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漢詩

한국한시 山寺(이달) 외 伽倻山 別李禮長 送人 畵梅 畵竹 祭塚謠 田家行

by 산산바다 2006. 12. 15.

산과바다

 

 

          山寺 산사   인운 스님에게

                                                              이달(李達;1561-1618)

 

 寺在白雲中 사재백운중    절은 흰 구름 가운데 묻혀 있는데

 白雲僧不掃 백운승불소    흰 구름이라 중은 비질을 하지 않네

 客來門始開 객래문시개    뒤늦게 손이 오자 문이 비로소 열리니

 萬壑松花老 만학송화로    골짜기마다 송홧가루 가득 날리네.  

 

 參考事項- 萬壑(만학) ; 여러 골짜기    松花老(송화노) ; 송홧가루가 다 졌음.

 

 

 

          伽倻山 가야산  

                                                                          이달(李達;1561-1618)

 

中天笙鶴下秋宵 중천생학하추소 중천에서 학이 내려와 가을 밤 소나무에 앉고

千載孤雲已寂蓼 천재고운이적료 천년동안 떠가는 외로운 구름은 고요히 흘러가네.

明月洞門流水去 명월동문유수거 밝은 달은 동네 문밖에 흐르는 물을 따라 가고

不知何處武陵橋 부지하처무릉교 어느 곳이 무릉도원의 다리인가 알지 못하네.   

 

 參考事項- 武陵(무릉) : 무릉도원(武陵桃源), 유토피아

 

 

 

         別李禮長 별리예장  벗과 이별하며

                                                            이달(李達;1561-1618)

 

     桐花夜煙落 동화야연락    오동나무 꽃잎은 밤안개 속에 지고

     海樹春雲空 해수춘운공    바닷가 나무위로 봄구름이 떠있네.

     芳草一杯別 방초일배별    풀밭에서 한 잔 술로 이별하지만

     相逢京洛中 상봉경락중    낙양 가는 길목에서 다시 만나리.

 

 

 

         送人 송인   그대를 보내며

                                                                  이달(李達;1561-1618)

 

 五月櫻桃熟 오월앵도숙       오월 앵도는 익어가고

 千山蜀魄啼 천산촉백제       모든 산에서 소쩍새 우네.

 送君空有淚 송군공유루       그대를 이별하니 부질없이 눈물 흐르고

 芳草又   방초우처처       온갖 풀들만 저마다 무성하네.       

 

 

 

         畵梅 화매     매화그림

                                                          이달(李達;1561-1618)

 

 擁腫古 在 옹종고사재       고목에 혹을 달고 있어서

 寒香知是梅 한향지시매       차가운 향기에 매화인줄 알았네.

 前宵霜雪裏 전소상설리       지난밤 눈서리 속에서

 尙有一枝開 상유일지개       오히려 가지 하나에 꽃이 피었네.

 

 

 

        畵竹 화죽   대나무 그림

                                                              이달(李達;1561-1618)

 

 脩竹半身折 수죽반신절        마른 대나무 몸통이 절반이 꺾였고

 疎枝生老根 소지생로근        드문 가지가 늙은 뿌리에서 나왔네.

 從前烟雨裏 종전연우리        지난날 비안개 속에서

 幾箇長兒孫 기개장아손        몇 포기나 새순이 자랐네.        

 

 

 

        祭塚謠 제총요   제사 지내는 노래

                                                                      이달(李達;1561-1618)

 

 白犬前行黃犬隨 백견전행황견수   흰고 누런 개는 암수가 서로 따르는데

 野田草際塚   야전초제총류류   들판 풀숲 사이로 무덤들이 이어있네.

 老翁祭罷田間道 로옹제파전간도   늙은이가 제사를 끝내고 밭길로 돌아오는데

 日暮醉歸扶小兒 일모취귀부소아   날이 저무니 제삿술에 취하여 어린아이가 부축하네.

 

 

 

         田家行 전가행  농가를 읊음

                                                                    이달(李達;1561-1618)

 

 田家少婦無野食 전가소부무야식   농가의 젊은 부인 야식거리가 없어

 雨中刈麥草間歸 우중예맥초간귀   빗속에 보리 베어 풀숲 사이로 돌아오네.

 生薪帶濕烟不起 생신대습연불기   땔나무가 젖어 연기만 피어오르고

 入門女兒啼牽衣 입문여아제견의   부엌으로 들어온 어린 딸이 옷 잡아끌며 우네.

 

 

 

         有感 유감   할 말이 많아

                                                                       이달충(李達衷)

 

 將行有河海 장행유하해     장차 강과 바다가 있으니 가려하나

 將涉無舟航 장섭무주항     건너려 해도 배가 없네

 要見我所思 요견아소사     다시 생각하여 돌이켜 보고

 欲往還彷徨 욕왕환방황     가고자하나 얼쩡얼쩡 다시 뒤돌아보네.

 才非傳說楫 재비전설즙     내 재주는 전설의 노가 아니고

 世運亦未昌 세운역미창     세상 운수도 아직은 내 편 아니라네

 潛光且俟命 잠광차사명     재주를 감추고 천명을 기다리자

 妄動遭禍殃 망동조화앙     함부로 행동하면 도리어 화를 만나리라.

 

 參考事項- 傅說(부열) : 은(殷)나라 고종(高宗) 때의 현신(賢臣)으로 고종이 어느 날 꿈을 깨고 꿈에 본 사람을 그리게 하여 찾던 바 마침내 부암(傅岩)의 들에서 그를 찾았다 함.

 

 

 

         嬋娟洞 선연동   기생들의 공동묘지에서

                                                                  이덕무 李德懋 1741 - 1793

 

嬋娟洞草賽羅裙 선연동초새라군  선연동 풀들이 비단 치마로 굿을 하고

剩粉遺香暗古墳 잉분유향암고분  남겨진 분의 향기가 어두운 고분에서 풍기네.

現在紅娘休 艶 현재홍낭휴이염  지금의 아름다운 여인들 어여쁨을 자랑 말고

此中無數舊如君 차중무수구여군  이 중에는 예전 그대들과 같은 사람 무수히 많네.

 

 

 

         汾西挽 분서만   분서의 죽음을 슬퍼함

                                                               이명한 李 明漢 1595 - 1645

 

兄弟相隨拜父母 형제상수배부모   형제가 서로 따르고 부모를 공경하더니

地中還似世間無 지중환사세간무   땅 속으로 돌아가니 이승과 저승은 어떠한가 ?

君歸細報吾消息 군귀세보오소식   그대가 돌아갔으니 내 소식도 자세히 알리게나

令妹逢君必問吾 령매봉군필문오 그대의 누이가 그대를 만나면 반드시 내 소식을 물을 터.

 

 參考事項- 汾西 (분서)는 박 미 (朴  )를 이름 본관 나주(羅州). 자 중연(仲淵). 호 분서(汾西). 시호 문정(文貞). 1603년(선조 36) 선조의 딸 정안옹주(貞安翁主)와 결혼하여  금양위(錦陽尉)가 되었다. 어릴 때부터 문예에 능했고 이항복(李恒福)에게 배웠으며, 장유(張維)·정홍명(鄭弘溟) 등과 사귀었다. 1638년(인조 16) 동지 겸 성절사(冬至兼聖節使)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금양군(錦陽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글씨에도 능하였는데 많은 유묵(遺墨)이 있으며, 서체는 특히 오흥(吾興)의 체를 따랐다. 청렴하기로 이름이 났었다. 문집 《분서집(汾西集)》이 있고, 글씨는 《참판박이서비(參判朴彛著碑)》 《영흥부사이수준갈(永興府使李壽俊碣)》 등이 있다.

 

 

 

         此翁 차옹   이 늙은이

                                                           이산해(李山海;1539-1609)

 

  花開日與野僧期 화개일여야승기   꽃이 피면 날마다 스님과 약속하고   花落經旬掩竹扉 화락경순엄죽비   꽃이 지니 열흘이 지나도록 대사립 문 닫혀 있네   共說此翁眞可笑 공설차옹진가소   사람들은 모두 이 늙은이 우습다고 말하지만   一年憂樂在花枝 일년우락재화지   한 해의 근심과 즐거움 꽃가지에 달려있다네  

 

이산해(李山海;1539-1609) 

본관 한산(韓山). 자 여수(汝受). 호 아계(鵝溪)·종남수옹(綜南睡翁). 시호 문충(文忠). 진사를 거쳐 1561년(명종 l6) 문과에 급제, 1578년(선조 11) 대사간에 이르러 서인(西人) 윤두수(尹斗壽)·윤근수(尹根壽) 등의 죄를 탄핵하여 파직시켰다. 1590년 영의정에 올라 종계변무(宗系辨誣)의 공으로 광국(光國)공신에 책록되었고 이듬해 정철이 건저문제(建儲問題)를 일으키자 아들 경전(慶全)으로 하여금 정철(鄭澈)을 탄핵하게 하여 유배시켰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양사(兩司)로부터 국정(國政)을 그르치고 왜적(倭敵)을 들어오게 하였다는 죄목으로 탄핵을 받아 파직, 백의(白衣)로 평양에서 다시 탄핵을 받아 강원도에 귀양갔다가 돈령부영사(敦寧府領事)로 복관되고 대제학을 겸임하였다. 1600년 영의정에 재임(再任), 아성부원군(鵝城府院君)에 봉해졌다. 6세 때 글씨를 잘 써서 신동이라는 말을 들었고 서화(書畵)에 능하여 대자(大字)와 산수묵도(山水墨圖)에 뛰어났다.

선조 때 문장 8가(文章八家)라 일컬었다. 조정에서는 동인(東人)에 속하였으나 다시 북인(北人)에 속하였다가 마지막에는 대북(大北)의 영수가 되었다. 저서로 《아계유고(鵝溪遺稿)》가 있고, 글씨에 《조정암광조묘비(趙靜庵光祖墓碑》(용인)가 있다.

 

 

 

        次韻酬任叔英 차운수임숙영

        임숙영의 시를 차운하여

                                                                  이상의(李尙毅;1560-1624)

 

 已將身世人無何 이장신세인무하  이미 세상 사람인 몸을 장차 어찌할 수 없고

 窮巷苔深斷客過 궁항태심단객과  궁벽한 거리 이끼마저 심하여 사람의 발길 끊어졌네.

 落盡小桃春寂寂 낙진소도춘적적  꽃잎 진 복숭아나무 봄이 너무 적적하고

 漢城風雨掩門多 한성풍우엄문다  비바람 몰아친 한양 거리엔 문 닫은 집 많네.

 

 

 

         題路傍去思碑 제로방거사비

         길기의 거사비에 대하여

                                                         이상적 李尙迪 1804 - 1865

 

      去思橫斂刻碑錢 거사횡렴각비전

      編戶流亡孰使然 편호류망숙사연

      片石無言當路立 편석무언당로립

      新官何似舊官賢 신관하사구관현

 

   떠나는 이 사모한다고 돈을 걷어 비석을 새기니

   백성들은 호적 없이 떠도는데 누가 시킨 것인가 ?

   떠난 이 사모한다고 돌비석에 새겨서 말없이 길을 마주하고 서있는데

   새로 부인하는 관리가 어찌 떠난 이와 같을 수 있겠는가 !  

 

 

 

         浮碧樓 부벽루   부벽루에서

                                                                                 이색 李穡

 

 昨過永明寺 작과영명사     엊그제 영명사를 지나가다가

 暫登浮碧樓 잠등부벽루     잠시 부벽루에 올랐다네.

 城空月一片 성공월일편     비어있는 성터에는 조각달이 걸려있고

 石老雲千秋 석로운천추     이끼 낀 주춧돌에 구름은 천년을 떠도네.

 麟馬去不返 인마거불반     기린마는 한번 떠나 돌아오지 않고

 天孫何處遊 천손하처유     천손은 어느 곳에 노니는가.

 長嘯倚風  장소의풍등     길게 읊조리며 바람 부는 난간에 기대서니

 山靑江自流 산청강자류     산은 푸른고 강물은 절로 흐르네.       

 

 參考事項- 평양의 명승지 부벽루에 올라가서 지난날을 회상하며 시인(詩人)은 인생의 무상함을 노래했다.

 

 

 

         蠶婦 잠부   누에치는 아낙네

                                                                                  이색 李穡

 

 城中蠶婦多 성중잠부다     성안에 누에치는 아낙네들 많고

 桑葉何其肥 상엽하기비     뽕잎은 어찌 그리 두터운지

 雖云桑葉少 수운상엽소     뽕잎이 적다고 말들은 많으나

 不見蠶苦飢 불견잠고기     누에치기의 고통과 굶주림은 보지도 않네

 蠶生桑葉足 잠생상엽족     누에가 생길 때에는 뽕잎이 충분했는데

 蠶大桑葉稀 잠대상엽희     커지니 뽕잎도 부족해지고

 流汗走朝夕 유한주조석     아침저녁 땀을 흘려 일을 해도

 非緣身上衣 비연신상의     자신의 옷감은 결코 아니라네         

 

 

 

         漢浦弄月 한포롱월   한강에서 달구경하다.

                                                                                 이색 李穡

 

 日落沙逾白 일락사유백     해가 지면서 물가 모래가 점점 희어지고

 雲移水更淸 운이수갱청     구름이 걷히니 물이 맑게 드러나네.

 高人弄明月 고인롱명월     고인이 밝은 달을 구경하니

 只欠紫鸞笙 지흠자란생     다만 신선의 생황 소리가 들려오는 듯.

 

 

 

         晨興卽事 신흥즉사   새벽에 읊다

                                                                                        이색 李穡

 

湯沸風 鵲   탕비풍로작조첨  국은 풍로에서 끓고 처마 밑에 까치가 우는데

老妻 櫛試梅  노처관즐시매염  늙은 아내 몸단장하고 간을 맞추네.

日高三丈紬衾煖 일고삼장주금난  해는 높이 솟아올랐으나 이불 속은 따스하니

一片乾坤屬黑甛 일편건곤속흑첨  한 조각 세상일은 늦잠에 맡기려네.        

 

 參考事項- 黑甛 (흑첨)은 낮에 자는 잠.

 

 

 

         曉起觀漲 효기관창

         새벽에 일어나 물이 불어난 것을 보고

                                                           이서구 李書九 1754 - 1825

 

 고子宿寒雨 고자숙한우    사공이 찬 비 속에서 밤을 보내는데

 夜聞蓬底語 야문봉저어    밤이 되자 배 안에서 말하는 소리 들리네.

 朝來兩岸樹 조래량안수    양쪽 언덕 나무숲 사이로 아침이 밝아오고

 不見停舟處 불견정주처    배를 정박했던 곳에는 배가 보이지 않네.

 

 

 

        登白雲峯 등백운봉   백운봉에 올라

                                                                이성계 李成桂 1335 - 1408

 

 引手攀蘿上碧峯 인수반라상벽봉   담장이 넌출 잡고서 상봉에 오르니

 一庵高臥白雲中 일암고와백운중   암자하나 구름 속에 높이 누었네.

 若將眼界爲吾土 약장안계위오토   만약 눈에 띄는 땅이 모두 내 것이라면

 楚越江南豈不容 초월강남기불용   강남 땅도 모두 내 것이 되리라.     

 

 參考事項- 이 성계는 조선(朝鮮)을 건국(建國) 하였는데 삼각산 백운봉에 올라 시야에 들어오는 마을과 자연을 보며 호탕한 기상을 노래하였다.

 

 

 

         歸田詠 귀전영   고향에 돌아와 시를 읊음

                                                                         이성(李晟 1251-1325)

 

 藥?淸風欺我老 약체청풍기아노    섬돌 약초에 바람 불어도 나 늙는 줄 모르고

 竹溪明月誘吾情 죽계명월유오정    대나무 시내에 달이 밝아 나를 유혹하네.

 昨宵己決歸田計 작소기결귀전계    어제 저녁 시골로 돌아가려고 계획했으니

 雪盡江南匹馬行 설진강남필마행    눈 그친 강남을 말을 타고 다니리라

 

 

 

         春宮怨 춘궁원   궁녀의 한

                                                          이수광 李 光 1563 - 1628

 

 禁苑春晴晝漏稀 금원춘청주루희

 閒隨女伴鬪芳菲 한수여반투방비

 落花也被東風誤 락화야피동풍오

 飛入宮墻更不歸 비입궁장갱불귀

 

 궁궐의 봄은 맑고 낮은 더디게 지나는데

 짝지은 궁녀들 한가로이 따르며 서로 아름다움 다투네.

 지는 꽃들은 동풍을 잘못 만나서

 궁궐로 날아 들어와 다시는 담장 밖으로 돌아가지 못하네.

 

 

 

         在海鎭營中 재해진영중

                                                      이순신(李舜臣;1545-1598)

 

 水國秋光暮 수국추광모    물가운데 섬에 가을빛이 저무니

 驚寒雁陣高 경한안진고    추위에 놀란 기러기 떼 높이 날아가네.

 憂心轉輾夜 우심전전야    근심스런 마음에 잠 못 이루는 밤에

 殘月照弓刀 잔월조궁도    어느새 새벽달이 활과 칼만 비추네.  

 

 參考事項- 轉輾 (전전) : 잠이 오지 않아 업치락뒤치락 함.

 

 

 

          陣中吟 진중음

                                                          이순신(李舜臣;1545-1598)

 

 天步西門遠 천보서문원     임금의 행차 서쪽으로 멀어지니

 東宮北地危 동궁북지위     왕자는 북쪽 땅에서 위태롭다

 孤臣憂國日 고신우국일     외로운 신하 나라를 걱정하는 날

 壯士樹勳時 장사수훈시     사나이는 공훈을 세워야 할 때이다

 西海魚龍動 서해어용동     바다에 맹세하니 물고기와 용이 감동하고

 盟山草木知 맹산초목지     산에 맹세하니 초목도 알아준다.

 讐夷如盡滅 수이여진멸     원수를 모두 쓸어버릴 수 있다면

 雖死不爲辭 수사불위사     비록 죽을지라도 사양하지 않으리라.   

 

이순신(李舜臣;1545-1598) 

본관 덕수(德水). 자 여해(汝諧). 시호 충무(忠武). 서울 출생.

1576년(선조 9) 식년무과(式年武科)에 병과(丙科)로 급제, 권지훈련원봉사(權知訓練院奉事)로 처음 관직에 나갔으며 이어 함경도의 동구비보권관(董仇非堡權管)에 보직, 이듬해 발포 수군만호(鉢浦水軍萬戶)를 거쳐 1583년(선조 16) 건원보권관(乾原堡權管)·훈련원 참군(訓鍊院參軍)을 지내고 1586년 사복시주부(司僕寺主簿)를 거쳐 조산보 만호(造山堡萬戶) 때는

호인(胡人)의 침입을 막지 못한 데 대해 정죄(定罪)하려 하자 그 원인이 첨병(添兵)을 거절한 데 있다 하여 자기의 정당성을 끝내 주장하다 중형은 면했으나 백의종군(白衣從軍)의 길에 올랐다. 그 뒤 전라도관찰사 이광(李洸)에게 발탁되어 전라도의 조방장(助防將)이 되고, 1589년(선조 22) 선전관 ·정읍 현감(井邑縣監) 등 미관말직(微官末職)만을 지내다가 91년(선조 24) 유성룡(柳成龍)의 천거로 절충장군(折衝將軍)·진도군수 등을 지내고 같은 해 전라좌도 수군절도사(全羅左道水軍節度使)에 승진, 좌수영(左水營:麗水)에 부임하여 군비 확충에 힘썼다. 이듬해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옥포(玉浦)에서 적선 30여 척을 격파하고 이어 사천(泗川)에서 거북선을 처음 사용, 적선 13척을 분쇄한 것을 비롯하여 당포(唐浦)에서 20척, 당항포(唐項浦)에서 100여 척을 각각 격파하여, 자헌대부(資憲大夫)에 승품(陞品)되고 7월 한산도(閑山島)에서 적선 70척을 무찔러 한산대첩(閑山大捷)의 큰 무공을 세웠다. 이어 정헌대부(正憲大夫)에 오르고 다시 가토 요시아키[加珙嘉明]의 수군을 안골포(安骨浦:창원군 웅천면)에서 격파하고 9월 적군의 근거지 부산에 쳐들어가 100여 척을 부수었다. 1593년(선조 26) 다시 부산과 웅천(熊川)의 적 수군을 격파, 남해안 일대의 적 수군을 완전히 일소하고 한산도로 진을 옮겨 본영(本營)으로 삼고 최초의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었다. 이듬해 명나라 수군이 내원(來援)하자 죽도(竹島)에 진을 옮기고, 장문포(長門浦)에서 왜군을 격파, 적군의 후방을 교란하고 서해안으로 진출하려는 적을 막아 왜군의 작전에 큰 타격을 가하였고 전쟁이 소강상태에 접어들자 훈련을 강화하고 군비확충 ·난민구제 ·산업장려 등에 힘썼다. 1597년 원균(元均)의 모함으로 서울에 압송되어 사형을 받게 되었으나 우의정 정탁(鄭琢)의 변호로 도원수 권율(權慄)의 막하에서 두 번째 백의종군을 하였다. 이에 앞서 명 ·일 간의 강화회담이 깨어지자 왜군이 다시 침입하여,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원균이 참패하자 이순신은 삼도수군통제사에 재임명되어, 12척의 함선과 빈약한 병력을 거느리고 명량(鳴梁)에서 133척의 적군과 대결, 31척을 부수었다.

다음해 고금도(古今島)로 진을 옮겨 철수하는 적선 500여 척이 노량(露梁)에 집결하자 명나라 제독 진인(陳璘)의 수군과 연합작전을 펴, 적군을 기습하여 혼전(混戰)중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왜란중 투철한 조국애와 뛰어난 전략으로 민족을 왜적으로부터 방어하고 또한 격퇴함으로써 한국 민족 역사상 가장 추앙받는 인물의 한 사람이 되었으며, 글에도 능하여 《난중일기(亂中日記)》와 시조(時調)·한시(漢詩) 등 여러 편의 작품을 남겼다.

1604년 선무공신(宣武功臣) 1등이 되고 덕풍부원군(德豊府院君)이 추봉되었으며, 좌의정(左議政)이 추증, 13년(광해군 5) 영의정이 더해졌다. 장지(葬地)는 아산(牙山)의 어라산(於羅山)이며, 왕이 친히 지은 비문과 충신문(忠臣門)이 건립되었다. 충무(忠武)의 충렬사(忠烈祠), 여수(麗水)의 충민사(忠愍祠), 아산의 현충사(顯忠祠) 등에 배향되었다. 이 중 현충사는 성역화되어 전시관 등을 건립, 그의 유품 등을 전시하고 있다. 저서에 《이충무공전서(李忠武公全書)》가 있다.

 

 

 

         題僧房 제승방   스님의 방에서

                                                              이숭인(李崇仁;1340-1392)

 

山北山南細雨分 산북산남세우분   북쪽에는 비 오고 남쪽은 개었는데

松花含雨落 紛 송화함우낙빈분   송홧가루 비에 젖어 얼룩져 떨어지네.

道人汲井歸茅舍 도인급정귀모사   도인은 우물 길어 집으로 돌아가고

一帶靑煙染白雲 일대청연염백운  한 줄기 푸른 연기 흰 구름을 물들이네.

 

 參考事項- 紛(빈분) ; 어지러이 여기저기 흩어진 모양  이 시(詩)의 제목은 달리 산거(山居)로 된 책도 있다. 자연과 더불어 산 속에 사는 즐거움을 노래했다.

 

 

 

         憶三峰 억삼봉   삼봉을 생각하며

                                                        이숭인(李崇仁;1340-1392)

 

 不見鄭生久 불견정생구    정생을 본지도 오래 되었는데

 秋風又颯然 추풍우삽연    가을 바람이 더욱 쓸쓸해지네

 新編最堪誦 신편최감송    새로운 시는 외울 만 하고

 狂態更誰憐 광태경수연    그 꼬락서니 누가 다시 동정할까

 天地容吾輩 천지용오배    세상이 우리를 용납하여

 江湖臥數年 강호와수년    강호에 산지 몇 년이 되었네

 相思渺何恨 상사묘하한    서로 보고 싶은 생각 얼마나 한스러운가.

 極目斷鴻邊 극목단홍변    기러기 날아간 곳에 시야가 끊기었네.  

 

 參考事項-삼봉(三峰):정도전(鄭道傳)의 호(號)  極目(극목):시계가 미치는 곳까지.

 

 

 

         新雪 신설   새 눈

                                                       이숭인(李崇仁;1340-1392)

 

 蒼茫歲暮天 창망세모천      아득하고 푸르른 세모의 하늘에

 新雪遍山川 신설편산천      첫 눈이 온 산천을 두루 덮었네.

 鳥失山中木 조실산중목      새는 산중의 나무를 찾아 헤매고

 僧尋石上泉 승심석상천      스님은 돌 위에 샘을 더듬네.

 飢烏啼野外 기오제야외      굶주린 까마귀는 들 밖에서 우는데

 凍柳臥溪邊 동류와계변      얼어붙은 버드나무는 시냇가에 누웠네.

 何處人家在 하처인가재      어느 곳에 인가가 있는지

 遠林生白煙 원임생백연      먼 숲에서 흰 연기가 피어나네.      

 

 參考事項- 蒼茫(창망) : 넓고 멀어서 푸르고 아득한 모양.

 

 

 

         村居 촌거   촌에 삶

                                                   이숭인(李崇仁;1340-1392)

 

 赤葉明村逕 적엽명촌경       오솔길에 단풍잎이 붉게 타고

 淸泉漱石根 청천수석근       돌부리 씻으며 맑은 샘물 솟아나네.

 地偏車馬少 지편거마소       길이 외져서 찾는 이 없고

 山氣自黃昏 산기자황혼       산 기운이 스스로 황혼에 물드네.  

 

 

 

           登樓 등루   누각에 올라

                                                              이숭인(李崇仁;1340-1392)

 

 西風遠客獨登樓 서풍원객독등루  가을 바람에 멀리서 온 객이 누각에 올라

 楓葉蘆花滿眼愁 풍엽로화만안수  단풍과 갈대꽃을 보는 눈에 우수가 가득하네.

 何處人家橫玉笛 하처인가횡옥적  어느 곳 어느 집에서 피리를 부는가.

 一聲吹斷一江秋 일성취단일강추  들려오는 피리소리에 나그네 시름에 겹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