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격포항9

격포항과 채석강의 아름다움 산과바다 예쁜모델옆에서 창근벗님 활짝웃는 모습 아름답습니다. 격포항과 채석강의 아름다움 2015. 10. 8. 담음 산과바다는 이창근 벗님과 부부 동반하여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격포항에 가보다 채석강의 이름은 중국 당나라의 시선 이태백이 달빛 아름다운 밤, 뱃놀이를 하며 술.. 2015. 10. 9.
불멸의 이순신 세트장에 가보다 산과바다불멸의 이순신 세트장에 가보다2011. 10. 29. 담음전북 부안군 변산반도 하섬-격포항-궁항산과바다는 선재(한병국)님과 동행하섬 조개잡이 후-격포항 방파제-궁항 전라좌수영 불멸의 이순신 세트장 둘러보기 비단조개가 많이 잡힌다. 선재님! 조금만 잡으시라니까...... 많이 잡더니만 들고 나오기 끙끙대는군요. 격포항의 남쪽방향 방파제까지 만들어진 난간길이다. 요트 정박장 건설 중 이란다.   낚시 할 수 있게 만들어 놓았군요. 낚시 좋아하는 산과바다는 그냥 지나칠 수가 없어서.......  격포항과 닭이봉이 아름답게 보이는 군요.   궁항 방파제 물이 넘치고 있군요.  궁항에 위치한 이순신 세트장에 들린다.  실제의 나무기둥에 기와를 엊어 지었군요. 선재님 앉아보시요. 갑옷을 입고 앉으셔야지요. .. 2011. 10. 31.
산국 Northern dendranthema 산과바다 산국 Northern dendranthema 2011. 10. 15. 담음 산국과 감국은 꽃 모양이 비슷한데 꽃의 크기, 개화 시기, 줄기의 색이 다르군요. * 산국, 감국의 구분종꽃 지름개화 시기줄기 색과 모양산국1~1.5cm(작다)9~11월(이르다)녹색이고, 많은 가지, 곧추선다.감국2.5cm(크다)10~12월(늦다)검은 자주색, 가늘고 길다.      산국 Dendranthema boreale (Makino) Lingex Kita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산국속(Dendranthema) 전국의 산과 들에 흔하게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높이 약 1m이다. 뿌리줄기는 길게 벋으며 줄기는 녹색이고 모여나고 곧추선다. 흰 털이 나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뿌리에.. 2011. 10. 20.
도깨비쇠고비 Hollyfern 산과바다도깨비쇠고비 Hollyfern2011. 10. 15. 담음      도깨비쇠고비 Cyrtomium falcatum (L. f.) C. Presl     양치식물문 >고사리강 >고사리목 >고란초과 >쇠고비속 도깨비쇠고비는 제주도와 울릉도, 중부지방 해안가의 돌 틈에서 자라는 상록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양지나 반그늘의 돌 틈에서 자란다. 키는 20~40㎝이고, 잎은 새의 깃 모양으로 억세고 가죽 같으며 암록색에 광택이 나고 뿌리에서 뭉쳐서 올라오며 잎자루 길이는 15~40㎝로, 갈색 또는 흑갈색의 인편이 있다. 포자낭군은 잎 뒷면 전체에 산재해 있고, 익으면 중앙부가 검은 갈색으로 된다. 주로 관상용으로 쓰인다.  * 쇠고비속 : 긴잎도깨비쇠고비, 도깨비고비, 도깨비쇠고비, 산쇠고비, 쇠고비, .. 2011. 10. 19.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산과바다 해국 Seashore spatulate aster  2011. 10. 15. 담음 격포항 절벽에서 자람을 담음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참취속(Aster) 해변국이라고도 한다. 바닷가에서 자란다. 줄기는 다소 목질화하고 가지가 많이 갈라지며 비스듬히 자라서 높이 30∼60cm로 된다.잎은 어긋나지만 달걀을 거꾸로 세운 듯한 모양으로 밑에서는 모여 나며 두껍다. 양면에 털이 빽빽이 나서 희게 보이고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거나 톱니가 약간 있으며 주걱 모양이다.꽃은 7∼11월에 피고 연한 보라색 또는 흰색이며 가지 끝에 두화(頭花)가 달린다. 총포는 반구형이며 포조각은 털이 있고 3줄로 배열한다.열매는 수과.. 2011. 10. 18.
하섬 조개잡이 산과바다 하섬 조개잡이 2011.3.12 동반하여 변산 마실길 주변 하섬 바닷가 동죽과 맛조개...... 새로워진 격포항에 가보고 동죽을 잡으며 바다가 살아있어 조개들이 숨을쉰다 서해안 조개잡이 즐거움에 다가가서 갈매기 노래소리에 썰물되어 즐기네 2011.3.12 산과바다 이계도 보이는 섬이 하.. 2011. 3. 13.
새로워지는 격포항 산과바다 닭이봉 전망대휴게소에서 내려다본 격포항이 아름답군요 새로워지는 격포항 2011.3.6. 낚시 좋아하는 산과바다는 방파제를 둘러보았다. 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경칩일인데 바다에도 개구리가 깨어 나올까? 깨끗하게 정리된 흰등대 방파제가 준공식을 기다린다. 준공식은 2011.4.1 예정이란다. 격포항은 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에 위치하고 인근 격포마을은 '아름다운 어촌 100선'에 선정된 마을이다. 주변의 위도, 고군산군도 홍도 등 서해안 도서와 연계된 해상교통의 중심지다. 청정해역에는 수산물이 풍부해 봄엔 주꾸미 가을엔 전어가 유명하다. 주꾸미, 갑오징어, 전어, 꽃게, 우럭, 백합, 바지락 등이 많이 잡히고, 횟집과 음식점들도 많이 들어서 있다. 채석강(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에 위치)은 .. 2011. 3. 6.
새로워지는 격포항 산과바다  새로워지는 격포항2010. 2. 7.나 홀로 격포항을 가보다.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격포항은 옛날 수군의 근거지로 수군별장, 첨사 등을 두어 왔고, 조선시대에는 전라우수영 관할의 격포진이 있었던 곳이다. 1986년 3월 1일에 1종항으로 승격된 격포항은 위도, 고군산군도 등 서해안 도서와 연계된 해상교통의 중심지이고 특히 주변의 채석강, 수성당, 적벽강, 격포해수욕장 등이 관광지와 바다 낚시터로 각광을 받고 있다.  격포항의 오른쪽 채석강쪽은 유람선 선착장 공사로 들어갈 수 가 없다. 흰등대 방향에 유람선 선착장이 들어선단다.  격포항 왼쪽에 모함을 데려왔군요.  빨간등대 방향으로 난간을 만들어 놓았는데 아직 개통을 안했는지 개구멍으로 들어다닌다.  닭이봉이 건너에 보이고,,,,,,   .. 2010. 2. 8.
채석강에 가보다. 산과바다채석강(彩石江)에 가보다. 2007년 4월 22일위치-전북 부안군 변산면 격포리 301-1채석강의 해식애(海蝕崖) 해식동굴 퇴적층의 모습 과학 학습자료로 활용하면 좋겠기에 채석강은 중국 당나라 시인 이태백이 배를 타고 술을 마시다가 강물에 뜬 달을 잡으려다 빠졌다는 채석강과 흡사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채석강은 변산반도 격포항에서 닭이봉 일대를 포함한 1.5㎞의 층암절벽과 바다를 말한다.흔히 강으로 오해되기 쉬운데 강이 아니고 바닷가의 절벽이다. 절벽은 마치 10,000권의 책을 쌓아 올린 것 같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여러가지 색이 조화를 이룬다.  채석강이 끝나는 북쪽에는 격포해수욕장이 있고, 닭이봉 꼭대기에는 팔각정의 전망대가 있는데 이곳에서 위도와 칠산 앞 바다를 볼 수 있다. .. 2007.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