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등골나물속14

골등골나물 Lindley Eupatorium 산과바다 골등골나물 Lindley Eupatorium 2024. 11. 2. 담음 등골나물로만 알았었는데 꽃의 색깔이 좀 달라 구분해서 불러줘야겠군요. * 등골나물의 꽃은 흰 자줏빛을 띠는데  * 골등골나물의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구분이 되는군요. * 골등골나물은 등골나물의 한 종류인데, ‘골’이란 골짜기를 말한다. 등골나물이란 이름은 우선 풀 전체를 반쯤 말리면 등꽃 향기가 나서 붙여졌다는 설과 잎의 가운데 갈라진 잎맥에 등골처럼 고랑이 있어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골등골나물 Eupatorium lindleyanum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골등골나물은 등골나물의 한 종류인데, ‘골’이란 골짜기를 말한다. 등골나물이란 .. 2024. 11. 2.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산과바다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2023. 10. 25. 담음 꽃은 흰색의 갓털이 길게 나와 특이하더니 열매인 수과가 익어가는군요.                   등골나물과 골등골나무 꽃의 색깔이 좀 달라 구분해서 불러줘야겠군요. * 등골나물의 꽃은 흰 자줏빛을 띠는데  * 골등골나물의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구분이 되는군요. * 골등골나물은 등골나물의 한 종류인데, ‘골’이란 골짜기를 말한다. 등골나물이란 이름은 우선 풀 전체를 반쯤 말리면 등꽃 향기가 나서 붙여졌다는 설과 잎의 가운데 갈라진 잎맥에 등골처럼 고랑이 있어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 2023. 10. 26.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산과바다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2023. 9. 2. 담음 * 흰색의 갓털이 길게나와 특이하군요. 등골나물과 골등골나무 꽃의 색깔이 좀 달라 구분해서 불러줘야겠군요.  * 등골나물의 꽃은 흰 자줏빛을 띠는데   * 골등골나물의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구분이 되는군요. * 골등골나물은 등골나물의 한 종류인데, ‘골’이란 골짜기를 말한다. 등골나물이란 이름은 우선 풀 전체를 반쯤 말리면 등꽃 향기가 나서 붙여졌다는 설과 잎의 가운데 갈라진 잎맥에 등골처럼 고랑이 있어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아래는 골등골나물로꽃의 색깔이 연한 자줏빛으로 등골나물과 구분이 되는군요.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 2023. 9. 3.
골등골나물 Lindley Eupatorium 산과바다 골등골나물 Lindley Eupatorium  2023. 9. 2. 담음  등골나물로만 알았었는데 꽃의 색깔이 좀 달라 구분해서 불러줘야겠군요.  * 등골나물의 꽃은 흰 자줏빛을 띠는데   * 골등골나물의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구분이 되는군요. * 골등골나물은 등골나물의 한 종류인데, ‘골’이란 골짜기를 말한다. 등골나물이란 이름은 우선 풀 전체를 반쯤 말리면 등꽃 향기가 나서 붙여졌다는 설과 잎의 가운데 갈라진 잎맥에 등골처럼 고랑이 있어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아래는 등골나물로 꽃의 색깔이 흰 자주빛으로 골등골나물과 다르군요.      골등골나물 Eupatorium lindleyanum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골등골나물은.. 2023. 9. 3.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산과바다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2020. 8. 27. 담음 * 야산 기슭 양지바른 풀밭에 자람을 담았는데    7월~10월까지 하얀 갓털이 뒤엉켜 특이하게 보이는 꽃을 오랫동안 볼 수 있군요.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잎은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 2020. 8. 28.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산과바다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2019. 8. 28. 담음 * 야산 기슭 양지바른 풀밭에서 담았는데 7~10월까지 하얀 갓털이 뒤엉켜 특이하게 보이는 꽃을 오랫동안 볼 수 있군요.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잎은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 2019. 9. 6.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산과바다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2018. 9. 24. 담음 * 야산 기슭 양지바른 풀밭에서 담았는데 7~10월까지 하얀 갓털이 뒤엉켜 특이하게 보이고 꽃을 오랫동안 볼 수 있군요.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잎은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2018. 9. 28.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산과바다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2018. 7. 11. 담음 * 야산 등산로 양지바른 풀밭에 꽃이 막 피려고 하는군요.  * 7월부터~10월까지 하얀 갓털이 뒤엉키는 특이한 현상으로  꽃을 피워 오랜 기간 볼 수 있더군요.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잎은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 2018. 7. 12.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산과바다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2017. 8. 27. 담음 * 야산 등산로 양지바른 풀밭에서 담았는데 갓털(꽃술)이 하얀실 같이 엉클어져 있음이 특이하군요.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잎은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선점(腺點.. 2017. 9. 1.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산과바다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2016. 9. 3. 담음 * 야산 풀밭 등산로에서 담았는데 흰색의 갓털이 특이하군요.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잎은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선점(腺點)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맥은 6.. 2016. 9. 4.
골등골나물 Lindley Eupatorium 산과바다 골등골나물 Lindley Eupatorium 2014. 9. 12. 담음 등골나물로만 알았었는데 꽃의 색깔이 좀 달라 구분해서 불러줘야겠군요. * 등골나물의 꽃은 흰 자줏빛을 띠는데  * 골등골나물의 꽃은 연한 자줏빛으로 구분이 되는군요.      골등골나물 Eupatorium lindleyanum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골등골나물은 등골나물의 한 종류인데, ‘골’이란 골짜기를 말한다. 등골나물이란 이름은 우선 풀 전체를 반쯤 말리면 등꽃 향기가 나서 붙여졌다는 설과 잎의 가운데 갈라진 잎맥에 등골처럼 고랑이 있어서 붙여졌다는 설이 있다. 어쨌든 나물 이름으로는 좀 엽기적이다.골등골나물은 우리나라 각처의 산과 들에서 자라는 .. 2014. 9. 14.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산과바다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2013. 7. 25. 담음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잎은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선점(腺點)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맥은 6~7쌍으로서 올라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꽃은 7∼10월에.. 2013. 7. 26.
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 산과바다등골나물 Chinese eupatorium2012. 7. 20. 담음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잎은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선점(腺點)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맥은 6~7쌍으로서 올라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꽃은 7∼10월에 흰 .. 2012. 7. 21.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산과바다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2011. 8. 1. 담음      등골나물 Eupatorium chinensis var. simplicifoliu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등골나물속(Eupatorium) 국화과 여러해살이풀.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 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 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잎은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선점(腺點)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 잎맥은 6~7쌍으로서 올라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꽃은 7∼10월.. 2011. 8.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