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나물속22 기린초 Kamchatka stonecrop 산과바다 기린초 Kamchatka stonecrop 2014. 6. 12. 담음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돌나물과 >돌나물속(Sedum) 돌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바위 곁에서 자란다. 높이는 5∼30cm이며, 뿌리줄기는 매우 굵고 원줄기의 한군데에서 줄기가 뭉쳐나며 원기둥 모양이다.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선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거의 없고, 육질(肉質)이다.꽃은 5∼7월에 노란 꽃이 취산꽃차례(聚揀花序 취간화서)로 꼭대기에 많이 핀다. 꽃잎은 바소꼴로 5개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은 바소꼴의 줄 모양으로 5개이며 녹색이다.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 2014. 6. 12. 바위채송화 a stone crop 산과바다 바위채송화 a stone crop2012. 8. 5. 담음 바위채송화 Sedum polytrichoides Hemsl.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돌나물과 >돌나물속(Sedum) 전국 산지에 분포한다. 산지의 바위 겉에서 자란다. 전국적으로 매우 건조한 바위 위에 이끼가 말라죽은 곳이나 먼지 등이 쌓인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원줄기 밑부분이 옆으로 뻗고 윗부분이 가지와 더불어 곧추서서 높이가 10cm에 달하며 밑부분에 갈색이 돌고 꽃이 달리지 않는 가지에는 잎이 밀생한다. 보통 때는 지상부가 고사한 듯이 보이나 비가 온 후에 생육과 개화가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목색의 관상가치가 높은 식물체가 된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피침상 선형이고 끝이 뾰족하며.. 2012. 8. 8. 땅채송화 Coastal mosslike stonecrop 산과바다 땅채송화 Coastal mosslike stonecrop2012. 6. 5. 우도에서 담음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Makino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장미목 >돌나물과 >돌나물속(Sedum) 갯채송화, 제주기린초라고도 한다. 바닷가, 햇볕이 잘 들고 암반으로 이루어진 경사면 또는 바위 위에 약간의 토양이 있는 곳에서 자란다. 줄기는 옆으로 뻗고 가지가 갈라지며 원줄기 윗부분과 가지가 모여 곧게 서고 높이 5~12cm이며 군생한다.잎은 어긋나기하고 길이 3~6mm, 지름 1.5~2.5mm로서 원주상 거꿀달걀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원두이다.꽃은 5~7월에 피고 원줄기 끝에는 꽃이 달리지 않으며 줄기 상단에서 갈라진 가지 끝에 3-1.. 2012. 6. 11. 기린초 Kamchatka stonecrop 산과바다 기린초 Kamchatka stonecrop 2011. 6. 12. 담음 기린초 Sedum kamtschaticum Fisch. & Mey.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범의귀목 >돌나물과 >돌나물속(Sedum) 돌나물속의 여러해살이풀로 산지의 바위 곁에서 자란다. 높이는 5∼30cm이며, 뿌리줄기는 매우 굵고 원줄기의 한군데에서 줄기가 뭉쳐나며 원기둥 모양이다.잎은 어긋나고 거꾸로 선 달걀모양 또는 긴 타원 모양으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는 거의 없고, 육질(肉質)이다.꽃은 5∼7월에 노란 꽃이 취산꽃차례(聚揀花序 취간화서)로 꼭대기에 많이 핀다. 꽃잎은 바소꼴로 5개이며 끝이 뾰족하다. 꽃받침은 바소꼴의 줄 모양으로 5개이며 녹색이다. 수술은 10개이.. 2011. 6. 12. 이전 1 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