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화엄사 대웅전
長阿含經
13. 大緣方便經 대연방편경
대연방편경(大緣方便經)은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불교의 근본 교의를 말씀하신 것이며 또 이 설명이 되는 중요 교리인 인연법을 순역(順逆) 생멸의 관법에 따라 말씀하신 것이다.
* 大緣方便經의 이역본으로는 후한 시대 안세고가 한역한 불설인본욕생경(佛說人本欲生經)과 송 시대 시호(施護)가 한역한 불설대생의경(佛說大生義經)이 있으며, 같은 내용의 경으로는 중아함경제 24권97번째 소경인 대인경(大人經)이 있다.
如是我聞。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一時。佛在拘流沙國劫摩沙住處。與大比丘眾千二百五十人俱。
어느 때 부처님께서 구류사국(拘流沙國)의 겁마사(劫摩沙) 마을에서 큰 비구 대중 1,250명과 함께 계셨다.
爾時。阿難在閑靜處。作是念言。甚奇。甚特。世尊所說十二因緣法之光明。甚深難解。如我意觀。猶如目前。以何爲深。於是。阿難即從靜室起。至世尊所。頭面禮足。在一面坐。白世尊言。我向於靜室。默自思念。甚奇。甚特。世尊所說十二因緣法之光明。甚深難解。如我意觀。如在目前。以何爲深。
그 때 아난은 고요한 곳에서 이렇게 생각했다.
"너무도 기이하고 특별하구나. 세존께서 말씀하신 열두 가지 인연법의 광명은 매우 깊어 알기 어렵구나. 그러나 내가 마음속으로 관찰해 보니 마치 눈앞에 있는 일과 같은데 무엇 때문에 깊은 이치가 있다고 하는가?"
그렇게 생각한 아난은 곧 고요한 곳에서 일어나 부처님께 나아갔다. 부처님의 발에 이마를 대어 예배하고 한쪽에 앉아 세존께 여쭈었다.
“저는 아까 조용한 방에서 잠자코 혼자 생각하기를 "참으로 기이하고 특별하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열두 가지 인연법의 광명은 매우 깊어 알기 어렵다. 그러나 내가 마음속으로 관찰해 보니 마치 눈앞에 있는 일과 같은데 무엇 때문에 깊다고 하는가" 하고 생각하였습니다.”
爾時。世尊告阿難曰。止。止。勿作此言。十二因緣法之光明。甚深難解。阿難。此十二因緣難見難知。諸天.魔.梵.沙門.婆羅門.未見緣者。若欲思量觀察分別其義者。則皆荒迷。無能見者。阿難。我今語汝老死有緣。若有問言。何等是老死緣。應答彼言。生是老死緣。若復問言。誰是生緣。應答彼言。有是生緣。若復問言。誰是有緣。應答彼言。取是有緣。若復問言。誰是取緣。應答彼言。愛是取緣。若復問言。誰是愛緣。應答彼言。受是愛緣。若復問言。誰是受緣。應答彼言。觸是受緣。若復問言。誰爲觸緣。應答彼言。六入是觸緣。若復問言。誰爲六入緣。應答彼言。名色是六入緣。若復問言。誰爲名色緣。應答彼言。識是名色緣。若復問言。誰爲識緣。應答彼言。行是識緣。若復問言。誰爲行緣。應答彼言。癡是行緣。阿難。如是緣癡有行。緣行有識。緣識有名色。緣名色有六入。緣六入有觸。緣觸有受。緣受有愛。緣愛有取。緣取有有。緣有有生。緣生有老.死.憂.悲.苦惱。大患所集。是爲此大苦陰緣。
그 때 세존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그만두라, 그만두라. 그런 말을 하지 말라.
아난아,
이 열두 가지 인연법의 광명은 너무도 심오하며 이해하기 어렵다.
아난아,
이 열두 가지 인연법은 보기도 어렵고 알기도 어렵다.
모든 하늘ㆍ악마ㆍ범천ㆍ사문 바라문으로서 아직 인연법에 대하여 관찰하지 못한 자가 만일 생각으로 헤아려보고[思量] 관찰하여 그 이치를 분별하려고 한다면 곧 정신이 아득하여 관찰해 볼 수 없을 것이다. 아난아, 내가 이제 너에게 말해 주겠다.
늙고 죽음에는 연(緣:外緣)이 있다.
만일 누가 "무엇이 늙고 죽는 연인가"라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생(生)이 늙고 죽음[老死]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또 누가 "어떤 것이 생의 연인가" 하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유(有:존재)가 생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또 누가 "무엇이 유의 연인가"라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취(聚)가 유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또 누가 "무엇이 취의 연인가"라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애(愛)가 취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또 누가 "무엇이 애의 연인가"라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수(受)가 애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또 누가 "무엇이 수의 연인가"라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촉(觸)이 수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또 누가 "무엇이 촉의 연인가?"하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6입(入)이 촉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또 누가 "무엇이 6입의 연인가"라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명색(名色)이 6입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또 누가 "무엇이 명색의 연인가"라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식(識)이 명색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또 누가 "무엇이 식의 연인가"라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행(行)이 식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또 누가 "무엇이 행의 연인가?"라고 묻거든 너는 그에게 "치(癡)가 행의 연이 된다"라고 대답하라.
아난아,
이와 같이 치(癡)를 연(緣:外緣)으로 하여 행(行)이 있고 행을 연으로 하여 식(識)이 있으며, 식을 연으로 하여 명색이 있고 명색을 연으로 하여 6입이 있으며, 6입을 연으로 하여 촉이 있고 촉을 연으로 하여 수가 있으며, 수를 연으로 하여 애가 있고 애를 연으로 하여 취가 있으며, 취를 연으로 하여 유가 있고 유를 연으로 하여 생이 있으며, 생을 연으로 하여 늙음과 죽음과 걱정과 슬픔과 고뇌 등 큰 근심[患]의 덩어리가 있다. 이것이 큰 고음(苦陰)의 연이 된다.”
佛告阿難。緣生有老死。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生者。寧有老死不。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생을 연으로 하여 늙고 죽음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이 생이 없다면 그래도 늙음과 죽음이 있겠느냐?”
阿難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是故。阿難。以此緣。知老死由生。緣生有老死。我所說者。義在於此。
“그러므로 아난아,
이 연법(緣法)을 통해서 늙음과 죽음은 생으로 인하여 생기고 생을 연하여 늙음과 죽음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又告阿難。緣有有生。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欲有.色無色有者。寧有生不。
또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유를 연하여 생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이 욕유(欲有:欲界)ㆍ색유(色有:色界)ㆍ무색유(無色有:無色界)가 없다면 그래도 생이 있겠느냐?”
* 욕유 색유 무색유 세 가지를 3유(有)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유(有)란 나고 죽음의 과보이다. 욕유란 욕계의 생사(生死)이고, 색유란 색계의 생사이며, 무색유란 무색계의 생사를 말한다.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生由有。緣有有生。我所說者。義在於此。
“아난아,
나는 이러한 연법을 통해서 생은 유로 인하여 생겨나고 유를 연하여 생이 있게 된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又告阿難。緣取有有。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欲取.見取.戒取.我取者。寧有有不。
또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취를 연하여 유가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에게 욕취(欲取)ㆍ견취(見取)ㆍ계취(戒取)ㆍ아취(我取)가 없다면 그래도 유가 있겠느냐?”
* 네 가지를 4취(取)라고 하는데, 여기에서 취(取)란 집착을 뜻한다. 욕취란 욕계에서 5욕의 대상 경계에 대하여 일으키는 탐욕의 집착이고, 견취란 잘못된 견해를 진실이라고 집착하는 것이며, 계취란 정인정도(正因正道)가 아닌 것을 정인정도라고 집착하는 것이고, 아취란 자기의 말에 대하여 고집하는 것을 말한다.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有由取。緣取有有。我所說者。義在於此。
“아난아,
나는 이러한 연법을 통하여 유는 취로부터 생겨나는 것이고 취를 연하여 유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又告阿難。緣愛有取。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欲愛.有愛.無有愛者。寧有取不。
또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애를 연하여 취가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에게 욕애(欲愛)ㆍ유애(有愛)ㆍ무유애(無有愛)가 없다면 그래도 취가 있겠느냐?”
答曰。無有。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取由愛。緣愛有取。我所說者。義在於此。
“아난아,
나는 이러한 연법을 통해서 취는 애로부터 생겨나고 애를 연하여 취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又告阿難。緣受有愛。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樂受.苦受.不苦不樂受者。寧有愛不。
또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수를 연하여 애가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에게 낙수(樂受)ㆍ고수(苦受)ㆍ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가 없다면 그래도 애가 있겠느냐?”
* 세 가지를 3수(受)라 하는데, 여기에서 수(受)란 감각 즉 느낌이라는 뜻이다. 낙수란 바깥 경계와의 접촉에서 생겨나는 즐거움의 느낌이고, 고수란 바깥 경계와의 접촉으로 인하여 몸과 마음에 느끼는 괴로움이며, 불고불낙수란 고수와 낙수에 속하지 않는, 즉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느낌을 말한다.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愛由受。緣受有愛。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當知因愛有求。因求有利。因利有用。因用有欲。因欲有著。因著有嫉。因嫉有守。因守有護。阿難。由有護故。有刀杖.諍訟.作無數惡。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護者。當有刀杖.諍訟。起無數惡不。
“아난아,
나는 이 연법을 통해서 애는 수로부터 생겨나고 수를 연하여 애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마땅히 알라.
애(愛)를 인하여 구함[求]이 있고
구함을 인하여 이익[利]이 있고
이익을 인하여 씀[用]이
있고 씀을 인하여 욕심[欲]이 있고
욕심을 인하여 집착[著]이 있고
집착을 인하여 질투[嫉]가 있고
질투를 인하여 지킴[守]이 있고
지킴을 인하여 보호[護]가 있다.
아난아,
보호가 있음으로 말미암아 칼과 막대기와 다툼[諍訟]이 있어 무수한 악을 짓는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이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보호함[護]이 없게 한다면 그래도 칼과 막대기와 다툼[靜訟]이 있어 무수한 악을 일으키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是故。阿難。以此因緣。知刀杖.諍訟由護而起。緣護有刀杖.諍訟。阿難。我所說者。義在於此。
“그러므로 아난아,
나는 이 연법을 통하여 칼과 막대기와 다툼은 보호로부터 일어나고 보호를 연하여 칼과 막대기와 다툼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아난아,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又告阿難。因守有護。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守者。寧有護不。
또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지킴[守]을 인하여 보호가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지킴이 없게 한다면 그래도 보호가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護由守。因守有護。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因嫉有守。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嫉者。寧有守不。
“아난아,
나는 이 연법을 통해서 보호는 지킴으로부터 생겨나고 지킴을 인하여 보호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질투[嫉]로 말미암아 지킴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질투를 없게 한다면 그래도 지킴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守由嫉。因嫉有守。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因著有嫉。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著者。寧有嫉不。
“아난아,
나는 이 연법을 통해서 지킴은 질투로부터 생겨나고 질투를 연하여 지킴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집착[著]으로 인하여 질투가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집착을 없게 한다면 그래도 질투가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嫉由著。因著有嫉。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因欲有著。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欲者。寧有著不。
“아난아,
나는 이 연법을 통해서 질투는 집착으로부터 생겨나고 집착을 연하여 질투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욕심[欲]으로 인하여 집착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욕심을 없게 한다면 그래도 집착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著由欲。因欲有著。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因用有欲。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用者。寧有欲不。
“아난아,
나는 이 연법을 통해서 집착은 욕심으로부터 생겨나고 욕심을 연하여 집착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하는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씀[用]을 인하여 욕심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씀을 없게 한다면 그래도 욕심이 생기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義。知欲由用。因用有欲。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因利有用。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利者。寧有用不。
“아난아,
나는 이런 이치를 통해서 욕심은 씀으로부터 생겨나고 씀을 연하여 욕심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이익[利]을 인하여 씀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이익을 없게 한다면, 그래도 씀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義。知用由利。因利有用。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因求有利。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求者。寧有利不。
“아난아,
나는 이런 이치를 통해서 씀은 이익으로부터 생겨나고 이익을 연하여 씀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구함[求]을 인하여 이익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구함을 없게 한다면 그래도 이익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利由求。因求有利。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因愛有求。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愛者。寧有求不。
“아난아,
나는 이 연법을 통해서 이익은 구함으로부터 생겨나고 구함을 연하여 이익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애(愛)를 인하여 구함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일체 중생들로 하여금 애를 없게 한다면 그래도 구함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求由愛。因愛有求。我所說者。義在於此。
“아난아,
나는 이 연법을 통해서 구함은 애(愛)로부터 생겨나고 애를 인하여 구함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又告阿難。因愛有求。至於守護。受亦如是。因受有求。至於守護。
또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애를 인하여 구함이 있다. 이리하여 지키고[守] 보호함[護]에 이르기까지의 이치도 마찬가지이며, 수(受)도 또한 그와 같아서 수를 인하여 구함이 있으며, 나아가 지키고[守] 보호함[護]에 이르기까지의 이치도 마찬가지이다.”
佛告阿難。緣觸有受。此爲何義。阿難。若使無眼.無色.無眼識者。寧有觸不。
부처님께서 다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촉(觸)을 연하여 수가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아난아, 만일 눈이 없고 빛이 없고 눈의 인식작용[眼識]이 없다면 그래도 촉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若無耳.聲.耳識。鼻.香.鼻識。舌.味.舌識。身.觸.身識。意.法.意識者。寧有觸不。
“만일 귀ㆍ소리ㆍ귀의 인식작용과 코ㆍ냄새ㆍ코의 인식작용과 혀ㆍ맛ㆍ혀의 인식작용과 몸ㆍ닿임ㆍ몸의 인식작용과 뜻ㆍ법ㆍ뜻의 인식작용이 없다면 그래도 촉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은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若使一切眾生無有觸者。寧有受不。
“아난아,
만일 일체 중생들에게 촉을 없게 한다면 그래도 수가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是義。知受由觸。緣觸有受。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緣名色有觸。此爲何義。若使一切眾生無有名色者。寧有心觸不。
“아난아,
나는 이 이치를 통하여 수는 촉으로부터 생겨나고 촉을 연하여 수가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하는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명색(名色)을 연하여 촉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중생에게 명색을 없게 한다면 그래도 마음의 감촉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若使一切眾生無形色相貌者。寧有身觸不。
“만일 일체 중생에게 형색(形色)과 모형[相貌]을 없게 한다면 그래도 몸의 감촉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若無名色。寧有觸不。
“아난아,
만일 명색이 없다면 그래도 감촉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是緣。知觸由名色。緣名色有觸。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緣識有名色。此爲何義。若識不入母胎者。有名色不。
“아난아,
나는 이 연법(緣法)을 통해서 촉은 명색으로부터 생겨나고 명색을 연하여 촉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하는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식을 연하여 명색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식(識)이 모태(母胎)에 들어가지 않았다면 그래도 명색이 생길 수 있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若識入胎不出者。有名色不。
“만일 식이 모태에 들어갔다 나오지 않는다면 그래도 명색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若識出胎。嬰孩壞敗。名色得增長不。
“만일 식이 태에서 나와 어린아이 때 없어지고 만다면 그래도 명색이 자라날 수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若無識者。有名色不。
“아난아,
만일 식이 없다면 그래도 명색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是緣。知名色由識。緣識有名色。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緣名色有識。此爲何義。若識不住名色。則識無住處。若無住處。寧有生.老.病.死.憂.悲.苦惱不。
“아난아,
이 연법을 통해서 나는 명색은 식으로부터 생겨나고 식을 연하여 명색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아난아, 명색을 연하여 식이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만일 식이 명색에 머무르지 않는다면 곧 식이 머무를 곳이 없을 것이다. 만일 식이 머무를 곳이 없다면 그래도 생ㆍ노ㆍ병ㆍ사와 우ㆍ비ㆍ고ㆍ뇌가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若無名色。寧有識不。
“아난아,
만일 명색이 없다면 그래도 식이 있겠느냐?”
答曰。無也。
아난이 대답했다.
“없을 것입니다.”
阿難。我以此緣。知識由名色。緣名色有識。我所說者。義在於此。阿難。是故名色緣識。識緣名色。名色緣六入。六入緣觸。觸緣受。受緣愛。愛緣取。取緣有。有緣生。生緣老.死.憂.悲.苦惱。大苦陰集。
“아난아,
나는 이 연법을 통해서 식은 명색으로부터 생겨나고 명색을 연하여 식이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내가 말한 이치가 여기에 있다. 명색은 6입(入)을 연(緣)하고 6입은 촉을 연하고 촉은 수를 연하고 수는 애를 연하고 애는 취를 연하고 취는 유를 연하고 유는 생을 연하고 생은 노ㆍ사ㆍ우ㆍ비ㆍ고ㆍ뇌의 큰 고음의 쌓임[大苦陰集]을 연한다.
阿難。齊是爲語。齊是爲應。齊是爲限。齊此爲演說。齊是爲智觀。齊是爲眾生。阿難。諸比丘於此法中。如實正觀。無漏心解脫。阿難。此比丘當名爲慧解脫。如是解脫比丘如來終亦知。如來不終亦知。如來終不終亦知。如來非終非不終亦知。何以故。阿難。齊是爲語。齊是爲應。齊是爲限。齊是爲演說。齊是爲智觀。齊是爲眾生。如是盡知已。無漏心解脫比丘不知不見如是知見。阿難。夫計我者。齊幾名我見。名色與受。俱計以爲我。有人言。受非我。我是受。或有言。受非我。我非受。受法是我。或有言。受非我。我非受。受法非我。但愛是我。
아난아,
이렇게 가지런하게 말하고 가지런하게 대답하고 가지런하게 한계를 짓고 가지런하게 연설하고 가지런하게 지혜로 관찰[智觀]하고 가지런하게 중생을 위하느니라.
아난아,
모든 비구는 이 법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를 바르게 관찰하여 번뇌가 없어진 마음의 해탈[心解脫]을 얻으면 아난아, 이 비구는 마땅히 지혜의 해탈[慧解脫]을 얻었다고 한다. 이렇게 마음의 해탈을 증득한 비구는 여래의 마지막도 알고 여래의 마지막이 아닌 것도 알며, 여래의 마지막과 마지막 아닌 것도 알고, 여래의 마지막 아닌 것과 마지막 아님이 아닌 것도 안다.
무슨 까닭인가?
아난아,
이렇게 가지런하게 말하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대답하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한계를 짓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지혜로 관찰하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중생을 위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다 알아 번뇌 없는 마음의 해탈을 얻은 비구는 알지도 않고 보지도 않으며 다만 이렇게 알고 볼 뿐이다.
아난아,
나[我]라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것 모두를 거의 아견(我見)이라고 하고 명색(名色)과 수(受)를 다 나라고 한다. 어떤 사람은 "수(受)는 나가 아니고 나라는 것이 수이다"라고 말하고, 혹 어떤 사람은 "수는 나가 아니요, 나라는 것이 수도 아니며, 수법(受法)이 곧 나이다"라고 하기도 하고, 혹 어떤 사람은 "수(受)도 나라는 것이 아니고 나라는 것도 수가 아니며, 수법도 나라는 것이 아니다. 다만 애(愛)가 나이다"라고 하기도 한다.
阿難。彼見我者。言受是我。當語彼言。如來說三受。樂受.苦受.不苦不樂受。當有樂受時。無有苦受.不苦不樂受。有苦受時。無有樂受.不苦不樂受。有不苦不樂受時。無有苦受.樂受。所以然者。阿難。樂觸緣生樂受。若樂觸滅受亦滅。阿難。苦觸緣生苦受。若苦觸滅受亦滅。不苦不樂觸緣生不苦不樂受。若不苦不樂觸滅受亦滅。阿難。如兩木相攢則有火生。各置異處則無有火。此亦如是。因樂觸緣故生樂受。若樂觸滅受亦俱滅。因苦觸緣故生苦受。若苦觸滅受亦俱滅。因不苦不樂觸緣生不苦不樂受。若不苦不樂觸滅受亦俱滅。阿難。此三受有爲無常。從因緣生。盡法.滅法。爲朽壞法。彼非我有。我非彼有。當以正智如實觀之。阿難。彼見我者。以受爲我。彼則爲非。
아난아,
저 나라는 견해를 가진 자들이 "수가 바로 나이다"라고 하거든 너는 마땅히 그들에게 "여래께서 고수(苦受)ㆍ낙수(樂受)ㆍ불고불락수(不苦不樂受), 이 세 가지 수(受)에 대하여 말씀하셨는데, 낙수가 있을 때는 고수와 불고불낙수는 있을 수 없고, 고수가 있을 때는 낙수와 불고불낙수는 있을 수 없으며, 불고불낙수가 있을 때는 고수와 낙수는 있을 수 없다고 하셨다"라고 말하라. 왜냐 하면 아난아, 낙촉(樂觸)을 연으로 하여 낙수(樂受)가 생겨나나니, 만일 낙의 촉이 멸하면 수도 또한 멸하기 때문이다.
아난아,
고촉(苦觸)을 연으로 하여 고수가 생겨나나니, 만일 고의 촉이 멸하면 수도 또한 멸한다. 불고불락촉을 연으로 하여 불고불락수가 생겨나나니, 만일 불고불락의 촉이 멸하면 수도 또한 멸한다.
아난아,
비유하면 마치 두 개의 나무를 서로 비비면 곧 불이 일어나지만 각각 딴 곳에 두면 불이 일어나지 않는 것처럼 이것도 또한 그와 같다. 낙촉을 연으로 하여 낙수가 생겨나는 것이므로 만일 낙의 촉이 멸하면 수도 또한 멸한다. 고촉을 연으로 하여 고수가 생겨나는 것이므로 만일 고의 촉이 멸하면 수도 또한 멸한다. 불고불락촉을 연으로 하여 불고불락수가 생겨나는 것이므로 만일 불고불락의 촉이 멸하면 수도 또한 멸한다.
아난아,
이 세 가지 수(受)는 작용이 있는 것[有爲]이기 때문에 항상한 것이 아니고 연을 따라 생겨나나니, 다하는 법이요 멸하는 법이요 썩어 무너지는 법이다. 저것들은 나의 소유도 아니요 나 또한 저것의 소유가 아니다. 마땅히 바른 지혜로써 있는 그대로 그것을 관찰하라. 아난아 저들이 나[我]라는 견해를 가지는 것은 수(受)를 나[我]라고 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도 잘못이다.
阿難。彼見我者。言受非我。我是受者。當語彼言。如來說三受。苦受.樂受.不苦不樂受。若樂受是我者。樂受滅時。則有二我。此則爲過。若苦受是我者。苦受滅時。則有二我。此則爲過。若不苦不樂受是我者。不苦不樂受滅時。則有二我。此則爲過。阿難。彼見我者。言。受非我。我是受。彼則爲非。阿難。彼計我者。作此說。受非我。我非受。受法是我。當語彼言。一切無受。汝云何言有受法。汝是受法耶。對曰。非是。是故。阿難。彼計我者。言。受非我。我非受。受法是我。彼則爲非。
아난아,
저 나라는 것이 있다고 보는 사람이 "수는 나가 아니고 나라는 것이 수이다"라고 말하거든 너는 마땅히 그에게 "여래께서 고수ㆍ낙수ㆍ불고불락수 이 세 가지 수(受)에 대하여 말씀하셨는데, 만일 낙수가 나라면 낙수가 멸할 때에는 곧 두 개의 나라는 것이 있게 되는 것이니, 이것은 잘못이다. 만일 고수가 나라면 고수가 멸할 때에는 곧 두 개의 나라는 것이 있게 되는 것이니, 이것도 잘못이다. 만일 불고불락수가 나라면 불고불락수가 멸할 때에는 곧 두 개의 나라는 것이 있게 되는 것이니, 이것도 잘못이다"라고 말하라. 아난아, 저 나라는 것이 있다고 보는 자가 "수는 나가 아니요, 나라는 것이 곧 수이다"라고 말한다면 그것도 잘못이다.
아난아,
저 나라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자가 "수는 나가 아니고 나라는 것은 수도 아니며, 수법(受法)이 나이다"라고 말하거든 너는 마땅히 그에게 "모든 것에는 수가 없는데 너는 어떻게 수법이 있다고 하는가? 네가 바로 수법이냐?" 하고 말하라. 그는 "그렇지 않다"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므로 아난아, 저 나라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자가 "수는 나가 아니요, 나는 수도 아니며, 수법이 곧 나이다"라고 말하는 것은 잘못이다.
阿難。彼計我者。作是言。受非我。我非受。受法非我。但愛是我。者。當語彼言。一切無受。云何有愛。汝是愛耶。對曰。非也。是故。阿難。彼計我者。言。受非我。我非受。受法非我。愛是我。者。彼則爲非。阿難。齊是爲語。齊是爲應。齊是爲限。齊是爲演說。齊是爲智觀。齊是爲眾生。阿難。諸比丘於此法中如實正觀。於無漏心解脫。阿難。此比丘當名爲慧解脫。如是解脫心比丘。有我亦知。無我亦知。有我無我亦知。非有我非無我亦知。何以故。阿難。齊是爲語。齊是爲應。齊是爲限。齊是爲演說。齊是爲智觀。齊是爲眾生。如是盡知已。無漏心解脫比丘不知不見如是知見。
아난아,
저 나가 있다고 생각하는 자가 "수는 나가 아니요, 나는 수도 아니며, 수법도 나가 아니다. 오직 애(愛)가 나이다"라고 말하거든, 너는 그에게 "모든 것은 수가 없는데 어떻게 애가 있겠느냐? 네 자신이 곧 애이냐?"라고 말하라. 그러면 그는 "아니다"라고 대답할 것이다. 그러므로 아난아, 저 나가 있다고 생각하는 자가 "수는 나가 아니요, 나도 수가 아니며, 수법도 나가 아니다. 애가 바로 나이다"라고 말한다면 그것도 곧 잘못이다.
아난아,
이렇게 가지런하게 말하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대답하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한계를 짓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연설하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지혜로 관찰하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중생을 위하느니라. 아난아, 모든 비구는 이 법에 대하여 사실 그대로를 바르게 관찰하여 번뇌가 없어진 마음의 해탈을 얻으면 아난아, 이 비구는 마땅히 지혜의 해탈을 얻었다고 한다. 이렇게 마음의 해탈을 증득한 비구는 나[我]라는 것이 있는 것도 알고 나라는 것이 없는 것도 알며, 나라는 것이 있는 동시에 나라는 것이 없는 것도 알고, 나라는 것이 있지도 않고 나라는 것이 없지도 않은 것도 또한 안다. 무슨 까닭인가? 아난아, 이렇게 가지런하게 말하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대답하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한계를 짓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지혜로 관찰하고 이렇게 가지런하게 중생을 위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다 알아 번뇌 없는 마음의 해탈을 얻은 비구는 알지도 않고 보지도 않으며 다만 이렇게 알고 볼 뿐이다.”
佛語阿難。彼計我者。齊已爲定。彼計我者。或言少色是我。或言多色是我。或言少無色是我。或言多無色是我。阿難。彼言少色是我者。定少色是我。我所見是。餘者爲非。多色是我者。定多色是我。我所見是。餘者爲非。少無色是我者。定言少無色是我。我所見是。餘者爲非。多無色是我者。定多無色是我。我所見是。餘者爲非。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저 나라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똑같이 모두 결정적으로 말한다. 저 나라는 것이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혹은 소량[少:少量]의 색(色)을 나라고 하고 혹은 무량[多:無量]의 색을 나라고 한다. 혹은 소량의 무색(無色)을 나라고 하고 혹은 무량의 무색을 나라고 한다.
아난아,
저 소량의 색을 나라고 하는 자는 "소량의 색이 나이다. 내가 보는 것은 옳고 다른 이가 보는 것은 그르다"고 단정하여 말한다. 무량의 색을 나라고 하는 자도 무량의 색을 나라고 하여 내가 보는 것은 옳고 남이 보는 것은 그르다고 한다. 소량의 무색을 나라고 하는 자도 소량의 무색을 나라고 하며 내가 보는 것은 옳고 남이 보는 것은 그르다고 하며, 무량의 무색을 나라고 하는 자도 무량의 무색을 나라고 하여 내가 보는 것은 옳고 남이 보는 것은 그르다고 한다.”
佛告阿難。七識住。二入處。諸有沙門.婆羅門言。此處安隱。爲救.爲護.爲舍.爲燈.爲明.爲歸。爲不虛妄。爲不煩惱。云何爲七。或有眾生。若干種身若干種想。天及人。此是初識住處。諸沙門.婆羅門言。此處安隱。爲救.爲護.爲舍.爲燈.爲明.爲歸。爲不虛妄。爲不煩惱。阿難。若比丘知初識住。知集.知滅.知味.知過.知出要。如實知者。阿難。彼比丘言。彼非我。我非彼。如實知見。或有眾生。若干種身而一想。梵光音天是。或有眾生。一身若干種想。光音天是。或有眾生一身一想。遍淨天是。或有眾生。住空處。或有眾生。住識處。或有眾生。住不用處。是爲七識住處。或有沙門.婆羅門言。此處安隱。爲救.爲護.爲舍.爲燈.爲明.爲歸。爲不虛妄。爲不煩惱。阿難。若比丘知七識住。知集.知滅.知味.知過.知出要。如實知見。彼比丘言。彼非我。我非彼。如實知見。是爲七識住。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말씀하셨다.
7식주(識住)와 2입처(入處)에 대해서 모든 사문 바라문은 "이곳은 안온하여 구제가 되고 보호가 되며 집이 되고 등불이 되며 밝음이 되고 귀의처가 되며 허망하지 않고 번뇌가 없는 곳이다"라고 말한다.
*識住: 과보를 따라 생(生)을 받아 태어나서 그 세계에 머무는 것을 그 심식(心識)이 좋아하는 일곱 가지 처소.
*入處: 안주하는 두 곳. 즉 무상입(無想入)과 비상비무상입(非想非無想入)을 말한다.
어떤 것을 일곱 가지라고 하는가?
어떤 중생은 몸도 각각 다르고 생각도 각각 다른데 곧 하늘과 사람 세계가 그것이니, 이것이 초식주(初識住)이다. 모든 사문 바라문은 "이곳은 안온하여 구제가 되고 보호가 되며 집이 되고 등불이 되며 밝음이 되고 귀의처가 되며 허망하지 않고 번뇌가 없는 곳이다"라고 말한다. 아난아, 만일 비구로서 초식주를 알되 그 원인을 알고 그 멸을 알고 그 맛을 알고 그 허물[過:初識住의 過患]을 알고 그 벗어나는 방법을 알면 그는 진실 그대로를 알게 되리라. 아난아, 그 비구는 "저는 나라는 것이 아니요 나도 저라는 것이 아니다. 진실 그대로를 보아 안다"고 말하리라.
어떤 중생은 몸은 각각 다르나 생각은 한가지인데 각기 다르니 범광음천(梵光音天)이 그것이며, 어떤 중생은 몸은 같으나 생각은 각기 다르니 광음천(光音天)이 그것이다. 어떤 중생은 몸도 같고 생각도 같은데 변정천(遍淨天)이 그것이며, 어떤 중생은 공처(空處)에 머물고 어떤 중생은 식처(識處)에 머물며, 어떤 중생은 불용처(不用處)에 머무르나니 이것을 7식주처라고 한다.
어떤 사문 바라문은 "이곳은 안온하여 구제가 되고 보호가 되며 집이 되고 등불이 되며 밝음이 되고 귀의처가 되며 허망하지 않고 번뇌가 없는 곳이다"라고 말한다.
아난아,
만일 비구로서 7식주를 알되 그 원인을 알고 그 멸을 알고 그 맛을 알며 그 허물을 알고 그 벗어나는 방법을 알면 그는 진실 그대로를 알고 보게 되리라. 그 비구는 "저는 나[我]가 아니요 나도 저가 아니다. 사실 그대로를 알고 볼 뿐이다"라고 말하리니, 이것이 7식주이다.
云何二入處。無想入.非想非無想入。是爲。阿難。此二入處。或有沙門.婆羅門言。此處安隱。爲救.爲護.爲舍.爲燈.爲明.爲歸。爲不虛妄。爲不煩惱。阿難。若比丘知二入處。知集.知滅.知味.知過.知出要。如實知見。彼比丘言。彼非我。我非彼。如實知見。是爲二入。
어떤 것이 2입처(入處)인가?
무상입(無想入)과 비상무상입(非想無想入)이 그것이다. 어떤 사문 바라문이 "이곳은 안온하여 구제가 되고 보호가 되며 집이 되고 등불이 되며 밝음이 되고 귀의처가 되며 허망하지 않고 번뇌가 없는 곳이다"라고 말한다. 아난아, 만일 비구로서 2입처를 알되 그 원인을 알고 그 멸을 알며 그 맛을 알고 그 허물을 알며 벗어나는 방법을 알면 그는 사실 그대로를 알고 사실 그대로를 보게 되리라. 그 비구는 "저는 나가 아니요 나도 저가 아니다. 사실 그대로를 알고 볼 뿐이다"라고 말하리니, 이것이 2입처이다.
阿難。復有八解脫。云何八。色觀色。初解脫。內無色想。觀外色。二解脫。淨解脫。三解脫。度色想。滅有對想。不念雜想。住空處。四解脫。度空處。住識處。五解脫。度識處。住不用處。六解脫。度不用處。住有想無想處。七解脫。滅盡定。八解脫。阿難。諸比丘於此八解脫。逆順遊行。入出自在。如是比丘得俱解脫。
아난아,
또 8해탈이 있다. 어떤 것이 여덟 가지인가?
색(色)에 대하여 색으로 관하는 것이 첫 번째 해탈이고,
마음속으로 색(色)을 생각하여 바깥의 색을 관하는 것이 두 번째 해탈이며,
깨끗한 것을 관하여 해탈하는 것이 세 번째 해탈이요,
색에 대한 생각에서 벗어나 상대가 있다는 생각[有對想]을 멸하고 잡생각을 일으키지 않으며 공처에 머무르는 것이 네 번째 해탈이다.
공처(空處)를 초월하여 식처에 머무르는 것이 다섯 번째 해탈이고,
색처(色處)를 초월하여 불용처(不用處)에 머무르는 것이 여섯 번째 해탈이며,
불용처를 초월하여 유상무상처(有想無想處)에 머무르는 것이 일곱 번째 해탈이고,
멸진정(滅盡定)이 여덟 번째 해탈이다.
아난아,
모든 비구가 이 여덟 가지 해탈에서 역순으로 노닐면서 드나들기를 자재로이 한다면 그러한 비구는 구해탈(俱解脫)을 얻는다.”
爾時。阿難聞佛所說。歡喜奉行。
그 때 아난이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산과바다 이계도
'*** 佛 心*** > 長阿含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長阿含經 15. 阿耨夷經 (0) | 2015.02.11 |
---|---|
長阿含經 14. 釋提桓因問經 (0) | 2015.02.11 |
長阿含經 12. 三聚經 삼취경 (0) | 2015.02.10 |
長阿含經 11. 增一經 (0) | 2015.02.10 |
長阿含經 10. 十上經 (0) | 2015.02.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