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樂天 白居易 詩

한와유소사이수(閑臥有所思二首) - 백거이(白居易)

by 산산바다 2021. 2. 16.

산과바다

낙양성(洛陽城)

白居易 詩 HOME

 

 

 

              한와유소사이수(閑臥有所思二首) - 백거이(白居易)

              한가로이 누워서 이 생각 저 생각

 

 

其一

向夕搴簾臥枕琴(향석건렴와침금) : 해질녘에 발을 걷고 금을 베고 누웠다가

微凉入戶起開襟(미량입호기개금) : 서늘한 바람에 일어나서 옷깃을 벌렸더니

偶因明月淸風夜(우인명월청풍야) : 바람은 시원하고 달빛까지 환한 밤

忽想遷臣逐客心(홀상천신축객심) : 멀리서 달을 보고 있을 유배객이 생각나네.

何處投荒初恐懼(하처투황초공구) : 어디라도 만리객지 처음부터 두렵고

誰人繞澤正悲吟(수인요택정비음) : 누구라도 물가 돌며 슬픈 노래 부를 텐데

始知洛下分司坐(시지낙하분사좌) : 조정에서 낙양으로 온 뒤에야 비로소

一日安閑値萬金(일일안한치만금) : 편안히 지내는 하루 값이 만금인 걸 알았네.

 

 

其二

權門要路是身灾(권문요로시신재) : 권력의 문으로 드는 길 몸에 재앙을 부르더니

散地閑居少禍胎(산지한거소화태) : 벽지에서 편안히 지내보니 화근이 줄어드네.

今日憐君嶺南去(금일련군영남거) : 오늘은 영남으로 쫓겨 간 그대를 애석해하지만

當時笑我洛中來(당시소아낙중래) : 그때는 낙양으로 오는 나를 보며 놀려댔었지

蟲全性命緣無毒(충전성명연무독) : 끝까지 사는 벌레 몸에 독을 품지 않고

木盡天年爲不才(목진천년위부재) : 재목이 못 되는 나무들이 천 년을 살아가듯

大抵吉凶多自致(대저길흉다자치) : 좋든 나쁘든 대개는 자신이 부르는 것이러니

李斯一去二疏回(이사일거이소회) : 이사는 죽고 소씨 숙질 살아서 고향으로 돌아갔네.

 

 

* 明月淸風 : 속세를 벗어나 한가하고 여유롭게 지내는 것을 가리킨다.

* 遷臣逐客 : 폄적(貶謫)을 당해 조정에서 지방으로 쫓겨난 사람을 가리킨다.

* 投荒 : 조정에서 멀리 떨어진 외진 곳으로 좌천이나 유배되는 것을 가리킨다.

* 洛下 : 낙양성(洛陽城)을 가리킨다.

* 分司 : 당송(唐宋)의 제도로 낙양(洛陽)에 재임하는 중앙관원을 부르는 호칭이었다. 백거이는 달재락천항(達哉樂天行)이란 시에서도 達哉達哉白樂天, 分司東都十三年(그만하면 잘 살았다 백가 낙천아 / 낙양에서 산 세월이 십 년하고도 삼 년이니)’이라고 했다.

* 安閑(안한) : 편안하고 조용하게 지내는 것을 가리킨다.

* 禍胎 : 화근(禍根)

* 蟲全 이하 두 구절 : 벌레가 죽지 않고 살아남으려면 사람들에게 해를 입히지 않아야 하고, 나무가 천수를 다하고 죽으려면 재목으로 쓰일 수 없는 모양이어야 하는 것처럼 사람도 누군가 다른 사람에게 해로움을 끼치지 않는 사람이 천수를 누릴 수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 李斯 : ()나라 사람으로 진시황(秦始皇)을 도와 통일 제국을 세우는 데 큰 공을 세운 법가(法家) 정객으로 군현제(郡縣制)를 주장하고 분서갱유를 단행하였다. 진시황 사후에 조고(趙高)의 모함으로 참수되었다.

* ‘二疏 : 서한(西漢) 때 천자는 물론 관리와 백성들에게까지 찬사를 들으며 벼슬에서 물러나 고향으로 돌아가서 천수를 누린 소광(疏廣)과 그의 조카 소수(疏受) 두 사람을 가리킨다.

 

낙양(洛陽)에서 태자소부분사동도(太子少傅分司東都)라는 양로관(養老官)으로 있던 대화(大和) 9(835) 작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