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東坡居士 蘇軾 詩

夜泊牛口(야박우구) : 소식(蘇軾)

by 산산바다 2022. 9. 6.

산과바다

蘇軾 詩 HOME

 

 

 

                  夜泊牛口(야박우구) : 소식(蘇軾)

                  우구에 정박하여 밤을 지내며

 

日落紅霧生系舟宿牛口居民偶相聚三四依古柳

負薪出深谷見客喜且售煮蔬為夜餐安識肉與酒

朔風吹茅屋破壁見星斗兒女自咿嚘亦足樂且久

人生本無事苦為世味誘富貴耀吾前貧賤獨難守

誰知深山子甘與麋鹿友置身落蠻荒生意不自陋

今予獨何者汲汲強奔走

 

 

日落紅霧生(일락홍무생) : 서산에 해 떨어지고 붉은 노을이 생길 즈음

繫舟宿牛口(계주숙우구) : 배를 매어 놓고 우구에서 묵고 있네.

居民偶相聚(거민우상취) : 주민들이 마침 한곳에 모였는데

三四依古柳(삼사의고유) : 서너 명은 버드나무 고목에 기대어 있네

負薪出深谷(부신출심곡) : 나뭇짐을 짊어지고 계곡에서 나와서

見客喜且售(견객희차수) : 손님을 보고는 기뻐하며 파네.

煮蔬爲夜飧(자소위야손) : 푸성귀를 삶아서 저녁으로 삼는 터에

安識肉興酒(안식육흥주) : 고기와 술이야 어찌 알리오?

朔風吹茅獄(삭풍취모옥) : 삭풍은 초가집에 휘몰아치고

破壁見星斗(파벽견성두) : 허물어진 벽 틈으로 북두성이 보이네.

兒女自咿嚘(아녀자이우) : 아이들이 저 혼자서 옹알거리니

亦足樂且久(역족락차구) : 이 또한 즐길 만하고 오래 누릴만하네.

人生本無事(인생본무사) : 인생이란 본시 일이 없는 것인데

苦爲世味誘(고위세미유) : 세상 사는 재미에 무척 유혹되나니

富貴耀吾前(부귀요오전) : 부귀가 내 앞에서 뻔쩍거리고 있어

貧賤獨難守(빈천독난수) : 빈천을 지키기가 유독 어렵도다

誰知深山子(수지심산자) : 누구라 알리오 깊은 산 속에 사는 사람을

甘與麋鹿友(감여미록우) : 기꺼이 고라니 사슴과 친구 되어 사는 줄을

置身落蠻荒(치신락만황) : 저들은 비록 오랑캐 땅에 버려졌어도

生意不自陋(생의불자루) : 그렇다고 삶의 의지가 약한 것은 아니거늘

今予獨何者(금여독하자) : 지금 나는 유독 무엇 때문에

汲汲强奔走(급급강분주) : 바둥바둥 악을 쓰고 쫓아다니는 걸까?

 

 

* 牛口 : 지명. 허난(河南) 형양현(滎陽縣) 서북쪽에 있는 군사적 요충지로 무덕(武德) 4(621)에 두건덕(竇建德)이 이세민(李世民)과 대치하다 포로로 잡힌 곳이다.

* 朔風 : 겨울바람. 찬바람. 서북풍(西北風).

* 咿嚘(이우) : 탄식하다. 신음하다. 읊조리다. 닭이나 새가 우는 소리 또는 뚜렷하지 않게 들리는 사람들의 말소리를 가리키기도 한다. 한유(韓愈)赴江陵途中寄贈翰林三學士란 시에서 親逢道邊死, 佇立久咿嚘(길가에 죽어 있는 사람들 보고 / 말을 세우고 한참이나 탄식하였네.)’라고 했다.

* 世味(세미) : 세상을 사는 재미. 공을 세우고 명성을 얻기 위해 벼슬길에 나아가는 것을 가리키기도 한다. 한유(韓愈)示爽이란 시에서 吾老世味薄, 因循致留連. 强顔班行內, 何實非罪愆(나는 늙어 사는 재미 엷어졌지만 / 구습에 젖어 그대로 눌러앉아서 / 얼굴 두껍게 백관 속에 보태졌으니 / 그 자체가 어찌 잘못 아니겠느냐)’이라고 했다.

* 蠻荒(만황) : 도성에서 멀리 떨어진 벽지를 가리킨다. 한유(韓愈)謁衡岳廟遂宿岳寺題門樓란 시에서 竄逐蠻荒幸不死, 衣食纔足甘長終(거친 땅으로 쫓겨와서도 다행히 죽지 않았고 / 춥지 않고 배부르니 이곳에서 죽어도 아쉬울 것 없겠네.)’이라고 했다.

 

과거 급제 후 고향 미산(眉山)으로 돌아가 모친의 복상(服喪)을 끝낸 동파 형제가 가우(嘉祐) 4(1059), 부친과 함께 배편으로 장강(長江)을 따라 도성으로 가던 도중에 융주(戎州) 의빈(宜賓)의 우구(牛口)에 배를 대고 민가에 묵었을 때 쓴 것이다.

 

 

夜泊牛口 可以指

* 夜泊牛口 (蘇軾)

* 夜泊牛口 (蘇轍)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