실새삼 Cuscuta australis R.B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새삼속(Cuscuta) 한해살이 기생식물로 새삼에 비해 줄기가 아주 가늘고, 각처의 들, 밭둑, 콩밭에 나며 주로 콩과(大豆)에 기생한다. 기주는 주로 콩과 식물이며 국화과 식물 그리고 버드나무, 찔.. 2024. 7. 2. 삼백초 Asian lizard‘s tail 산과바다 삼백초 Asian lizard‘s tail 2024. 6. 30. 담음 * 뿌리, 잎 및 꽃이 백색이기 때문에, 또는 윗부분에 달린 2~3개의 잎이 희어지기 때문에 三白草라고 한다. * 속명 saururus는 희랍어 sauros(도마뱀)과 oura(꼬리)의 합성어로 이삭꽃차례가 도마뱀 꼬리와 같다는 뜻이다. * 환경부에서 희귀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멸종위기 야생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있다. (지정번호 식-50) 삼백초 Saururus chinensis (Lour.) Bail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후추목 >삼백초과 >삼백초속(Saururus) 습지에서 자란다. 낙엽수림하 또는 풀밭에서도 자란다. 보습성이 충분하고 비옥한 토양에서 주로 자란다. 줄기는 높이 50.. 2024. 7. 1. 고추나무(열매) Bumalda Bladdernut 산과바다 고추나무(열매) Bumalda Bladdernut 2024. 6. 30. 담음 * 열매인 삭과(蒴果)가 부풀어 오른 반원형으로 윗부분이 2개로 갈라짐이 특이하군요. * 5월에 꽃이 피면 고추나무 꽃향이 진하고 향기로워 코끝이 벌렁벌렁 두리번거리며 꽃을 찾느라고 발길을 잡더군요. 고추나무 Staphylea bumalda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노박덩굴목 >고추나무과 >고추나무속(Staphylea) 낙엽 관목 또는 작은 교목으로 개절초나무 미영꽃나무 매대나무라고도 한다. 산골짜기와 냇가에서 자란다. 높이 3∼5m이다. 가지는 둥글며 잿빛을 띤 녹색이다. 잎은 마주나고 작은 잎은 3개로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바소꼴이고 가장자리에 바늘 모양의 잔 톱니가 있다. 잎자루.. 2024. 7. 1. 설악초 Snow on the mountain 산과바다 설악초 Snow on the mountain 2024. 6. 29. 정원에 식재되어 자람을 담음 * 원산지에서는 다육성의 관목이지만 국내에서는 한해살이풀로 취급한다. 설악초 Euphorbia marginata Pursh 속씨식물믄 >쌍떡잎식물강 >쥐손이풀묵 >대극과 >대극속(Euphorbia) 산에 눈이 내린 것 같은 풀이라는 뜻의 이름이다. 원산지가 북아메리카인 도입식물이며, 한해살이풀 또는 관목(떨기나무)이다. 원산지에서는 다육성의 관목이지만 국내에서는 한해살이풀로 취급한다. 관상용 또는 절화용으로 화단에 심어 기르며, 높이는 60~100㎝이다.잎은 어긋나기하고 타원형 또는 긴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다. 끝은 둥글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줄기 아래쪽에 달리는 잎은 녹색.. 2024. 6. 29. 이전 1 2 3 4 5 6 ··· 4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