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불교경전10

大乘起信論 대승기신론 산과바다 大乘起信論 대승기신론은 大乘佛敎의 개론서라고 할 수 있는 유명한 논서(論書)이다. 대승 경전에 설해져 있는 모든 사상을 종합적으로 회통(會通)하여 체계적인 논리를 세워 대승의 본질을 밝혀놓았다. 불교의 전적(典籍)들이 대부분 양이 많고 번거로운 문체에 지루한 설명들.. 2015. 3. 23.
불교경전 : 제 10. 신앙찬탄경전 산과바다 불교경전 HOME    제 10. 신앙찬탄경전 49. 정토삼부경50. 미륵삼부경51. 지장보살본원경52. 약사여래본원경53. 비화경54. 금광명경55. 인왕반야경   49. 정토삼부경 아미타불은 깨끗한 땅에서 중생들을 거두어 주는 임이시고, 석가여래는 깨끗한 땅으로 지도하는 스승이시며, 관세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은 부처님을 도와서 교화를 펴시는 분들이다. 그러므로 일대시교(一代時敎)의 여러 경전에서는 간절하게 중생들이 왕생하도록 권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아미타불은 무량수경에 의하면, 옛날에 법장(法藏)이라는 보살이 지금부터 10겁(劫) 전에 최상의 깨달음을 얻어서 중생들을 제도하려는 원력을 세우고, 오랫동안 수행을 거듭하여 마침내 그 원이 성취됨에 부처가 되어서 현재는 극락세계에 머물고 계시다는.. 2015. 2. 27.
불교경전 : 제 9. 계율경전 산과바다 불교경전 HOME    제 9. 계율경전     45. 우바새계경    46. 범망경    47. 보살영락본업경    48. 보살지지경   45. 우바새계경 서 설> 우바새 계경은 善生經이라고도 불리워지고  있으며  선생장자를  위하여 보살계를 설한것이다. 그러나 戒라고 하여도 단순히  준봉해야할  律條를 제시한 것이 아니라,  널리 대승보살의  願行을  설하고  그것이  혼연하게 보살계의 내용을 이루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특히 戒相에 관해서는 출가의 보살에게는 8중, 재가의 보살에게는 6중이라고 하고, 8중은 생략하고, 6중만을 상세히  설하고,  또  6중법에 이어서 28失意罪가 설해지고, 불살, 불도, 불사음,불망어,불음주의 5계의 죄과와 그 악보에 대해서도 설해지고, 1일 1야  동안 .. 2015. 2. 27.
불교경전 : 제 8. 밀교경전 산과바다 불교경전 HOME    제 8. 밀교경전    41. 대일경   42. 금강정경   43. 유희야경   44. 천수경   41. 대일경 「대일경」은 「대비로자나성불신변가지경」의 별칭으로서 7세기 중엽에 성립한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7권 36품의 진언삼부경 중 하나입니다. 대일여래(비로자나불)가 체험한 성불의 경지와 비로자나불이 나타내 보여 주는 신변가지(身變加持)를 설하는 방광(方廣)대승경 중의 가장 으뜸이 되며, 밀교의 근본경전 중의 하나로서 제1「입진언문주심품」부터 제31「촉루품」이상 6권까지가 『대일경』의 원본으로서 당나라 학승인 무행(無行)이 인도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그리고 '제32진언행학처품' 이하 제36진 언사업품 이상 7품까지는 공양절차법으로서 선무외삼장(637~735)이 가져온.. 2015. 2. 27.
불교경전 : 제 7. 법화 화엄경전 산과바다 불교경전 HOME    제 7. 법화 화엄경전    37. 법화경   38. 대반열반경   39. 십지경론   40. 화엄경   37. 법 화 경 사상적 배경> 법화경은 대승불교의 경전이다. 잘  알려진대로   부파불교가  난해하고 번쇄한 교리를 수립하고 어려운 실천에 전념하던때 민중들과 그 지도자들 사이에 하나의 새로운 종교개혁운동이 일어났는데 그것이  대승불교이다.이 대승불교는 한때 한곳에서 급속히 흥기한 것이 아니고 오랜 동안  여기 저기에서 운동이 일어나면서 여러 가지가 한데 어울려 대승불교를  형성해 갔다. 이들의 주장은 부파불교에서 잊고 있었던 석가모니. 붓다의 기본입장으로 복귀하려는 면도 적지 않다. 그러므로 부파불교의 일부 엘리트 중심의 불교나 전문가 중심의 불교가 아닌 모든 인간.. 2015. 2. 27.
불교경전 : 제 6. 방등경전 산과바다 불교경전 HOME    제 6. 방등경전  30. 대집경 31. 대보적경 32. 대방등여래장경 33. 유마경 34. 승만경 35. 원각경 36. 능엄경   30. 대집경 (大集經) 대집경>은 대방등대집경>의 준말로 전체 17품 6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방등이라 함은 대승경전을 통칭하는 말이요, 대집이라 함은 많이 모았다는 말로서 곧 대승의 교리를 많이 모았다는 뜻이다.  중국 수나라 때 승취(僧就)가 편찬한 경으로 제1품에서 제11품까지의 26권과 제13품의 3권은 북량의 담무참(曇無讖)이 번역했다.  제12품 4권은 송나라 때 지엄(智儼)과 보운(寶雲)의 공동번역(427년)으로 무진의보살경>이라는 별행본으로 전해오고 있다.  제14품 12권, 제15품 11권, 제16품 2권은 나련제야사 .. 2015. 2. 27.
불교경전 : 제 5. 반야경전 산과바다불교경전 HOME    제 5. 반야경전  24. 반야심경 25. 금강경 26. 대반야바라밀다경 27. 문수반야바라밀경 28. 대반야경 29.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   24. 반야심경 (般若心經) 대반야경> 6백 권의 사상을 한자 260자로 가장 짧게 요약하여 그 진수만을 담고 있는 경전이라 하면 반야심경>을 떠올린다. 반야바라밀다심경>의 준말로 핵심은 역시 공(空)사상이다.  이 세상의 모든 것이 실체가 없는 공임을 철저하게 터득함으로써 반야(지혜)를 얻어, 결국에는 정각(正覺)을 이룰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거의 모든 법회의식에서 독송되고 있으며, 반야부 경전 중에서도 가장 많이 읽히고 있다. 경전을 살펴보면 관세음보살을 통해서 반야의 인격을 보였으며, 불생불멸을 통해서 반야의 실.. 2015. 2. 27.
불교경전 : 제 4. 삼매 수행경전 산과바다 불교경전 HOME    제 4. 삼매 수행경전  17. 반수의경 18. 수행도지경 19. 반주삼매경 20. 관불삼매경 21. 금강삼매경 22. 능가경 23. 해심밀경   17. 반수의경 - 불설대안반수의경(佛說大安般守意經) 2권. 후한(後漢) 시대(A.D. 148∼170) 번역. [역] 안세고(安世高). [약] 대안반경(大安般經), 수의경(守意經), 안반경(安般經), 안반수의경(安般守意經). 안반(安般)이란 산스크리트 어 아나파나사티(Anpanasati)에서 들숨을 뜻하는 아나( na)와 날숨을 뜻하는 아파나(ap na)를 음역한 말이다. 사티란 의식을 집중한다는 뜻인데, 수의(守意)라고 번역하였다. 아나파나사티란 호흡에 의식을 집중함으로써 정신을 안정시키고 마음을 제어하여 깨달음에 이르는 수행.. 2015. 2. 27.
불교경전 : 제 3. 인연 설화경전 산과바다 불교경전 HOME    제 3. 인연 설화경전   9. 본생경 10. 불본행집경 11. 출요경 12. 인과경 13. 비유경 14. 현우경 15. 백유경 16. 육도집경   9. 본생경(本生經) 본생경>은 부처님이 전생에 어떠한 선행과 공덕을 쌓았기에 이승에서 부처님이 될 수 있었는가에 대한 인과(因果)의 이야기 547가지를 모은 것이다.  다시 말해 부처님이 이승에서 깨달음을 얻기 전인 과거세에 수행자로 있을 때를 '보살(菩薩)' 또는 '대사(大士)'라고 하는데, 이 경은 바로 이러한 보살 또는 대사의 이야기인 것이다.  일찍이 유럽에 전해져 이솝우화에 편입될 정도로 설화문학에 있어서 세계적인 보고(寶庫)로 평가받고 있다.  이 경의 이야기는 3부로 구성되어 진행된다.  먼저 부처님이 자신의 전.. 2015. 2. 27.
불교경전 HOME 산과바다  불교경전 HOME  불교경전의 분류 및 요약제 1. 총론1. 경전의 의미2. 경전의 성립3. 경전의 구성과 조직4. 경전의 어계5. 경전의 분류6. 경전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제 2. 초기경전1. 숫타니파타2. 법구경3. 자설경4. 여시어경5. 장로(니)게경6. 선생경7. 기세인본경8. 대반열반경제 3. 인연 설화경전9. 본생경10. 불본행집경11. 출요경12. 인과경13. 비유경14. 현우경15. 백유경16. 육도집경제 4. 삼매 수행경전17. 반수의경18. 수행도지경19. 반주삼매경20. 관불삼매경21. 금강삼매경22. 능가경23. 해심밀경제 5. 반야경전24. 반야심경25. 금강경26. 대반야바라밀다경27. 문수반야바라밀경28. 대반야경29. 대승이취육바라밀다경제 6. 방등경전30. 대집.. 2015. 2.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