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第四篇 周書(주서)
第十五 洛誥 1~8
洛誥(낙고) 1
周公拜手稽首(주공배수계수) : 주공이 손을 이마에 대고 머리를 조아리며
曰朕復子明辟(왈짐복자명벽) : 말하기를 “제가 조카이신 밝은 임금님께 아룁니다.
王如弗敢及天基命定命(왕여불감급천기명정명) : 임금께서는 감히 하늘의 명의 터전을 닦고 또 명을 안정시킨 일에 미치시지 못하는 것 같기에
予乃胤保(여내윤보) : 제가 이에 대를 이어 받들어
大相東土(대상동토) : 동쪽 땅을 크게 둘러보아
其基作民明辟(기기작민명벽) : 그 터전에서 백성들의 밝은 임금을 만들기 위해서였습니다.
予惟乙卯(여유을묘) : 저는 을묘날
朝至于洛師(조지우낙사) : 아침에 낙땅으로 와서
我卜河朔黎水(아복하삭려수) : 황하 북쪽의 여수를 점처 보았으며
我乃卜澗水東(아내복간수동) : 또 간수 동쪽과
瀍水西(전수서) : 전수 서쪽을 점쳐 보았으나
惟洛食(유낙식) : 오직 낙땅만이 길하였으며
我又卜瀍水東(아우복전수동) : 저는 또 전수의 동쪽을 점쳐 보았으나
亦惟洛食(역유낙식) : 역시 오직 낙땅만이 길하였으므로
伻來(팽내) : 오시도록 하여
以圖及獻卜(이도급헌복) : 지도와 함께 점친 결과를 바치는 바입니다.”
王拜手稽首(왕배수계수) : 임금님도 손을 이마에 대고 머리를 조아리며
曰公不敢不敬天之休(왈공부감부경천지휴) : 말씀하시기를 “공께서는 하늘의 아름다움을 감히 공경하지 않음이 없이
來相宅(내상댁) : 오시어 도읍지를 와서 조사하시어
其作周(기작주) : 주나라를 바로 세워
匹休(필휴) : 주나라에 짝하는 아름다움을 만드셨습니다.
公旣定宅(공기정댁) : 공께서 살 곳을 이미 정하여 놓으시고
伻來(팽내) : 오라고 하시기에 왔습니다.
來視予卜休恒吉(내시여복휴항길) : 점이 아름답고 언제나 길한 것을 보니
我二人(아이인) : 우리 두 사람이
共貞(공정) : 다 같이 곧은 때문인 것 같습니다.
公其以予(공기이여) : 공께서는 제게
萬億年(만억년) : 억만년을
敬天之休(경천지휴) : 하늘의 아름다움을 공경하라고 하셨으니
拜手稽首誨言(배수계수회언) : 손을 이마에 대고 머리를 조아리며 가르치신 말씀을 받들겠습니다.”
洛誥(낙고) 2
周公曰王肇稱殷禮(주공왈왕조칭은례) : 주공이 아뢰기를 “임금님은 처음부터 은나라 예를 행사해서
祀于新邑(사우신읍) : 새 도읍에서 제사지내시되
咸秩無文(함질무문) : 모두 질서를 따라 문란하지 않게 하십시오.
予齊百工(여제백공) : 저는 여러 관리들을 가지런히 하여
伻從王于周(팽종왕우주) : 주나라로부터 임금님을 따르게 하고
予惟曰庶有事(여유왈서유사) : 저는 오직 ‘아마 일이 있을 것이다.’라고만 말하겠습니다.
今王卽命(금왕즉명) : 임금님께서는 곧 명하여
曰記功宗(왈기공종) : 이르시기를, ‘공을 기록하여 높이어
以功作元祀(이공작원사) : 공으로써 크게 제사지내도록 하라.’고 하십시오.
惟命曰汝受命(유명왈여수명) : 오직 명령하시기를 ‘그대들은 병을 받아
篤弼(독필) : 착실히 도와 달라.’고 하십시오.
丕視功載(비시공재) : 크게 공을 보아 기록하여야 할 것이니
乃汝其悉自敎工(내여기실자교공) : 그것은 당신께서 모든 일을 스스로 관리들에게 가르쳐야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洛誥(낙고) 3
孺子其朋(유자기붕) : 어린 사람은 패거리를 이루기 쉽습니다.
孺子其朋(유자기붕) : 어린 사람은 패거리를 이루기 쉽습니다.
其往(기왕) : 앞으로
無若火始燄燄(무야화시염염) : 불꽃이 타오르기 시작하는 것처럼 하셔서는 안 됩니다.
厥攸灼(궐유작) : 그것이 활활 타게 되면
叙弗其絶(서불기절) : 차츰 그것을 끌 수도 없이 될 것입니다.
厥若彝及撫事(궐야이급무사) : 그 법을 따르는 일과 어루만지는 일을
如予(여여) : 나처럼 하십시오.
惟以在周工(유이재주공) : 오직 주나라에 있는 관리들을 데리고
往新邑(왕신읍) : 새 도읍으로 가셔서는
伻嚮卽有僚(팽향즉유료) : 신하들이 일에 향하여 나가게 하신다면
明作有功(명작유공) : 밝게 공이 있도록 될 것이며
惇大成裕(돈대성유) : 도탑고 크고 넉넉하도록 이루어
汝永有辭(여영유사) : 당신은 영원토록 칭송을 듣게 될 것입니다.
洛誥(낙고) 4
公曰已(공왈이) : 주공은 말하기를 “그리고
汝惟沖子惟終(여유충자유종) : 당신께서는 어린 사람이니 끝까지 잘 하십시오.
汝其敬(여기경) : 당신께서 공경히 하시면
識百辟享(식백벽향) : 여러 제후들이 공물을 바치는 일을 분별하게 될 것이며
亦識其有不享(역식기유부향) : 또 그들이 성실히 바치지 않음도 분별하게 될 것이며
享多儀(향다의) : 공물을 바침에는 예절이 많은데
儀不及物(의불급물) : 예절이 물건을 따르지 못하면
惟曰不享(유왈부향) : 다만 이르기를, ‘성실히 바치지 않는 것이다.’고 하겠습니다.
惟不役志于享(유부역지우향) : 공물을 바침에 뜻을 쓰지 아니하면
凡民惟曰不享(범민유왈부향) : 모든 백성들도 공물을 바치지 않겠고 하게 되어
惟事其爽侮(유사기상모) : 일이 어긋나고 또 얕보게 될 것입니다.
乃惟孺子(내유유자) : 당신께서는 젊은 분이시니
頒朕不暇(반짐부가) : 저의 틀림없음을 나누어 맡아 주시고
聽朕敎汝于棐民彝(청짐교여우비민이) : 제가 당신에게 가르친 백성들을 돕는 법을 잘 들어 주십시오.
汝乃是不蘉(여내시부망) : 당신께서 만약 힘쓰지 않으시면
乃時惟不永哉(내시유부영재) : 당신의 때가 길지 못할 것입니다.
篤叙乃正父(독서내정부) : 당신의 관장들을 도타이 질서잡아
罔不若予(망부야여) : 따르지 않는 이가 없도록 하시면
不敢廢乃命(부감폐내명) : 저도 감히 당신의 명을 저버리지 못하게 될 것이니
汝往敬哉(여왕경재) : 당신은 가셔서 공경히 하십시오.
茲予(자여) : 이에
其明農哉(기명농재) : 저도 밝히고 힘쓸 것이니
彼裕我民(피유아민) : 우리 백성들을 잘 감싸 주면
無遠用戾(무원용려) : 먼 곳 사람들도 어기지 않게 될 것입니다.”
洛誥(낙고) 5
王若曰(왕야왈) : 임금님은 이렇듯이 이르시기를
公明保予沖子(공명보여충자) : ‘공께서는 이 어린 사람을 밝게 보호하여
公稱丕顯德(공칭비현덕) : 크고 밝은 덕을 드러내셔서
以予小子(이여소자) : 이 작은 사람으로 하여금
揚文武烈(양문무렬) : 문왕과 무왕의 많은 공을 발양할 수 있게 하며
奉答天命(봉답천명) : 하늘의 명을 받들어 보답하게 하며
和恒四方民(화항사방민) : 사방의 백성들을 화합하고 일정케 하여
居師(거사) : 사괘에 살도록 해 주십시오.
惇宗將禮(돈종장례) : 큰 예절을 도타이 하고 높이어
稱秩元祀(칭질원사) : 큰 제사를 질서 있게 행하되
咸秩無文(함질무문) : 모두가 질서 있게 어지러워지지 않도록 해 주십시오.
惟公德(유공덕) : 공의 덕을
明光于上下(명광우상하) : 밝게 하늘과 땅에 빛내며
勤施于四方(근시우사방) : 사방에 부지런히 베풀어
旁作穆穆迓衡(방작목목아형) : 널리 아름답게 하시어 정사를 맡으시오.
不迷文武勤敎(부미문무근교) : 문왕과 무왕의 간곡한 가르침을 어기지 않게 하시니
予沖子(여충자) : 이 어린 사람은
夙夜毖祀(숙야비사) : 이른 아침부터 밤까지 삼가 제사를 지내겠습니다.’
王曰公功棐迪篤(왕왈공공비적독) : 임금님은 또 말씀하시기를 “공의 돕고 이끌어 주는 공이 두터우니
罔不若時(망부야시) : 이와 같지 않음이 없도록 하십시오.”
王曰公(왕왈공) : 임금님이 말씀하시기를, “공이여
予小子(여소자) : 이 작은 사람은
其退(기퇴) : 물러가
卽辟于周(즉벽우주) : 주나라의 임금 자리로 되돌아가고
命公後(명공후) : 공에게는 뒤에 머무르시기를 명합니다.
四方迪亂(사방적난) : 세상을 인도하고 다스리고 있으나
未定于宗禮(미정우종례) : 아직도 높이 받들 예가 정해지지 못하였고
亦未克敉公功(역미극미공공) : 또한 공의 공도 아직 안정되었다고 할 수 없습니다.”
迪將其後(적장기후) : 뒤에 남아 인도하고 도와서
監我士師工(감아사사공) : 나의 관리들을 보살펴 주시어
誕保文武受民(탄보문무수민) : 문왕과 무왕께서 받은 백성들을 크게 보호하여 다스림으로써
亂爲四輔(난위사보) : 사방을 돕는 이가 되십시오.
王曰公定(왕왈공정) : 임금님이 말씀하시기를, “공은 머무시고
予往已(여왕이) : 나는 가게 될 것입니다.
公功(공공) : 공의 공을
肅將祗歡(숙장지환) : 공경하며 따르고 존경하며 기뻐하고 있으니
公無困哉(공무곤재) : 공은 곤란이 없으실 것입니다.
我惟無斁其康事(아유무두기강사) : 내가 게을리 않으면 일이 편히 될 것입니다.
公勿替刑(공물체형) : 공이 법도를 바꾸지 않으신다면
四方其世享(사방기세향) : 사방에서 대대로 공물을 바쳐오게 될 것입니다.”
洛誥(낙고) 6
周公拜手稽首(주공배수계수) : 주공이 손을 이마에 대고 머리를 조아리며
曰王命予來(왈왕명여내) : 아뢰기를 “임금님께서 제게 오도록 명하시어
承保乃文祖受命民(승보내문조수명민) : 당신 할아버지 문왕께서 명으로 받으신 백성들과
越乃光烈考武王(월내광렬고무왕) : 당신의 빛나는 공적 많은 아버지 무왕을 받들어 보호하게 하시니
弘朕恭(홍짐공) : 크게 저는 삼가겠습니다.
孺子來相宅(유자내상댁) : 어린 분이 오셔서 살 곳을 살피셨으니
其大惇典殷獻民(기대돈전은헌민) : 은나라 어진 백성들에게 법을 크게 두터이 하게 하시어
亂爲四方新辟(난위사방신벽) : 사방의 새로운 제후들을 잘 다스려
作周恭先(작주공선) : 주나라를 바로 세우심에 공정함을 먼저 하십시오.”
曰其自時中乂(왈기자시중예) : 이어 말하기를 “이로부터 중화땅을 다스리어
萬邦咸休(만방함휴) : 온 나라가 다 아름다워지면
惟王有成績(유왕유성적) : 임금님은 공을 이루시게 되시는 것입니다.
予旦(여단) : 이 단은
以多子越御事(이다자월어사) : 많은 경대부들과 관리들을 거느리고
篤前人成烈(독전인성렬) : 옛사람들의 이루신 공을 두터이 하여
答其師(답기사) : 백성들에게 보답할 것이며
作周孚先(작주부선) : 주나라를 바로 세움에 믿음을 먼저 하여
考朕昭子刑(고짐소자형) : 나의 밝은 임금의 법을 이루어
乃單文祖德(내단문조덕) : 할아버지 문왕의 덕을 다하겠습니다.
洛誥(낙고) 7
伻來毖殷(팽내비은) : 사신을 보내시어 은나라에 보내어 사람들을 삼가게 하시고
乃命寧予(내명녕여) : 또 명하시어 저를 위안하시되
以秬鬯二卣(이거창이유) : 검은 기장 술을 두 병 보내시고
曰明禋(왈명인) : 이르시기를, ‘정결하게 제사를 지내되
拜手稽首(배수계수) : 손을 이마에 대고 머리를 조아리고
休享(휴향) : 잘 제사 지내도록 하라’고 하십시오.
予不敢宿(여부감숙) : 저는 감히 묵히지 않고
則禋于文王武王(칙인우문왕무왕) : 곧 문왕과 무왕께 정결한 제사를 지내겠습니다.
惠篤叙(혜독서) : 두터이 질서를 따라
無有遘自疾(무유구자질) : 스스로 병폐를 만나게 하지 않으면
萬年(만년) : 만년토록
厭于乃德(염우내덕) : 당신의 덕에 만족하여
殷乃引考(은내인고) : 은나라는 자라고 이루어지게 될 것입니다.
王伻殷(왕팽은) : 임금님이 은나라 사람들로 하여금
乃承叙萬年(내승서만년) : 이에 받들고 따르게 하신다면
其永觀朕子(기영관짐자) : 만년토록 영원히 우리 임금님을 돌보며
懷德(회덕) : 덕을 기리게 될 것입니다.’
洛誥(낙고) 8
戊辰(무진) : 무진날에
王在新邑(왕재신읍) : 임금님은 새로운 도읍에서
烝祭(증제) : 겨울 제사와
歲文王(세문왕) : 해를 제사하시니 문왕에게는
騂牛一(성우일) : 붉은 소 한 마리
武王(무왕) : 무왕에게도
騂牛一(성우일) : 붉은 소 한 마리를 제물로 썼다.
王命作冊逸祝冊(왕명작책일축책) : 임금님은 문서 만드는 관리에게 글을 지어 빌게 하시고
惟告周公其後(유고주공기후) : 주공이 뒤에 남는 것을 고하셨다.
王賓殺禋(왕빈살인) : 임금님이 제사지내심에 짐승을 죽이어 정격한 제사를 지내니
咸格(함격) : 모든 신이 강림하셔서
王入太室祼(왕입태실관) : 임금은 큰 방으로 들어가시어 검은 기장술을 땅에 뿌리셨다.
王命周公後(왕명주공후) : 임금님께서 주공에게 명하시어 뒤에 남아 있게 한 일을
作冊(작책) : 문서 만들고
逸誥(일고) : 널리 고하니
在十有二月(재십유이월) : 십이월의 십일이다.
惟周公(유주공) : 주공이
誕保文武受命(탄보문무수명) : 문왕과 무왕께서 받으신 명을 크게 보호한 지
惟七年(유칠년) : 칠년 되는 해다.
산과바다 이계도
'書經 > 第四篇 周書(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書經(서경) 第十七 無逸(무일) 1~6 (0) | 2016.03.08 |
---|---|
書經(서경) 第十六 多士(다사) 1~5 (0) | 2016.03.08 |
書經(서경) 第十四 召誥(소고) 1~8 (0) | 2016.03.07 |
書經(서경) 第十三 梓材(재재) 1~4 (0) | 2016.03.07 |
書經(서경) 第十二 酒誥(주고) 1~4 (0) | 2016.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