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건강/건강

맛(五味)과 인체(人體)와의 관계

by 산산바다 2019. 10. 4.

산과바다

 

 

 


(五味)과 인체(人體)와의 관계

 

* 한의학(韓醫學)에서 말하는 오미(五味)

소문(素問)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謹和五味骨正筋柔氣血從流腠理以密。」라고 기록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오미를 잘 조화시켜 주면 골격이 강건해지고 근맥이 연하고 부드러워 지며 기혈이 창통하여 순환하고 피부와 근육이 치밀해 진다.” 는 뜻이다.

 

오미는 다섯 가지 맛이니 신맛, 쓴맛, 단맛, 매운맛, 짠맛을 이른다.

이를 한자말로 나나내면 산(실산), (쓸고), (달감), (매울신), (짤함)이고, 여기에 삽(떫을 삽)을 더하여 육미라 합니다. 음양오행의 공식에 대입하여 어떤 의미인지 알아본다.

 

화토금(木火土金水)

심비폐(肝心脾肺腎)

소위대(膽少胃大膀)

고감신(酸苦甘辛鹹)

 

어렵게만 생각 말고 위를 세로로 찬찬히 들여다 보시요.

제일 윗줄의 목화토금수는 五行(오행), 둘째줄 간심비폐신은 (), 담소위대방은 (), 산고감신함은 ()을 뜻합니다.

그럼 위를 세로로 읽어 보지요.

* 오장육부(五臟六腑) - 한의학에서 인체의 내부 장기를 통틀어 이르는 말.

오장(五臟 -肝心脾肺腎)은 간장 심장 비장 폐장 신장을 말하고,

육부(六腑 -膽少胃大膀三焦)는 쓸개 소장 위 대장 방광 삼초(三焦) 등을 말한다.


 

목간담산(木肝膽酸)

(신맛)은 음양오행상 목(나무의 성질)에 속하며 장부로는 간()과 담()이 이에 해당한다는 것입니다.

신맛은 음식은 목에 속하며 그 맛을 섭취할 때 간과 담으로 가서 이롭게 한다는 뜻이다..

 

 

 

 

 

화심소고(火心少苦)

쓴맛은 음양오행상 화()에 속하며 ()과 소장으로 가서 이롭게 한다는 뜻.

 

 

토비위감(土脾胃甘)

 단맛의 음식은 음양오행상 토()에 속하며 ()와 위()로 가서 그 장부를 이롭게 하는 맛.

 

 

 

 

 

금폐대신(金肺大辛)

 매운맛의 음식은 음양오행상 금()에 속하며 ()와 대장으로 가서 이롭게 하는 맛.

 

 

 

 

         

 

수신방함(水腎膀鹹)

 짠맛의 음식은 음양오행상 수()에 속하며 ()과 방광으로 가서 이롭게 하는 맛.

 

 

* 맛과 인체와의 상호관계

 

 

 

* 오미를 지나치게 많이 먹으면

五藏生成篇 第二章

是故多食鹹則脈凝泣而變色, 多食苦則皮槁而毛拔, 多食酸則肉玁皊而脣揭, 多食甘則骨痛而髮落, 此五味之所傷也.

故心欲苦, 肺欲辛, 肝欲酸, 脾欲甘, 腎欲鹹, 此五味之所合也.

 

이렇기 때문에

짠것을 많이 먹으면 맥이 엉겨서 색이 변하고,

쓴것을 많이 먹으면 피부가 마르고 털이 빠지며,

신것을 많이 먹으면 육이 굳고 입술이 헤지며,

매운것을 많이 먹으면 ()이 당기고 손톱이 마르고,

단것을 많이 먹으면 뼈가 아프고 머리카락이 떨어지니, 이것이 다섯 가지 맛이 상하게 하는 바입니다.

그러므로 심장은 쓴맛을 얻고자 하고, 폐는 매운맛을, 간은 신맛을, 비는 단 맛을, 신은 짠맛을 원하니, 이것이 오미가 합하는 바입니다.

 

* 오장육부(五臟六腑)의 허실에 따라 어떤 맛을 좋아하는지를 알아보면

* 지금 간담의 기운이 허약하거나, 간담에 병이 있으면 새콤한 음식이 맛있다고 하며,

* 지금 심소장의 기운이 허약하거나, 심소장에 병이 있으면 씁쓸한 음식이 맛있다고 하며,

* 지금 비위장의 기운이 허약하거나, 비위장에 병이 있으면 달콤한 음식이 맛있다고 하며,

* 지금 폐대장의 기운이 허약하거나, 폐대장에 병이 있으면 매콤한 음식이 맛있다고 하며,

* 지금 신방광의 기운이 허약하거나, 신방광에 병이 있으면 짭짤한 음식이 맛있다고 하며,

* 지금 심포삼초의 기운이 허약하거나, 심포삼초에 병이 있으면 떫떨한 음식이 맛있다고 하는 것이다.

 

 

 

 

 

* 맛을 포함하는 식품

 

신맛에 속하여 간과 담을 이롭게 하는 식품

곡식- 보리, , 메밀, 귀리, 완두콩, 동부, 강낭콩

채소 부추, 깻잎, 신김치

과일 포도, 딸기, 사과, 석류, 살구, , 앵두, 모과, 매실, 유자

육류 - 동물의 간과 쓸개, 닭고기, 개고기, 메추리, 계란

차류 매실차, 유자차, 오미자차, 산수유차, 들깨차, 땅콩차, 오렌지쥬스

조미료 – 참기름, 들기름

건과 참깨, 들깨, 호도, 땅콩,

 

 

쓴맛에 속하여 ()과 소장을 이롭게 하는 식품

곡식 - 옥수수

채소 풋고추, 상추, 쑥갓, 냉이, , 고들빼기, 씀바귀, 도라지, 더덕

과일 - 살구

육류 - 동물의 염통과 피, 곱창, 염소, 칠면조, 메뚜기

차류 홍차, 작설차, 커피, 영지차, 쑥차

조미료 , 면실유

건과 행인(은행), 도인(복숭아), 해바라기 씨

 

 

단맛에 속하여 ()와 위()를 이롭게 하는 식품

곡식 기장쌀, 피쌀

채소 시금치, 고구마 줄기, , 연근, 고구마

과일 참외, , 대추

육류 - 동물의 위장과 지라, 췌장, 쇠고기, 닭고기

차류 인삼차, 대추차, 칡차, 꿀차, 황정차, 용안육차

조미료 설탕, , 조청, 포도당

근건과 - 갈근

 

 

매운맛에 속하여 ()와 대장을 이롭게 하는 식품

곡식 현미, 율무

채소 , 양파, 달래, 배추, 마늘, , 양파

과일 , 복숭아

육류 - 동물의 허파 및 대장, 말고기, 생선, 조개류

차류 무차, 생강차, 수정과차, 계피차

조미료 고추, 생강, 후추, 겨자, 박하

 

 

짠맛에 속하여 ()과 방광을 이롭게 하는 식품

곡식 , 쥐눈이콩

채소 다시마, , 미역, 파래, 함초, 콩잎,

과일 - 수박

육류 - 동물의 신장, 방광 및 생식기, 돼지고기, 젓갈류

차류 두향차, 두유

조미료 소금, 된장, 간장

근건과 -

 

 


 

 * 5색 음식과 건강 바로가기

 

 

 


 

 

 

* (五味)과 인체(人體)와의 관계

출처 자연의 원리와 건강

 

1. 바람()은 목기(木氣:부드럽고 완만한 기운)를 낳고(風生木), 목기(木氣)가 신맛(酸味)의 식물을 만든다(木生産). 신맛의 식물이 인체에 들어가면 간()을 영양하며(酸生肝), ()에서 근육(筋肉)을 만든다(肝生筋).

-원문 : 風生木 木生酸 酸生肝 肝生筋, 熱生火 火生苦 苦生心 心生血, 濕生土 土生甘 甘生脾 脾生肉, 燥生金 金生辛 辛生肺 肺生皮毛, 寒生水 水生鹹 鹹生腎 腎生骨髓.

-근거 : 황제내경 소문 제5편 음양응상대론(陰陽應相大論) 황제내경 운기해석 제67편 오운행대론(五運行大論)

 

2. 다섯 가지 맛(五味)의 음식물이 각각 특정 장기(臟器)에 친화성(親和性)을 가지고 있으며, 그 해당 장기의 정기(精氣)를 만들어 낸다.

심장()은 쓴맛(苦味)을 가진 음식물을 요구한다.

-원문 : 五味之所合也 五臟之氣, 心欲苦 肺欲辛 肝欲酸 脾欲甘 腎欲鹹

-근거 : 황제내경 소문 제10편 오장생성(五臟生成)

 

3. 다섯 가지 맛(五味)의 음식물이 위장으로 들어가서 흡수되고, 거기서 친화성이 강한 장부(臟腑)로 들어간다.

신맛(酸味)의 음식물은 우선적으로 간()에 들어간다.

-원문 : 五味入胃 各歸所喜攻 酸先入肝 苦先入心 甘先入脾 辛先入肺 鹹先入腎

-근거 : 황제내경 운기해석 제74편 지진요대론(至眞要大論)

 

4. 음식물(飮食物)은 다섯 가지 맛(五味)을 가지고 있으며, 그 맛()이 각각 오장(五臟)으로 간다. 위장(胃腸)은 오장육부(五臟六腑)의 바다와 같다. 음식물 (飮食物)이 먼저 위장(胃腸)으로 들어가서 거기서 오장육부(五臟六腑)를 영양(營養)한다. 위장(胃腸)에 들어간 오미(五味)는 각기 친화성(親和性)이 강한 장부(臟腑)로 간다.

신맛(酸味)의 음식물은 먼저 간()으로 달려간다.

-원문 : 穀氣有五味 其入五臟 胃者五臟六腑之海也 水穀皆入于胃 五臟六腑稟氣 于胃五味 各走其所喜 穀味酸先走肝 穀味苦先走心 穀味甘先走脾 穀味辛先走肺 穀味鹹先走腎

-근거 : 황제내경 영추 제56편 오미(五味)

 

5. 발병시(發病時) 피해야 할 음식물(五禁), ()이 발병시(發病時)는 매운맛, 심장()이 발병시(發病時)는 짠맛, 비장()이 발병시(發病時)는 신맛, 신장()이 발병시(發病時)는 단맛, ()가 발병시(發病時)는 쓴맛을 가진 음식물 (飮食物)을 피해야 한다.

-원문 : 五禁, 肝病禁辛 心病禁鹹 脾病禁酸 腎病禁甘 肺病禁苦

-근거 : 황제내경 영추 제56편 오미(五味)

 

6. 약물(藥物)로써 병사(病邪)를 공격(攻擊)하고, 오곡(五穀)으로 장부(臟腑)를 영양(營養)하고, 오과(五果:과일)로 장부(臟腑)의 영양(營養)을 돕고, 오축(五畜: 고기)으로 장부(臟腑)의 힘을 더하고, 오채(五菜:채소)로 장부(臟腑)의 작용(作 用)을 보충(補充)한다. 한온(寒溫)의 성질(性質)인 기()와 오미(五味)의 음식물(飮食物)을 조화(調和)시켜 섭취(攝取)함으로써 오장(五臟)의 정기(精氣)를 보충(補充)하도록 해야한다.

-원문 : 毒藥攻邪 五穀爲養 五果爲助 五畜爲益 五菜爲充 氣味合而服之以補精益氣

-근거 : 황제내경 소문 제22편 장기법시론(臟氣法時論)

 

7. 다섯 가지 맛(五味)을 가진 음식물(飮食物)을 과식(過食)하면 오히려 육체(肉體)를 손상(損傷)하게 된다.

짠맛을 가진 음식물을 과식하면, 피가 끈끈하게 되어 맥()의 흐름이 울체(鬱滯)되고 안색이 광택을 잃게 된다.

쓴맛을 가진 음식물을 과식하면, 피부가 까칠까칠해져서 체모(體毛)가 빠진 다.

신맛을 가진 음식물을 과식하면, (肌肉)이 위축되고 입술이 말려든다.

매운맛을 가진 음식물을 과식하면, 근육이 땅기고 손톱이 시든다.

단맛을 가진 음식물을 과식하면, ()가 아프고 머리털(毛髮)이 빠진다.

-원문 : 五味之所傷也, 多食鹹則脈凝泣而變色, 多食苦則皮稿而毛拔, 多食辛則筋急而瓜枯, 多食酸則肉 胝䐢而脣, 多食甘則骨痛而髮落.

-근거 : 황제내경 소문 제10편 오장생성(五臟生成)

 

8. (:五臟)이 생성(生成)되는 근본(根本)은 땅의 오미(五味:,,,,)의 음식물(飮食物)에 있으며, ()의 오관(五官)인 오장(五臟:,,,,)의 기능(機能)이 실조(失調)되는 원인(原因)은 오미(五味)의 음식물(飮食物)의 과부족(過不足)에 있다. 고로

신맛의 음식물을 과잉 섭취하면, 간기(肝氣)가 너무 충실하여 비기(脾氣)가 손상된다.

짠맛의 음식물을 과잉 섭취하면, 신기(腎氣)가 너무 과대해져 기육(肌肉)의 힘이 감소되어 피부가 거칠어지고, 심기(心氣)가 억제되어 맥()의 흐름이 울체(鬱滯)된다.

단맛의 음식물을 과잉 섭취하면, 가슴이 답답하고 숨이 가쁘게 되며, 피부가 거무칙칙해지며, 신기(腎氣)의 작용이 불균형 하게 된다.

쓴맛의 음식물을 과잉 섭취하면, 비기(脾氣)가 충분히 영양을 순환시키지 않으므로, 기육(肌肉)이 수척되는 데 식욕은 오히려 항진된다.

매운맛의 음식물을 과잉 섭취하면, 근맥(筋脈)이 힘을 잃고 이완되며, 정기(精氣)도 신기(神氣)도 소진된다.

고로, 오미(五味)의 음식물(飮食物)을 잘 조화(調和)시켜 섭취(攝取)하면, ()가 단단하고 곧게 되며, 근육(筋肉)이 부드럽고 탄력(彈力)이 있으며, 기혈(氣血)이 경맥(經脈)의 안팎을 순조롭게 순환(循環)하며, 피부(皮膚)의 살결이 가늘고 부드러워 진다.

고로, 정신(精神)도 육체(肉體)도 생기(生氣)에 차있고 치밀(緻密)하게 행동(行動)을 계속(繼續)할 수 있다. 양생(養生)의 도()를 음양(陰陽)의 법칙 (法則)에 따라 지켜나가면 오래 오래 천수(天壽)를 다할 수 있다.

-원문 : 陰之所生本在五味 陰之五官傷在五味是故, 味過于酸 肝氣以津脾氣乃絶, 味過於鹹大骨氣勞短肌心氣抑, 味過於甘 心氣喘滿色黑腎氣不衡, 味過於苦脾氣不濡胃氣乃厚, 味過於辛 筋脈沮弛精神乃中, 是故, 謹和五味骨正筋柔氣血以流 湊理以密 如是則骨氣以精 謹道如 法長有天命
-근거 : 황제내경 소문 제3편 생기통천론(生氣通天論)

 

9. 오미(五味)의 음식물(飮食物)이 친화성(親和性)을 가지고 들어가는 장()이 정해져 있다.
, 신맛은 간()으로 들어가고, 매운맛은 폐()로 들어가고, 쓴맛은 심장 ()으로 들어가고, 단맛은 비장()으로 들어가고, 짠맛 신장()으로 들어가고, 담백한 맛은 위장()으로 들어간다.

오미(五味)의 음식물(飮食物)이 친화성(親和性)을 가지고 주입(注入)되는 부분 (部分)이 정해져 있다.

, 신맛은 근육(筋肉)으로 주입되고, 매운맛은 기()로 주입되고, 쓴맛은 피 ()로 주입되고, 짠맛은 뼈()로 주입되고, 단맛은 기육(肌肉)으로 주입된다.

-원문 : 五味, 酸入肝 辛入肺 苦入心 甘入脾 鹹入腎 淡入胃 是謂五味 五走, 酸走筋 辛走氣 苦走血 鹹走骨 甘走肉 是謂五走也

-근거 : 황제내경 영추 제78편 구침론(九針論)

 

10. 하늘()은 풍열습조한(風熱濕燥寒)의 다섯가지 기(五氣)를 가지고 사람을 기르고 있으며, ()은 산고감신함(酸苦甘辛鹹)의 다섯 가지 맛(五味)을 가지고 사람을 기르고 있다.

-원문 : 天食人以五氣(風熱濕燥寒) 地食人以五味(酸苦甘辛鹹)

-근거 : 황제내경 소문 제9편 육절장상론(六節臟象論)

 

11. 하늘()의 다섯 가지 기운(五氣)은 코에서 체내(體內)로 들어와 심장(心臟)이나 폐()의 작용(作用)에 의해 위로 올라가서 눈에는 색깔이 선명(宣明)하게 비치게 하고, 소리로 서는 궁상각치우(宮商角徵羽)의 다섯가지 음(五音)이 분명히 나오게끔 작용(作用)한다.

()의 다섯 가지 맛(五味)은 입에서 체내(體內)로 들어와 위장(胃腸)에서 소화흡수(消化吸收)되고, 각각 오장(五臟)으로 들어가서 오장(五臟)의 정기(精氣)를 기르고 있다.

이들의 작용(作用)에 의해 진액(津液) , 체액(體液)이 형성(形成)되어 생명 활동(生命活動)을 운영(運營)하고 있다.

-원문 : 五氣入鼻藏於心肺上使五色修明音聲能彰, 五味入口藏於胃腸味有所藏 以養, 五氣氣和而生 津液 相成神乃自生

-근거 : 황제내경 소문 제9편 육절장상론(六節臟象論)

 

12. 신맛의 물질(物質)은 간()에 작용(作用)하고, 매운맛의 물질(物質)은 폐()에 작용(作用)하고, 쓴맛의 물질(物質)은 심장()에 작용(作用)하고, 짠맛의 물질(物質)은 신장()에 작용(作用)하고, 단맛의 물질(物質)은 비장()에 작용(作用) 한다.

-원문 : 酸入肝 辛入肺 苦入心 鹹入腎 甘入脾

-근거 : 동의보감 잡병편 권1 변증(辨證)

 

13. 짠 것을 많이 먹으면, 혈액(血液)이 잘 통하지 못하고 살색이 변한다.

쓴 것을 많이 먹으면, 피부(皮膚)가 거칠어지고 털이 빠지며, 매운 것을 많이 먹으면, 근육(筋肉)이 땅기고 손톱이 마른다. 신 것을 많이 먹으면, 살이 두꺼워 지고 주름이 잡히며 입술이 말려 올라간다.

단것을 많이 먹으면, ()가 쑤시며 머리카락이 빠진다.

-원문 : 多食鹹則脈凝澁而變色, 多食苦則皮稿而毛拔, 多食辛則筋急而瓜枯, 多食酸則肉胝䐢而脣揭 多食 甘則骨痛而髮落(五味過傷)

-근거 : 동의보감 잡병편 권4 내상(內傷)

 

14. 오미(五味)가 입에 들어가는데 있어서 균형(均衡)이 깨어질 정도(程度)로 무슨 맛이건 많으면 안 된다. 고로

신맛이 지나치면 비장(脾臟)이 상()하게 되고,

쓴맛이 지나치면 폐()를 상()하게 되고,

매운맛이 지나치면 간()을 상()하게 되고,

짠맛이 지나치면 심장(心臟)을 상()하게 되고,

단맛이 지나치면 신장(腎臟)을 상()하게 된다.

이것이 오행자연(五行自然)의 이치(理致)이다.

-원문 : 五味入口不欲偏多, 故 酸多傷脾 苦多傷肺 辛多傷肝 鹹多傷心 甘多傷 脾 此 五行自然之理也

-근거 : 포박자(抱朴子)

 

15. 다섯 가지 곡식(穀食)을 주식(主食)으로 하여 신체(身體)를 기르고, 다섯 가지 과일을 부식(副食)으로 하고, 다섯 가지 고기로 영양(營養)을 보충(補充)하고, 다섯 가지 채소로 그 부족한 곳을 메워 완전(完全)하게 한다.

다섯 가지 맛을 잘 조화(調和)시켜 먹으면, 정력(精力)이 보강(補强)되고 원기(元氣)가 왕성(旺盛)해진다. 그러나 다섯 가지 맛이 조화(調和)된 음식(飮食)이라 해도 너무 많이 먹으면 안 된다. 너무 많이 먹으면 병()이 생기고, 적게 먹으면 몸에 이롭다. 여러 가지 진귀(珍貴)한 음식(飮食)도 매일(每日) 절도(節度)있게 먹는 것이 제일 좋다.

-원문 : 五穀爲食 五果爲助 五肉爲益 五菜爲充 氣味合和而食之 則補精益氣. 雖然, 五味調和 食飮口嗜 皆不可多也. 多者生疾少者爲益 百味珍饌日 有愼節 是爲上矣(五味偏走)

-근거 : 식경(食經)

 

많은 관련 문헌(文獻)과 내용(內容)에서 보는바와 같이, 우리 인체(人體)는 시고, 쓰고, 달고, 맵고, 짠 다섯 가지 맛(五味)을 가지고 있는 음식물(飮食物)을 섭취(攝取)하여 영양(營養)을 흡수(吸收)함으로써 생명(生命)을 유지(維持)하고 있다.

어떤 맛의 음식물(飮食物)은 많이 섭취(攝取)해야 하고, 또는 적게 섭취(攝取) 해야 하느냐는 각 개인(個人)의 타고난 체질(體質)과 현재(現在)의 건강상태 (健康狀態)와 직접적(直接的)인 관련(關聯)이 있다. 고로. 체질(體質)을 알아야 한다.

세부적(細部的)인 내용(內容)은 체질분류학(體質分類學)에 따른 7대 자연섭생법(自然攝生法)을 배워 지식(知識)을 습득(習得)하여야만 실천(實踐)이 가능한 것이다.

 

 

 

 

산과바다 이계도

'건강 >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관절 강화운동  (0) 2020.04.03
모과효소 만들기  (0) 2018.11.26
케겔 운동이란?  (0) 2018.07.27
5색 음식(색깔음식)과 건강  (0) 2013.01.0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