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여사랑중흠청황학루상취적(與史郎中欽聽黃鶴樓上吹笛) - 이백(李白)
사랑 중흠과 함께 황학루에서 피리부는 소리를 듣다
一為遷客去長沙(일위천객거장사) : 귀양객이 되어 장사(長沙)로 가는데
西望長安不見家(서망장안불견가) : 서쪽으로 장안이 보이는데 집은 보이지 않네.
黃鶴樓中吹玉笛(황학루중취옥적) : 항학루에서 들리는 옥피리 소리는
江城五月落梅花(강성오월락매화) : 강성 오월에 매화락(梅花落) 곡조라네.
* 史郎中欽(사랑중흠) : 이백(李白)과 교유하던 낭중(郎中)이라는 벼슬을 하고 있던 사흠(史欽)을 말한다.
* 黃鶴樓(황학루) : 한수(漢水)가 합류하는 양자강(揚子江:長江) 남쪽 기슭 무창(武昌: 현재 武漢)의 빼어난 경관 속에 세워져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누각 가운데 하나이다.
* 遷客(천객) : 귀양살이 하는 사람. 이백 자신을 말한다.
* 長沙(장사) : 지금의 호남성 동정호 남쪽에 있는 지명. 한(漢)나라 때 가의(賈誼)가 이곳에 유배된 적이 있어 이백 자신의 처지를 가의와 비유하였다.
* 江城(강성) : 강하(江夏: 지금의 호북 무한(武漢:武昌))의 옛 이름. 양자강(長江) 강가의 도성으로 무창(武昌)을 말한다.
* 落梅花(낙매화) : ‘매화락(梅花落:매화는 떨어지고)’이라는 피리곡을 말한다.
* 이 시는 건원(乾元) 원년(758)에 이백이 야랑(夜郎)으로 유배되어 무창(武昌)을 지나가다가 낭중(郎中)의 관직에 있던 사흠(史欽)과 함께 황학루에서 들리는 피리 소리를 듣고 지은 시이다. 피리의 곡조 <매화락(梅花落)>을 듣고 이미 5월이 지나 떨어져 없어진 매화를 자신의 처지와 비유한 것이다.
지덕(至德) 2년(757) 李白은 여산(廬山)에 있었는데 영왕(永王) 이린(李璘)이 막하(幕下)로 그를 불러들였다. 나중에 영왕(永王)의 반당군(叛唐軍)이 패하였고 이백 또한 죄를 입어 심양옥(潯陽獄)에 갇혔다가 풀려났다. 건원(乾元) 元年(758)에 일찍이 이린(李璘)을 섬겼다는 것 때문에 야랑(夜郞)으로 멀리 유배를 가게 되었고, 건원(乾元) 2년 봄여름 사이에 사면되어 돌아왔다.
* 황학루(黃鶴樓)는 후베이성(湖北省) 우한시(武汉市, 무한시) 창강(长江) 가의 서산(蛇山, 사산, 일명 黃鶴山)에 있는 누각으로 후난성 웨양시(岳阳市, 악양시)의 악양루(岳阳楼), 장시성 난창시(南昌市, 남창시)의 등왕각(滕王阁)과 함께 강남 3대 명루의 하나. 원화군현도지(元和郡县图志)에는 삼국시대 오(吴) 황무(黄武) 2년(223) 손권(孙权)이 군사적 목적으로 성을 쌓고 황학루(黄鹤楼)라고 명명하였다고 한다.
황학루(黄鹤楼)와 관련해서 많은 전설이 내려오고 있으며 그 중 극사록(极恩录)의 기재 내용에 따르면 신씨(辛氏)가 개설한 주점(酒店)에 선인(仙人)이 지나가다가 벽에 한 마리 학(鹤)을 그렸는데, 그 모양이 춤을 추듯 아름답다고 알려지면서 이곳의 장사도 날로 번창하였으며 10년 후 선인이 다시 와 학을 타고 구름위로 날라 가자 신씨가 그걸 보고 황학(黄鹤)과 도사를 기념하기 위해 이곳에 누각을 짓고 이름을 황학루(黄鹤楼)라고 불렀다고 한다. 또한 제해지(齐谐志)에는 선인 왕자안(王子安)이 황학(黄鹤)을 타고 이곳을 지나 근처의 산으로 올라가 산 이름이 황학(黄鹤)이라고 불리게 되었으며 후대에 사람들이 산정에 누각을 만들어 황학루라고 칭하였다고 한다.
산과바다 이계도
'*** 詩 *** > 詩仙 李白 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횡강사6수(橫江詞六首) - 이백(李白) (0) | 2020.10.31 |
---|---|
괘석강상대월유회(挂席江上待月有懷) - 이백(李白) (0) | 2020.10.31 |
구호오왕미인반취(口號吳王美人半醉) - 이백(李白) (0) | 2020.10.31 |
오서곡(烏棲曲) - 이백(李白) (0) | 2020.10.31 |
경하비이교회장자방(經下邳圯橋懷張子房) - 이백(李白) (0) | 2020.10.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