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에는 꽃이 피네3779 고마리 Ditch persicaria 산과바다 고마리 Ditch persicaria 2023. 9. 27. 담음 * 습지에서 자람을 담았는데 꽃은 흰색, 흰색 바탕에 붉은빛이나 또는 분홍색으로 피고 가지 끝에 10~20개씩 뭉쳐서 달리는데 흰색 꽃이 아름답게 피었군요. 고마리 Persicaria thunbergii (Siebold & Zucc.) H. Gross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ersicaria) 고만이라고도 한다. 도랑이나 산지의 물가에서 무리 지어 전국적으로 흔하게 자란다. 줄기는 모가 지고 길이가 1m에 달하며 상부는 비스듬히 서고 줄기는 능선을 따라 아래로 향한 가시가 있으며 털은 없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있으나 윗부분 것은 엽병이 없고 창검 같으며 길이 4~.. 2023. 9. 27. 사데풀 Sonchus brachyotus 산과바다 사데풀 Sonchus brachyotus 2023. 9. 23. 담음 사데풀 Sonchus brachyotus DC.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방가지똥속(Sonchus) 바닷가에 가까운 들에서 무리지어 자란다. 줄기는 높이 30-100cm이고 전체에 유백색즙이 있으며 줄기는 곧추서고 단일하거나 가지를 적게 치며 털이 없고 세로로 줄이 있다. 잎은 어긋나기하며 엽병이 없고 어려서는 자홍색을 띠나 자라면서 회록색을 띤다. 근생엽은 꽃이 필 때 없어진다. 줄기잎은 잎 사이가 짧고 긴 타원형이며 끝이 둔하고 길이 12~18cm, 나비 1~2.8cm로서 밑부분이 좁아져서 원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거나, 치아 모양 톱니가 있거나 또는 불규칙하게 우상으로 갈라지고 열편은 떨어져 .. 2023. 9. 24. 유홍초 Cypress vine 산과바다 유홍초 Cypress vine 2023. 9. 23. 담음 * 둥근잎유홍초에 비해 유홍초는 잎이 빗살같이 갈라져 새깃(가는잎)유홍초라고도 하는데 모두 유홍초 이군요. 유홍초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유홍초란 한자명 留紅草(유홍초)에서 온 이름이며 縷紅草(누홍초)라고도 한다.줄기는 길이 1~2m이고 덩굴이 왼쪽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있고 빗살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좌우로 퍼진다.꽃은 7~8월에 피며 홍색 또는 백색이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 2023. 9. 24. 망초 Canadian horseweed 산과바다 망초 Canadian horseweed 2023. 9. 10. 담음 * 꽃은 작고 보잘것없는데 수과(瘦果)에 깃털이 달려 풍산포(風散布) 하고 있군요. * 망초를 비롯해 과거에 망초속(Conyza Less.)으로 분류되는 식물이 개망초속에 포함되었다. 출처 : 개망초속 위키백과 망초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개망초속(Erigeron) 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 전국의 들이나 길가에 자라는 두해살이풀이다. 높이 100~150cm 정도로 곧게 자라고 전체에 굵은 털이 덮인다. 잎은 뿌리잎(根生葉)과 줄기잎이 다르고 뿌리잎(莖生葉)은 주걱형으로 방석형태로 퍼져 나가며 꽃이 필 때 없어진다.. 2023. 9. 13. 해당화 海棠花 Sweet brier 산과바다 해당화 海棠花 Sweet brier 2023. 9. 10. 담음 원산도 해변에서 담음 해당화(海棠花) Rosa rugosa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장미과 >장미속(Rosa) 해당나무·해당과(海棠果)·필두화(筆頭花)라고도 한다. 바닷가 모래땅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 1∼1.5m로 가지를 치며 갈색 가시가 빽빽이 나고 가시에는 털이 있다.잎은 어긋나고 홀수 깃꼴겹잎이다. 작은 잎은 5∼9개이고 타원형에서 달걀 모양 타원형이며 두껍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표면에 주름이 많고 뒷면에 털이 빽빽이 남과 동시에 선점(腺點)이 있다. 턱잎은 잎같이 크다.꽃은 5∼7월에 피고 가지 끝에 1∼3개씩 달리며 홍색이지만 흰색 꽃도 있다. 꽃은 지름 .. 2023. 9. 10. 순비기나무 Rotundifolia 산과바다 순비기나무 Rotundifolia 2023. 9. 10. 담음 원산도 해변에서 담음 순비기나무 Vitex rotundifolia L. fi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꿀풀목 >꿀풀과 >순비기나무속(Vitex) 상록 관목으로 지하경이 옆으로 뻗으면서 덩굴처럼 퍼져 만형(蔓荊)이라고도 한다. 따뜻한 곳에서는 상록이지만 추운 곳에서는 낙엽이 지는 식물로 전체에 회백색의 잔털이 있다. 소지(小枝)는 약간 네모지며 백색 털이 밀생하여 전체가 백분이 덮여 있는 것 같다.잎은 두꺼우며 난형·도란형·넓은 타원형으로 마주난다. 길이 2∼5㎝, 너비 1.5∼3㎝로서 .. 2023. 9. 10. 채송화 Rose moss 산과바다 채송화 Rose moss 2023. 9. 9. 담음 * 꽃잎의 모양과 색깔이 다양하고 꽃잎 가운데 또 꽃이 피는 것 같군요. * 꽃이 낮에는 피었다가 오후에 시드는데 햇빛 받을 때만 피는 것도 특이하군요. 채송화 Portulaca grandiflora Hook.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석죽목 >쇠비름과 >쇠비름속(Portulaca) 채송화는 남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마당의 한켠이나 담벼락 아래 주로 심었으며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줄기는 붉은 빛을 띠고 가지가 많이 갈라져서 퍼지며 높이 20cm내외이다. 잎은 육질로 어긋나고 가늘고 긴 원기둥 모양이고 잎겨드랑이에 흰색털이 있다. 꽃은 가지 끝에 1~2송이씩 달리고 지름 2.5cm 정도로 2개의 꽃받침조각.. 2023. 9. 9. 박주가리 Rough potato 산과바다 박주가리 Rough potato 2023. 9. 9. 담음 꽃이 별 모양으로 5갈래로 깊게 갈라지고 꽃부리에는 연한 흰 털이 촘촘하게 나 있음이 특이하군요. * 하수오와 덩굴이 비슷한데 하수오 잎은 오메가(Ω)처럼 동그랗게 파여 있어 구분된다.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용담목 >박주가리과 >박주가리속(Metaplexis) 양지의 건조한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길이가 3m 이상에 달하고 자르면 젖 같은 액체가 나온다. 뿌리는 땅속줄기가 길게 뻗어 번식한다. 잎은 마주나기하고 난상 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고 길이 5~10cm, 폭 3~6cm로서 털이 없으며 약간 두껍고 톱니가 없으며 지맥이 분명하고 뒷면이 분처럼 희다. 꽃은 .. 2023. 9. 9.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산과바다 미국쑥부쟁이 Frost aster(White heath aster) 2023. 9. 9. 담음 * 흰색 꽃만 보아왔는데 옅은 붉은 보라색의 꽃도 있더군요. * 흰 꽃이 피는 것을 '백공작', 푸른 꽃이 피는 것을 '청공작'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 >참취속(Aster) 산지나 들판 길가 등에서 자란다. 북아메리카 원산의 귀화식물로서 1970년대 말 강원도 춘천시 중도 지방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중도국화 털쑥부쟁이라고도 한다. 줄기는 무모(無毛) 또는 거센털, 원뿔 모양으로 분지(分枝)하며, 아래쪽은 목질화(木質化)되고, 높이 30~100cm, 가지는 총상(總狀)을 이루며 작은 가지들은 한.. 2023. 9. 9. 둥근잎나팔꽃 common morning glory 산과바다 둥근잎나팔꽃 common morning glory 2023. 9. 9. 담음 * 날씨가 맑은 아침 오전에만 꽃잎이 열리는군요. 둥근잎나팔꽃 Ipomoea purpurea (L.) Roth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가지목 >메꽃과 >나팔꽃속(Pharbitis) 열대 아메리카 원산으로 밭 주변에 흔히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줄기는 덩굴성이며, 길이 1~3m, 밑을 향하는 털이 있다. 잎자루는 가늘며, 길이 8~15cm이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난형으로 길이 6~10cm, 폭 5~8cm,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심장형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7~10월에 피고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 끝에 1~5개가 모여 달린다. 꽃잎은 깔때기 모양이며, 지름 5~10cm, 청색 또는 자.. 2023. 9. 9. 까치깨 Glabrous fruit corchoropsis 산과바다 까치깨 Glabrous fruit corchoropsis 2023. 9. 9. 담음 * 까치깨는 털이 길고 꽃은 소형에 꽃술 끝에 붉은 점이 보이고 열매에 털이 없고 꽃받침이 젖혀지지 않는 점이 수까치깨와 다르군요. 까치깨 Corchoropsis psilocarpa Harms & L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아욱목 >벽오동과 >까치깨속(Corchoropsis) 벽오동과의 한해살이풀로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는 30~90cm이다. 줄기는 원기둥 모양이며 긴 털과 굽은 잔털이 난다. 가늘고 곧게 서며 가지를 친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이처럼 생긴 톱니가 있다. 길이 3.5∼6cm, 나비 2∼3.5cm로 잎 뒷면에 털이 약간 난다... 2023. 9. 9. 가막살나무 Linden viburnum 산과바다 가막살나무 Linden viburnum 2023. 9. 9. 담음 * 빨간 열매가 광채가 나며 잎 위로 모여나 있음이 특이하군요. 가막살나무 Viburnum dilatatum Thunb.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산토끼꽃목 >인동과 >산분꽃나무속(Viburnum) 산중턱 이하의 숲속에서 자라며 내한성이 강하며 내음성과 내조성(바닷바람에 견디는 성질)도 좋은 내공해성 나무이다. 나무껍질에 껍질눈이 있으며, 전체에 거친 털이 있고 일년생가지는 회록색 성모와 선점이 있다.잎은 마주나기 하며 타원형이고 넓은 달걀형이며 좁아지는 점첨두, 원저 또는 아심장저로 길이와 폭이 각 6~11cm× 4.5~10.5cm로, 양면에 별 모양 털이 있고 뒷면에 샘이 있으며 잎자루 길.. 2023. 9. 9. 한련초 旱蓮草 Eclipta 산과바다 한련초 旱蓮草 Eclipta 2023. 9. 2. 담음 * 야산 기슭의 논두렁 습지에서 담았는데 꽃이 없었으면 알아볼 수 없었을 것 같군요. * 한련초는 한방에서 예장(鱧腸)이라 하며 지혈작용 혈분(血糞)을 비롯하여 보음(補陰), 보신(補腎-정력을 도움) 등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근육과 뼈(근골 筋骨)를 튼튼하게 해준다고 한다.* 줄기를 꺾으면 진이 흘러나와서 조금 지나면 까맣게 바뀌는 것이 이 풀의 특징이군요. 한련초 Eclipta prostrata 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국화목 >국화과 >한련초속(Eclipta) 예장초(鱧腸草) 하년초 금릉초(金陵草) 연자초(蓮子草) 묵연초(墨烟草) 묵채(墨菜) 저아초(猪牙草) 한련풀이라고도 한다. 논둑이나 밭의 습지에서 자란다.. 2023. 9. 3. 파리풀 Asian lopseed 산과바다 파리풀 Asian lopseed 2023. 9. 2. 담음 * 뿌리를 찧어 종이에 먹인 다음 파리를 잡기 때문에 파리풀이라 한다는군요. 파리풀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 Hara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파리풀과 >파리풀속(Phryma) 산과 들의 약간 그늘진 곳에서 자란다. 높이 50∼70cm이다. 포기 전체에 털이 나며 줄기가 곧게 서고 줄기의 마디 바로 윗부분이 특히 굵어진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모양이며 길이 7∼9cm, 너비 4∼7cm로 잎자루가 길다. 양면에 털이 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7∼9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수상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길이 10∼20cm로서 줄기나 가지 끝에 달린다. 포는 좁은 달걀모양이고 .. 2023. 9. 3. 금방동사니 Microiria flatsedge 산과바다 금방동사니 Microiria flatsedge 2023. 9. 2. 담음 * 방동사니는 습생(濕生 ) 논이나 밭둑, 강가의 양지바른 풀밭에서 자라는데 * 금방동사니는 건생(乾生) 밭을 좋아하며, 평지의 길가, 경작지나 빈터 등에서 자라는 서식지가 다르군요. 금방동사니 Cyperus microiria Steud. 속씨식물문 >외떡잎식물강 >사초목 >사초과 >방동사니속(Cyperus) 금방동사니는 건생(乾生) 밭을 좋아하며, 평지의 길가, 경작지나 빈터 등에서 흔하게 자란다. 일부러 물을 공급하지 않고서도 농사를 지을 수 있는 밭 경작지에서 잘 산다. 줄기는 한해살이로 4~5월에 발아하며, 단생(單生)하거나 2~3개씩 모여서 나고 향기가 난다. 뿌리에도 강한 향기가 있다.잎은 .. 2023. 9. 3. 알밤 Chestnut 산과바다 알밤 Chestnut 2023. 9. 2. 담음 * 지난 6월 초에 꽃을 담았는데(밤나무(23. 6. 4) 벌써 알밤이 떨어지는군요. 밤나무 Castanea crenata S. et Z.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참나무목 >참나무과 >밤나무속(Castanea) 산기슭이나 밭둑에서 자란다. 높이 10∼15m, 지름 30∼40cm이다. 나무껍질은 세로로 갈라진다. 작은 가지는 자줏빛을 띤 붉은 갈색이며, 짧은 털이 나지만 나중에 없어진다. 잎은 어긋나고 곁가지에서는 2줄로 늘어서며, 타원형·긴 타원형 또는 타원 모양의 바소꼴이다. 길이 10∼20cm, 나비 4∼6cm이고 물결 모양의 끝이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겉면은 짙은 녹색이며 윤이 나고, 뒷면은 성모(星毛:.. 2023. 9. 3. 흰명아주여뀌 Water pepper 산과바다 흰명아주여뀌 Water pepper 2023. 9. 2. 담음 * 이삭꽃차례로 흰색이며 이삭이 밑으로 처짐이 특이하군요. 흰명아주여뀌 Persicaria lapathifolia f. alba Y.N.Lee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마디풀목 >마디풀과 >여뀌속(Persicaria) 꽃이 흰 명아주여뀌이며, 명아주여뀌와 같은 장소( 물가나 습지의 밭)에서 난다. 줄기의 가지는 굵고, 붉은빛이 돌며 원줄기에 흑갈색 점이 있다.잎은 어긋나기, 타원상 피침형 또는 피침형, 길이 7~20cm, 맥과 가장자리에 털과 선점이 있고, 잎자루는 짧다. 엽초 모양의 턱잎은 막질, 가장자리에 털이 없다.꽃은 6~10월에 가지 끝에 달리는 이삭꽃차례, 흰색이며 이삭이 밑으로 처진다. 꽃받침 4장,.. 2023. 9. 3. 새박 Japanese melonette 산과바다 새박 Japanese melonette 2023. 9. 2. 담음 하얀꽃 1개가 잎겨드랑이에서 나와 잎 넘어로 빼꼼 내다보며 나를 반겨 주는듯하군요. * 제주도와 남부지방에서 자란다는 새박이 청주에서도 발견되는군요. * '새알처럼 생긴 박'이라는 뜻에서 이름이 유래되었다는군요. 새박 Melothria japonica Maxim.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박목 >박과 >새박속(Melothria) 한국에서는 제주도의 물가나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줄기는 가늘며 덩굴손으로 물체를 감고 오른다. 덩굴손이 잎과 마주난다. 잎은 어긋나며 세모진 달걀형으로 밑부분은 심장 모양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길이 3~6cm, 너비 4~8cm쯤 되며 3개로 갈라진 듯한 것도 있다. 꽃은 7~8월에 피고 암수 꽃 .. 2023. 9. 3. 이전 1 ··· 29 30 31 32 33 34 35 ··· 2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