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時調詩 ***/歌集

고시조-장만 우탁 이순신 김수장 정철 김성기 원천석

by 산산바다 2007. 11. 24.

산과바다

 

            3대가집 중에서

 

풍파에 놀란 사공              - 장 만 -<청구, 해동, 가곡원류>
풍파(風波)에 놀란 사공(沙工) 배 파라 말을 사니
구절양장(九折羊腸)이 물도곤 어려왜라
이 후(後)란 배도 말도 말고 밧갈기만 하리라.
 [현대어 풀이]      주제 : 벼슬살이에 대한 어려움 참된 인생살이의 어려움
 거센 풍파에 놀란 뱃사공이 배를 팔아서 말을 샀더니
구불구불한 산길이 물길보다 어렵구나
이 다음엔 배도 말도 말(馬)도 말고 밭이나 갈면서 지내리라.

 

 

한 손에 막대 잡고                      - 우 탁 -<청구영언>



 [현대어 풀이]     주제 : 덧없이 늙어가는 것을 한탄함.
한 손에는 막대를 잡고, 또 한 손에는 가시를 쥐고서
늙어가는 것을 가시(가시덩굴)로 막고, 오는 백발은 막대기로 치려고 하였더니
(어느새) 백발이 먼저 알고 지름길로 오더라.

 

 

 한산섬 달 발근 밤의       - 이순신 -<청구, 해동, 가곡원류>
한산(閑山)셤 달 발근 밤의 수루(戍樓)에 혼자 안자
큰 칼 녀� 차고 기픈 시름 하난 적의
어듸셔 일성호가(一聲胡茄)난 남의 애를 긋나니.
 [현대어 풀이]     주제 : 충무공의 우국충정(憂國衷情)
한산섬의 달이 밝은 밤에 수루(망루)에 혼자 앉아서
큰 칼을 허리에 차고 나라에 대한 깊은 근심에 잠겨 있을 적에
어디선가 들려오는 한가락의 피리 소리가 이렇게도 나의 애간장을 태우는가.

 

 

한식 비 갠 후에                           - 김수장 -<해동가요>



 [현대어 풀이]     주제 : 국화의 절개 예찬
 한식날에 비가 갠 뒤에 국화의 싹이 돋아나니 반갑구나.
(계절이 바뀌면) 꽃도 보겠거니와 날마다 새롭게 피어나는 모습이 더 보기가 좋구나
바람과 서리가 함께 뒤섞여 칠 때 군자의 절개를 꽃피우노라.

 

 

 한 잔 먹세 그려 ~                      - 정 철 -<송강가사>



[현대어 풀이]     주제 : 음주 취락
한 잔 먹어 보세, 또 한 잔 먹어 보세.
꽃 꺾어 셈을 하면서 한없이 먹어 보세 그려.  이 몸 죽은 후면 지게 위에 거적을 덮어 꽁꽁 졸라 매어져서 가거나 호화로운 상여에 만인이 울면서 따라가거나, 억새풀과 속새와 떡갈나무와 백양나무 숲에 가기만 곧 가면, 누런 해, 흰 달, 가는 비, 함박눈, 음산한 바람이 불 때 누가 한 잔 먹자고 할 것 같은가.
하물며 무덤 위에 잿빛 원숭이가 휘파람을 불 때, 뉘우친들 무엇하리.
[이해 및 감상]
'장진주사'라는 사설시조로 멋진 권주가에 해당되는 시조이다. 사람이 한번 죽고 나면, 거적을 덮어 지게에 짊어지고 가거나, 유소보장 호화로운 상여에 만인이 울면서 따라가거나, 일단 북망산천으로 들어가기만 하면 외롭고 쓸쓸하고 을씨년스럽기는 매한가지가 아니냐. 부귀와 영화도 살았을 적의 일이지 한번 죽어지면 모든 것이 다 일장춘몽이다. 공수래 공수거하는 인생, 그러니까 살아생전에 후회 없이 즐겁게 지내보자는 것이다.
초반부의 꽃을 꺾어서 술잔 수를 셈하면서 즐기는 낭만적이고 풍류가 넘치는 정경과, 후반부에 그려진 무덤 주변의 삭막하고 음산한 분위기는 대조적이어서 읽는 이로 하여금 인생 무상을 느끼게 한다. 현실에 대한 무기력감과 퇴폐적인 정조로 비판을 받을 수도 있겠으나, 북망산천의 묘사는 영상미의 극치를 보여주는 걸작이다.
표현면에서 당나라 시인 이백과 두보의 술을 노래한 시와 시상이 비슷하고 더러는 그 구절을 인용한 것도 있으나, 전반적으로 우리말의 아름다움이 자연스럽게 드러나도록 구사된 걸작이다.
 
*산(算) 놓고 : 꽃나무 가지를 꺾어, 하나 둘 셈을 하면서 한 잔 먹고 가지하나 꺾고, 두 잔 먹고
        가지하나 꺾으면서 …….  풍류를 즐길 줄 아는 모습.
*무진무진 : 한없이, 끝없이, 무궁무진.
*줄이어매여 : 꽁꽁 졸라매어져서
*유소보장(流蘇寶張) : 호화롭게 꾸민 상여를 말한다. '유소'는 깃발 따위의 가장자리에 붙이는
       오색실이나 노로 만든 술, '보장'은 고급  휘장(장막). 여기서는 그것을 두른 상여를 말함.
*울어 예나 : 울면서(곡을 하면서) 따라가거나
*어욱새 : 억새풀
*백양 : 사시나무
*누른해 : 누런 해. 묘지에서 쳐다보는 기분 나쁜 뿌연 해를 가리키는 말인 듯하다.
*흰달 : 밝은 달이 아니라, 을씨년스러운 분위기의 달이다.
*가는비 : 가랑비. 시원스럽게 내리는 비가 아니라 구질구질하게 내리는 음산한 비
*굵은눈 : 함박눈
*소소리바람 : 음산한 바람.
*잿납이 : 잿빛(회색) 납이.  납은 원숭이의 옛말
*휘파람 : 원숭이의 구슬픈 울음소리를 말함.
 
[정리]

성격 : 사설시조, 권주가(勸酒歌), 장진주사

표현 : 중장의 산문화, 대조적 분위기 연출

주제 : 음주 취락

의의 : 최초의 사설시조로 알려져 있음.

참고 : 『장진주사』는 최초의 사설시조인가?
'장진주사'는 사설시조의 효시라는 인식이 불변의 진리인 것처럼 일반화되어 있는 바, 이런 인식은 사설시조의 발생을 조선 후기의 사회적 변동과 관련짓게 된다. 그러나 정철에 앞서 중종 때의 고응척(1531~1605)을 사설시조의 작가로 보고 사설시조의 발생을 15세기 또는 고려 말까지 소급하려는 시도도 있다. 사설시조는 평시조의 파격에서 생성된 것이 아니라, 고려 말 이래로 사대부들이 연유(宴遊)를 즐기는 자리에서 평시조와 병행하여 불려 져 온 창곡이라는 것이다. 즉, 사설시조는 고려 속요의 형태를 계승하면서 고려 말에 발생하여, 조선 초기에 소강상태를 보이다가 '장진주사'와 같이 정제된 작품이 등장하였고, 18세기 이후 민중 의식의 발달에 힘입어 민중 문학으로서의 자리를 확고하게 잡았다고 보는 것이다.

 

 

홍진을 다 떨치고             - 김성기 -<해동가요, 악학습령>
홍진(紅塵)을 다 떨치고 죽장망혜(竹杖芒鞋) 집고 신고
요금(瑤琴)을 빗기 안고 서호(西湖)로 드러가니
노화(蘆花)에 떼 만흔 갈며기난 내 벗인가 하노라.
 [현대어 풀이]     주제 : 자연을 벗하는 한가로운 삶
번거로운 속세의 일을 다 떨쳐 버리고 대지팡이를 짚고 짚신을 신고서
거문고를 비스듬히 안아서 경치좋은 서쪽의 호수로 들어가니,
갈대꽃 사이로 수많은 갈매기가 있어 그것이 나의 벗인가 하노라.

 

 

 훈 민 가 (訓民歌)                               - 정 철 -<송강가사>
[1] 아바님 날 나흐시고 어마님 날 기르시니
    두분 곳 아니면 이 몸이 사라시랴
    하늘갓튼 가업슨 은덕을 어데 다혀 갑사오리.

[2] 님금과 백성과 사이 하늘과 땅이로다.
    내의 셜운 일을 다 아로려 하시거든
    우린들 살진 미나리 홈자 엇디 머그리.

[3] 형아 아애야 네 살할 만져 보아
    뉘손듸 타 나관데 양재조차 가타산다
    한 � 먹고 길러나 이셔 닷 마음을 먹디 마라.

[4] 어버이 사라신 제 셤길 일란 다하여라.
    디나간 후면 애닯다 엇디하리
    평생(平生)애 곳텨 못할 일이 잇뿐인가 하노라.

[5] 한 몸 둘혜 난화 부부를 삼기실샤
    이신 제 함� 늙고 주그면 한데 간다
    어대셔 망녕의 꺼시 눈 흘긔려 하나뇨.

[6] 간나희 가는 길흘 사나희 에도다시,
    사나희 녜는 길을 계집이 츠ㅣ도다시,
    제 남진 제 계집 하니어든 일홈 뭇디 마오려.

[7] 네 아들 효경 �더니 어도록 배홧나니
    내 아들 쇼학은 모래면 마찰로다
    어내 제 이 두 글 배화 어딜거든 보려뇨.

[8] 마을 사람들아 올한 일 하쟈스라
    사람이 되어나셔 올치옷 못하면
    마쇼를 갓 곳갈 씌워 밥머기가 다르랴.

[9] 팔목 쥐시거든 두 손으로 바티리라.
    나갈 데 계시거든 막대 들고 좇으리라.
    향음주(鄕飮酒) 다 파한 후에 뫼셔 가려 하노라.

[10] 남으로 삼긴 듕의 벗갓티 유신(有信)하야.
     내의 왼 일을 다 닐오려 하노매라.
     이 몸이 벗님 곳 아니면 사람되미 쉬울가.

[11] 어와 뎌 족해야 밥 업시 엇디할꼬
     어와 뎌 아자바 옷 업시 엇디할꼬
     머흔 일 다 닐러사라 돌보고져 하노라.

[12] 네 집 상사들흔 어도록 찰호산다
     네 딸 셔방은 언제나 마치나산다
     내게도 업다커니와 돌보고져 하노라

[13] 오날도 다 새거다 호� 메고 가쟈사라.
     내 논 다 매여든 네 논 졈 매여 주마.
     올 길헤 뽕 따다가 누에 머겨 보쟈사라.

[14] 비록 못 니버도 남의 옷을 앗디 마라.
     비록 못 먹어도 남의 밥을 비디 마라.
     한적 곳 때 시른 후면 고텨 씻기 어려우리.

[15] 쌍육(雙六) 장기(將碁) 하지 마라 송사(訟事) 글월 하지 마라. 
     집 배야 무슴 하며 남의 원수 될 줄 엇지,
     나라히 법을 세오샤 죄 잇난 줄 모로난다

[16] 이고 진 뎌 늘그니 짐 프러 나랄 주오
      나난 졈엇꺼니 돌히라 므거올까
      늘거도 설웨라커든 지믈 조차 지실까.
 [현대어 풀이]     주제 : 유교의 윤리
[1] 아버님이 나를 낳으시고 어머님께서 나를 기르시니 / 두 분이 아니셨더라면 이 몸이 살아 있었겠는가 / 하늘 같이 높으신 은덕을 어느 곳에 갚아 드리오리까 ?
[3] 형아, 아우야, 네 살들을 한번 만져 보아라. / (너희 형제가) 누구에게서 태어났기에 얼굴의 생김새까지도 닮았단 말이냐? / (한 어머니에게서) 같은 젖을 먹고 길러졌기에, 딴 마음을 먹지 마라.
[4] 부모님 살아계실 동안에 섬기는 일을 정성껏 다하여라. / 세월이 지나 돌아가시고 나면 아무리 뉘우치고 애닯다 한들 어찌하겠는가 / 평생에 다시 못할 일이 부모님 섬기는 일이 아닌가 하노라.
[5] 한몸을 둘로 나누어 부부를 삼으셨기에 / 살아있는 동안에 함께 늙고 죽어서도 같은 곳에 가는구나 / 어디서 망령된 것이 눈을 흘기려고 하는가?
[6] 여자가 가는 길을 남자가 멀찌감치 떨어져 돌아서 가듯이, / 또 남자가 가는 길을 여자가 비켜서 가듯이, / 제 남편, 제 아내가 아니거든 이름도 묻지 마시오.
[8] 마을 사람들아, 옳은 일을 하자꾸나. / 사람으로 태어나서 옳지 못하면 / 말과 소에게 갓이나 고깔을 씌워 놓고 밥이나 먹이는 것과 다를 게 무엇이 있겠는가?
[9] (어른이 기동할 때에 만일) 팔목을 쥐시는 일이 있거든 (그 손을) 내 두 손으로 받들어 잡으리라. / 나들이하기 위하여 밖으로 나가실 때에는 지팡이를 들고 따라 모시리라. / 향음주가 다 끝난 뒤에는 또 모시고 돌아오련다.
[10] 남남으로 생긴 가운데에 친구같이 신의가 있어 / 나의 모든 일을 말하려 하노라 / 이 몸이 친구가 아니면 사람됨이 쉬울까?
[11] 아, 저 조카여, 밥 없이 어찌할 것인고? / 아, 저 아저씨여, 옷 없이 어찌할 것인고? / 궂은 일이 있으면 다 말해 주시오. 돌보아 드리고자 합니다.
[13] 오늘도 날이 다 밝았다, 호미를 메고 나가자꾸나. / 내 논을 다 매거든 너의 논을 조금 매어 주마. / 일을 마치고 돌아오는 길에 뽕을 따다가 누에에게 먹여 보자꾸나.
[16] 머리에 이고 등에 짐을 진 저 늙은이, 짐을 풀어서 나에게 주오. / 나는 젊었거늘 돌이라도 무겁겠소? / 늙는 것도 서럽다 하는데 무거운 짐까지 지셔야겠소?
 
 [창작 배경]
 조선 선조 때의 문신인 정 철이 강원도 관찰사로 재직하였던 1580년(선조13) 정월부터 이듬해 3월 사이에 백성들을 계몽하고 교화하기 위하여 지은 작품이다. 송나라 때 진고령(陳古靈)이 백성이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를 조목별로 쓴 '선거권유문(仙居勸諭文)' 13조목에다, 군신(君臣), 장유(長幼), 붕우(朋友) 3조목을 추가하여 각각 한 수씩 읊은 것으로, 유교의 윤리를 주제로 한 교훈가이다.
 [이해와 감상]
 '훈민가'가 계몽적 · 교훈적 노래이면서도 세련된 문학으로 설득력이 강한 이유는 무엇보다도 그 언어 형식에 있다. 유교적 윤리관에 근거한 바람직한 생활의 권유라는 주제를 표현하되, 현실적 청자인 백성들의 이해와 접근이 용이한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이 작품에는 중국 문학에서 차용한 한자 · 한문이 거의 없다. 어법에 있어서도 완곡한 명령이나 인간미를 느낄 수 있는 청유의 형식을 위주로 하고 있다. 지은이가 이런 언어 형식을 취한 것은 통치자로서의 명령적, 지시적 태도를 버리고 인간적인 데에 호소하려는 의도였을 것이다. 그 결과, '훈민가'는 훈민(訓民)이라는 목적 의식에서 지어진 많은 시조 가운데 가장 설득력 있고, 친근감을 주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 리]
성격 : 연시조, 훈민가(訓民歌), 교민가(敎民歌), 교훈가
전체 구성
 제1수 - 부의모자(父義母慈)
   제2수 - 군신 (君臣)
   제3수 - 형우제공(兄友弟恭)
   제4수 - 자효(子孝) 
   제5수 - 부부유은(夫婦有恩)
   제6수 - 남녀유별(男女有別)  
   제7수 - 자제유학(子弟有學)  
   제8수 - 향려유례(鄕閭有禮)  
   제9수 - 장유유서(長幼有序)  
   제10수 - 붕우유신(朋友有信)  
   제11수 - 빈궁우환(貧窮憂患) 친척상구(親戚相救)  
   제12수 - 혼인사상인리상조(婚姻死喪隣里相助)
   제13수 - 무타농상(無惰農桑)
   제14수 - 무작도적(無作盜賊)
   제15수 - 무학도박(無學賭博). 무호쟁송(無好爭訟)
   제16수 - 반백자불부대(班白者不負戴)

※ 제3수의 '군신', 제9수의 '붕우유신', 제10수의 '붕우유신'은 <선거권유문>에 없는 내용을 추가한 부분이고, '무이악릉선, 무이부탄빈, 행자양로, 경자양반'의 4조목은 채택하지 않았으며, '무학도박'과 '무호쟁송'은 시조 1수의 제재로 용해시켜서 표현함.
창작 의도 : 유교적인 윤리관에 근거하여 바람직한 생활을 영위하도록 권유하는 데 있었지만, 작가 정철은 사대부 계층의 선험적인 가치체계를 일방적으로 따르도록 명령하는 어법을 사용하지 않고, 백성들이 절실하게 느끼는 인간관계를 설정하고 정감어린 어휘들을 사용함으로써 이러한 제재들을 다룬 어떤 작품들보다도 강렬한 설득력을 가지고 있다.
▶ '훈민가(訓民歌)'의 특성
① 윤리(倫理) 도덕(道德)의 실천 궁행(實踐躬行)을 목적으로한 목족 문학(목적문학)이다.
② 강원도 백성들을 교화하기 위한 계몽적이며 교훈적인 성격의 노래이다.
문학적인 운치나 창의성은 적지만. 평이한 말 속에 인정의 기미를 곁들여 감동을 일으키고 있다.
④ 고유어를 사용하여 백성들의 이해와 접긍이 용이하도록 만들어 놓았다.
⑤ 청유 어법을 활용하여 설득하는 힘이 강하다.
주제 : 유교의 윤리

 

 

흥망이 유수하니                 - 원천석 -<청구영언, 해동가요>



 [현대어 풀이]     주제 : 망국(고려의 멸망)의 한과 회고의 정(무상감)
나라가 흥하고 망하는 것이 운수에 달려 있으니, (옛 궁터인) 만월대도 잡초로 가득하구나.
오백 년의 빛나던 고려 왕조의 업적이 목동의 피리 소리에 깃들어 있으니
석양 사이로 지나가는 나그네가 눈물을 감출 수가 없구나.

 

 

 

출처 http://www.woorimal.net/hangul/gosijo-menu.htm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