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自金山放船至焦山(자금산방선지초산)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15.

산과바다

죽림칠현(竹林七賢)

蘇軾 詩 HOME

 

 

 

                自金山放船至焦山(자금산방선지초산) : 소식(蘇軾)

                금산에서 배를 띄워 초산에 이르다.

 

金山樓觀何耽耽撞鐘擊鼓聞淮南焦山何有有修竹采薪汲水僧兩三

雲霾浪打人跡絕時有沙戶祈春蠶我來金山更留宿而此不到心懷慚

同遊盡返決獨往賦命窮薄輕江潭清晨無風浪自湧中流歌嘯倚半酣

老僧下山驚客至迎笑喜作巴人談自言久客忘鄉井只有彌勒為同龕

困眠得就紙帳暖飽食未厭山蔬甘山林饑臥古亦有無田不退寧非貪

展禽雖未三見黜叔夜自知七不堪行當投劾謝簪組為我佳處留茅庵吳人謂水中可田者為沙焦山長老中江人也

 

 

金山樓觀何耽耽(금산누관하탐탐) : 금산의 누각이 아련하게도 보이고

撞鐘擊鼓聞淮南(당종격고문회남) : 종소리 북소리가 회남에서 들려 오네.

焦山何有有修竹(초산하유유수죽) : 초산에는 무엇이 있나 기다란 대나무와

采薪汲水僧兩三(채신급수승양삼) : 나무하고 물 긷는 스님이 두 서넛 있네.

雲霾浪打人跡絶(운매랑타인적절) : 파도는 철석이고 인적은 끊겼는데

時有沙戶祈春蠶(시유사호기춘잠) : 이따금 섬사람들 양잠 풍년 기원하네.

我來金山更留宿(아래금산갱유숙) : 나는 금산에 와서 묵기까지 했으면서

而此不到心懷慚(이차불도심회참) : 여기에 와 보지 않아서 속으로는 부끄럽네.

同遊興盡決獨往(동유흥진결독왕) : 흥이 식은 동행을 두고 혼자 오기 결심했더니

賦命窮薄輕江潭(부명궁박경강담) : 타고난 운명이 박복하여 험한 강하를 가볍게 본다네.

淸晨無風浪自湧(청신무풍랑자용) : 바람도 없는 이른 새벽에 물결이 절로 솟는데

中流歌嘯倚半酣(중류가소의반감) : 반쯤 취한 채 강 가운데서 노래하고 휘파람 부네.

老僧下山驚客至(노승하산경객지) : 노승은 산에서 내려와 나그네를 보고 놀라더니

迎笑喜作巴人談(영소희작파인담) : 반가이 맞아 웃음 띠고 즐겁게 세상사 이야기하네.

自言久客忘鄕井(자언구객망향정) : 객지 생활 오래되어 고향은 이미 잊었고

只有彌勒爲同龕(지유미륵위동감) : 오로지 미륵만이 동거인이라고 말하네.

困眠得就紙帳暖(곤면득취지장난) : 방장(房帳)이 따뜻하여 곤한 잠에 빠질 수 있고

飽食未厭山蔬甘(포식미염산소감) : 산나물 감미로워 배불리 먹어도 물리지 않네.

山林飢餓古亦有(산림기아고역유) : 산림에서 굶주린 일은 옛날에도 있었거늘

無田不退寧非貪(무전불퇴영비탐) : 밭 없다 은퇴치 않음이 어찌 탐욕이 아니리오

展禽雖未三見黜(전금수미삼견출) : 전금 유하혜세 번이나 내쫓겨도 유하는 떠나지 않았지만

叔夜自知七不堪(숙야자지칠불감) : 숙야는 일곱 가지 못 견딜 일을 스스로 알았네.

行當投劾謝簪組(행당투핵사잠조) : 머지않아 사직하고 관복을 벗을 테니

爲我佳處留茅菴(위아가처류모암) : 나를 위해 좋은 자리에 띠풀 암자 하나 남겨주오.

 

 

* 紙帳(지장) : 종이로 만든 房帳(방장)이나 모기장

* 전금(展禽) : 유하혜(柳下惠) 노나라 대부((大夫)) 전금(展禽)이다.

* 숙야(叔夜) 삼국(三國) 때 위() 나라 혜강(嵇康)의 자이다. 죽림칠현(竹林七賢) 중의 한 사람으로 속절(俗節)에 초연한 태도로 금서(琴書)와 시화(詩畫)를 즐기며 살았다

* 죽림칠현(竹林七賢) : 완적(阮籍) · 혜강(嵆康) · 산도(山濤) · 상수(向秀) · 유령(劉伶) · 완함(阮咸) · 왕융(王戎) 7인을 죽림칠현이라 한다. 이들은 위나라의 황위를 찬탈하고 진()나라를 세운 사마염(司馬炎) 등 사마씨 일족에 회유당해 해산되었다. 하지만 혜강만은 끝까지 사마씨의 회유를 뿌리치다 결국 사형당했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