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한용운 생가지3

한용운 생가지에 가보다 산과바다 한용운 생가지에 가보다 2014. 12. 11. 강경원 이창근 이계도 부부동반 충남 홍성군 결성면 만해로 318번길 83에 위치 우리나라의 승려 시인 독립운동가인 한용운(韓龍雲 1879~1944) 본관은 청주(淸州) 속명은 유천(裕天) 자(속명)는 정옥(貞玉) 용운(龍雲)은 법명이며 득도할 때의 계명은.. 2014. 12. 14.
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 산과바다한용운(韓龍雲) 생가지에 가보다2012. 10. 3. 산과바다는 선재님과 동행하여홍성군 결성면 성곡리에 위치 한용운(韓龍雲 1879년 8월 29일 ~ 1944년 6월 29일)한용운은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한국의 시인, 불교 승려, 작가이자 독립 운동가이다. 본관은 청주이고, 호는 만해(萬海)이다. 3·1 만세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사람이다.일제와 조선총독부에 대한 저항 정신으로 집도 조선총독부 반대 방향인 북향으로 지었고, 식량 배급도 거부했다는 이야기는 매우 유명하다. 또한, 친일로 변절한 최남선이 한용운과 가까운 사이임을 자처하자, 한용운은 최남선이라는 사람은(마음속으로) 이미 장례를 치러서 당신은 모르는 사람입니다. 라고 했다고 한다.     유년기한용운은 1879년 8월 29일 .. 2012. 10. 4.
萬海 한용운(韓龍雲)선생 생가지에 가보다. 산과바다           한용운선생 생가지 2008. 2. 24.산과바다 동반하여위치 : 홍성군 결성면 성곡리 492  문화재 정보 : 시도기념물 75호      승려이며 시인인 한용운(1879∼1944) 선생이 태어난 곳이다. 선생은 충청남도 홍성 출신으로 독립운동가로도 활동했으며 호는 만해(萬海)이다.  1919년 3·1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 중의 한 분으로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후 체포되어 3년형을 받았다.  일제에 대항하는 단체였던 신간회를 주도적으로 결성하였는데, 이 신간회는 후에 학생 의거와 전국적인 민족 운동으로 전개되고 추진되었다.  저서로『님의침묵』『불교대전』등을 남겼으며 그의 사후인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이 수여되었다. 이어 생가 좌측 뒷편에 사당과 삼문을 신축하였으며, 사.. 2008. 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