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권주십사수(勸酒十四首) : 하처난망주칠수(何處難忘酒七首) - 백거이(白居易)
어느 곳에서나 술 잊기는 어려워
勸酒十四首〈并序〉
予分秩東都居多暇日閒來輒飲醉後輒吟苦無詞章不成謡詠毎發一意則成一篇凡十四篇皆主於酒聊以自勸故以何處難忘酒不如來飲酒命篇
내가 동도(東都:洛陽)에 살면서 한가로운 날이 많았다. 한가하면 술을 마시고 취하면 시를 읊으니, 만약 시문(時文)이 없었으면 노래를 부르지 못하였을 것이다. 매번 생각이 날 때 한편씩 만들다 보니 모두 14편이 되었는데 모두가 술에 관한 것으로 자작하며 즐기던 것이어서 하처난망주(何處難忘酒)와 불여래음주(不如來飮酒)로 이름 붙였다.
其一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 : 어느 곳에서나 술 잊기는 어려워
長安喜氣新(장안희기신) : 장안에서 공기의 신선함을 즐긴다.
初登高第後(초등고제후) : 처음 과거에 오르던 날
乍作好官人(사작호관인) : 잠깐 동안 좋은 관료가 되었다.
省壁明張榜(성벽명장방) : 성벽에는 밝게 방(榜)이 붙어있고
朝衣穩稱身(조의온칭신) : 공복이 편하게도 몸에 꼭 맞았다.
此時無一醆(차시무일잔) : 이러한 때 한 잔의 술도 없다면
爭奈帝城春(쟁내제성춘) : 다투어 서울의 봄을 어찌해야 하나.
其二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 : 어느 곳에서나 술 잊기는 어려워
天涯話舊情(천애화구정) : 먼 타향에서 헤어졌던 벗과 정담하네.
青雲俱不達(청운구부달) : 모두 청운의 뜻을 펴지 못하고
白髮遞相驚(백발체상경) : 백발이 성성하니 서로 번갈아 놀라네.
二十年前別(이십년전별) : 이십 년 전에 헤어져
三千里外行(삼천리외행) : 삼천리 밖에서 나그네로 다시 만났네.
此時無一醆(차시무일잔) : 이럴 때 술 한 잔이 없다면
何以敘平生(하이서평생) : 어떻게 평생의 마음을 풀어보겠는가.
* 天涯(천애) : 하늘 끝. 아득히 떨어진 타향.
* 俱不達(구부달) : 모두 출세를 하지 못하다.
* 遞相驚(체상경) : 번갈아 서로 놀라다.
백씨장경집(白氏長慶集) 서(序)에 “내가 동도(東都:낙양)에 대기상태가 되어, 살면서 한가로운 날이 많았다. 한가하면 곧 술을 마시고 취하면 곧 시를 읊었으니 만약 시가(詩歌)가 없으면 노래를 부르지 못할 것이다. 매번 생각이 날 때 한 편을 만들었는데 모두 14편이 되었다. 모두 주로 술에 관한 것으로 자작하며 즐기던 것이어서 ‘하처난망주(何處難忘酒)’와 '불여래음주(不如來飲酒)'로 이름 지었다. (予分秩東都,居多暇日。閒來輒飲,醉後輒吟,若無詞章,不成謠詠。每發一意,則成一篇,凡十四篇,皆主於酒,聊以自勸,故以何處難忘酒、不如來飲酒命篇.)라고 기술하였다.
하처난망주(何處難忘酒)가 7수이며 불여래음주(不如來飲酒)가 7수로 이 시는 하처난망주(何處難忘酒) 7수 중 제2수로 20년 전에 헤어졌던 옛 친구를 삼천리 먼 객지에서 떠도는 나그네 신세로 만나니 어찌 술이 생각나지 않겠는가하며 옛 친구와 함께 술을 마시는 모습을 읊은 것이다.
其三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 : 어느 곳에서나 술 잊기는 어려워
朱門羨少年(주문선소년) : 귀문귀가 사람들 젊음을 부러워 한다.
春分花發後(춘분화발후) : 춘분날 온갖 꽃 활짝 핀 뒤
寒食月明前(한식월명전) : 한식날에 달은 눈앞에 밝기도 하다.
小院回羅綺(소원회라기) : 작은 궁궐에 비단옷 걸친 여인들 다니고
深房理管弦(심방리관현) : 깊은 방 안에서 음악을 켠다.
此時無一醆(차시무일잔) : 이러한 때 한잔으 ㅣ술도 없다면
爭過豔陽天(쟁과염양천) : 아름답고 따뜻한 날들은 다투어 지나가리다.
其四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 : 어느 곳에서나 술 잊기는 어려워
霜庭老病翁(상정로병옹) : 서리 내린 뜰에 늙고 병든 사람
暗聲啼蟋蟀(암성제실솔) : 으슴푸레한 소리로 귀뚜라미 우는데
乾葉落梧桐(건엽락오동) : 마른 잎은 오동나무에서 떨어지는구나.
鬢為愁先白(빈위수선백) : 귀밑머리털이 수심에 먼저 희어지고
顏因醉暫紅(안인취잠홍) : 얼굴은 취하여 잠시 붉어지는구나.
此時無一醆(차시무일잔) : 이러한 때 한 잔의 술도 없다면
何計奈秋風(하계내추풍) : 무슨 수 없어 가을바람을 어찌 해보나.
其五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 : 어느 곳에서나 술 잊기는 어려워
軍功第一高(군공제일고) : 군사의 공은 제일 높도다.
還鄉隨露布(환향수로포) : 고향에 돌아가려니 군사들 따르고
半路授旌旄(반로수정모) : 거리는 반이나 깃발로 덮여 있구나.
玉柱剝蔥手(옥주박총수) : 거문고 발에 고운 손 다 벗겨지고
金章爛椹袍(금장란심포) : 금빛 운장이 도포보다 찬란하구나.
此時無一醆(차시무일잔) : 이러한 때 한 잔의 술도 없다면
何以騁雄豪(하이빙웅호) : 무슨 수로 영웅호걸을 불러 볼까나.
其六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 : 어느 곳에서나 술 잊기는 어려워
青門送別多(청문송별다) : 청문에서는 송별의 잔치도 만ㄹ아라.
斂襟收涕淚(렴금수체루) : 옷깃을 걷으며 눈물을 거두리니
簇馬聽笙歌(족마청생가) : 늘어선 말들은 생황소리 듣는다.
煙樹灞陵岸(연수파릉안) : 파릉 언덕에 안개 낀 나무들
風塵長樂坡(풍진장악파) : 장락궁 언덕에 풍진이 일어난다.
此時無一醆(차시무일잔) : 이러한 때 한 잔의 술도 없다면
爭奈去留何(쟁내거류하) : 떠나고 머무는 것을 다투어 어찌 하려나.
其七
何處難忘酒(하처난망주) : 어느 곳에서나 술 잊기는 어려워
逐臣歸故園(축신귀고원) : 쫓겨난 신하는 고향으로 돌아간다.
赦書逢驛騎(사서봉역기) : 임금의 사면 조서 역마에서 만나니
賀客出都門(하객출도문) : 축하의 나그네 도성 문을 나온다.
半面瘴煙色(반면장연색) : 얼굴 절반에는 흐릿한 병색지고
滿衫鄉淚痕(만삼향루흔) : 옷에 가득한 고향 그린 눈물자국
此時無一醆(차시무일잔) : 이러한 때 한잔의 술도 없다면
何物可招魂(하물가초혼) : 무엇으로 영혼을 불러올 수 있을까?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樂天 白居易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촌우귀(渭村雨歸)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9 |
---|---|
수원구대신재죽유회견기(酬元九對新栽竹有懷見寄)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9 |
권주십사수(勸酒十四首) : 불여래음주칠수(不如來飮酒七首)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9 |
잠별리(潛別離)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9 |
국화(菊花)/영국(咏菊) - 백거이(白居易) (0) | 2021.02.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