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 詩 ***/詩仙 李白 詩

망여산폭포(望廬山瀑布) - 이백(李白)

by 산산바다 2006. 7. 27.

산과바다

 

 

李白 詩(이백 시) HOME

 

 

            망여산폭포(望廬山瀑布) - 이백(李白)

            여산폭포를 바라보며

 

           日照香爐生紫煙(일조향노생자연) : 해가 향로봉을 비추니 자줏빛 안개가 일어나고

           遙看瀑布快長川(요간폭포쾌장천) : 멀리 폭포를 바라보니 마치 긴 냇물을 걸어 놓은 듯하네.

           飛流直下三千尺(비류직하삼천척) : 날듯이 흘러 수직으로 삼천 척을 떨어지니

           疑是銀河落九天(의시은하낙구천) : 아마도 은하수가 구천에서 떨어지는 듯하구나.

 

 

 

* 여산여산폭포가 유명해진 것은 이태백이 지은 바로 이 시 때문이다. 이태백의 이 시로 인하여 후세의 사람들은 '여산' 하면 '폭포'를 떠올리고 '폭포'하면 '비류직하삼천척'(飛流直下三千尺)을 인용하였다. 시선(詩仙) 이태백(李太白) 즉 이백(李白, 太白, 701-762)은 시선(詩仙)이라 불리는 당나라 때의 시인이다. 일찍부터 시로 이름이 높았던 이태백은 40세가 넘어 당 현종(玄宗)의 부름을 받아 장안(長安)에 가서 한 두해 동안 궁정시인이 된다. 그가 시를 쓸 때 현종은 총애하던 양귀비로 하여금 벼루를 들고 있게 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현종의 총애를 받았지만, 자유분방한 성격은 궁정생활에 맞지 않았고 방약무인한 태도 역시 다른 사람들의 질시를 받았다. 그리하여 이태백은 장안을 떠나 천지 사방을 주유하며 문인들과 친교를 맺고 시를 지었다. 낙양에 가서 당대의 쌍벽을 이루며 시성 (詩聖)이라 불린 두보(杜甫)와 친교를 맺고, 이리 저리 떠돌던 이태백은 양주(揚州) 남경(南京) 등지를 거쳐 강남지역으로 오게 된다. 그러다가 56세가 되는 7566월에 여산에 와서 겨울까지 약 반년가량 머물렀다. 그는 여산에 있으면서 여러 편의 유명한 시를 남겼으니, 특히 오로봉시와 여산폭포시가 유명하다.

 

* 여산 남쪽에는 여섯 개의 수려한 봉우리가 솟아있으니, 이를 일컬어 수봉(秀峰)이라고 한다. 여섯 봉우리는, 쌍검이 하늘을 찌르는 듯한 쌍검봉(雙劍峰), 거북등 같이 신령스런 모습을 한 귀배봉(龜背峰), 마치 학이 목을 빼고 우는 듯한 학명봉(鶴鳴峰), 보살과 같이 엄연한 문수봉(文殊峰), 향로와 같이 구름이 피어오르는 향로봉(香爐峰), 자매가 어깨를 나란히 하는 듯한 자매봉(姉妹峰) 등이다. 이러한 여섯 봉우리의 빼어남으로 인해 예로부터 "여산의 아름다움은 남쪽에 있고, 남쪽의 참 맛은 수봉에 있다"고 하였다. 수봉의 골짜기를 따라 올라가면 유명한 여산폭포가 있다. 그곳에 개선사가 있어서 개선폭포라고 하는데 2개의 장대한 폭포로 되어 있다. 위쪽의 서폭(西瀑), 쌍검봉과 학명봉의 사이에서 물길이 흘러오다가 바위의 좁은 입구에 막혀 장대한 절벽 아래로 떨어져 수백 길이 넘는 물기둥을 형성한다. 아래쪽의 동폭(東瀑), 학명봉과 귀배봉 중간에서 물길이 흘러오다가 역시 수백 길 바위 아래로 떨어지는 모습이 흡사 말꼬리 같다고 하여 마미수(馬尾水)라 한다. 동폭과 서폭은 떨어지는 높이가 매우 길어 멀리서도 2개의 물줄기가 하얀 실줄기 같이 선연히 보이고, 가까이 가면 튀어 오른 물방울이 햇빛에 비춰 영롱한 구슬을 흩뿌린다. 2개의 폭포중 서폭이 더욱 크고 유명하여, 일반적으로 여산폭포라 하면 서폭을 가리키는데, 이태백이 여산폭포시는 서폭을 읊은 것이다.

 

* 여산은 강서성(江西省) 구강시의 남쪽에 위치해 있다, 려산은 동쪽으로 파양호에 잇달아 있고 북쪽으로는 장강을 끼였다. 면적은 250이다. 산에 봉우리가 99저가 있으며 주봉 대한양복은 해발1,474m이다. 서주시기에 광씨 칠형제가 산에 은거해 있으면서 도를 닦았고 또 그들이 풀막을 짓고 살았다하여 광산 혹은 광려라고도 한다. 려산은 훌륭한 피서지이다. 봉우리가 험하고 기이하여 폭포가 쏟아지고 동굴이 아늑하며 수목이 아름답다. 시내물이 흐르는가 하면 온천이 솟아오르고 절간의 종소리가 메아리친다. 려산에는 명인들의 서예작품들과 석각들이 수두룩하다. 구강시 남쪽에 위치, 동쪽에 파양호, 북쪽에 장강을 낀 여산은 지뢰식 단과산을 주체로 한 산악풍경구이다. 주봉은 대한 양봉, 해발고 1.474m이며 오로봉은 해발고 1,358m로 기상이 웅장하고 변화가 무상하다. 구름 속의 산간도시인 고령진은 녹음이 우거지어 누대가 숲속에 묻혀 있다 여산의 풍경은 웅장, 기묘, 험준, 수려의 특징을 지니고 있어 예로부터 광여폭포예만천하(匡廬瀑布譽滿天下)라고 칭송되었다. 오로봉 동쪽에 위치한 삼첩천은 물이 3개 단계로 철벽봉 앞에 떨어지는데 그 낙차가 120m에 달한다. 산 위에는 선인동, 삼보수, 용수암, 함파구 등 경물이 있고 산 밑에는 진대의 동림사, 송대의 관음교와 백록동서원 등 명승고적이 있다.

 

* 여산은 중국 북부의 유명한 피서승지이며 겨울에는 기묘한 무송과 얼음 낭떠러지를 구경할 수 있다. 정강산은 중국의 혁명성지로서 북경~구룡철도가 전선 관통된 후 정강산을 찾는 해내외 인사들과 관광객들이 끊이지 않는다. 여산, 정강산, 삼청산, 귀계 용호산은 국가급 명승지이며 호구 석종산, 길안 청원사, 남창 등왕각, 청운보 등지의 명승고적도 해내외에 이름을 날리고 있다. '망여산폭포'는 중국의 절경(絶景) 중 하나인 여산(廬山) 폭포의 장관을 묘사한 7언 절구(七言絶句) 형식의 작품으로, 시선이라 불리던 이백의 감각적이면서도 낙천적이고 호방한 기상을 엿볼 수 있다. 자연에 동화(同化)되는 물아일체(物我一體)의 경지를 보임으로써 탈속(脫俗)의 낭만적 동경의 시정(詩情)을 담고 있다.

 

* 이태백의 망여산폭포는 여산의 향로봉(香爐峯)에 있는 폭포의 장엄한 위용(威容)을 노래한 것으로, 이 시의 전반부에서는 시각적 이미지를 최대한 이용하여 멀리서 보는 폭포가 흡사 강을 매달아 놓은 것 같다고 표현하고 있다. 여기서 폭포의 배경이 되고 있는 것은 햇빛에 비쳐서 안개가 어려 있는 여산의 봉우리이다. 이처럼 산과 폭포가 어우러진 풍경의 묘사는 그대로 한 폭의 산수화를 보는 느낌을 자아내게 한다. 한편 시의 후반부에서는 폭포의 높이가 삼천 자나 되기 때문에 그 모양이 하늘에서 은하수가 쏟아지는 것 같다고 표현함으로써 시인의 호탕한 기개를 마음껏 표방하고 있다. 특히 삼천 자나 되는 높이에서 곧바로 떨어지는 폭포의 물줄기는 시인의 강직한 마음을 상징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이 시는 칠언칠구의 압축된 형식 속에서도 감각적인 표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폭포를 속세가 아닌 선경으로 묘사함으로써 이백의 웅장한 기상과 풍부한 상상력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 인간 세상이 아닌 신선의 세계를 지향하고 있다는 점에서 노장 사상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작품으로 평가된다.

 

* 이태백의 이 시는 여산에서 수만리 떨어진 우리나라에서도 널리 알려져 여산폭포는 폭포의 대명사같이 여겨졌다. 조선시대까지 우리나라 사람으로 여산폭포를 가 본 경우는 거의 없었겠지만, 이태백의 시를 통해 여산폭포가 마치 우리 산천에 있는 듯이 친근하게 여겼던 것이다. 그래서 조선시대의 화가들은 여산폭포를 그림으로 그리고 시를 읊었으며, 민간에서 즐기는 노래에서도 자주 인용되었다. 조선후기의 민중예술인 강령탈춤의 대사에 다음과 같은 표현이 있다.

 

죽장(竹杖) 짚고 망혜(芒鞋) 신어 천리강산 들어가니

폭포도 장히 좋다 하니 여산(廬山)이 여기로다

비류직하삼천척(飛流直下三千尺)을 옛말로 들었더니

의시은하낙구천(疑是銀河落九天)은 허언(虛言)이 아니로다

 

이와 같이 여산과 여산폭포는 마치 우리 산천에 있는 듯이 우리에게도 매우 친근한 이름이었다. 조선후기의 명화가인 겸재 정선도 여산폭포의 그림을 남기고 있다.

 

* 여산폭포를 읊은 또 다른 시에서 이태백은 여산에 머물러 영원히 인간세계를 떠나고 싶다고 했다.

西登香爐峰(서등향로봉) : 서쪽으로 향로봉에 올라

南見瀑布水(남견폭포수) : 남쪽으로 폭포수를 바라보니

掛流三千丈(괘류삼천장) : 걸려있는 물길은 삼 천장이오.

噴壑數十里(분학수십리) : 뻗어간 골짜기는 수 십리라네.

而我樂名山(이아락명산) : 나는 명산을 좋아하여

對之心益閑(대지심익한) : 산을 대하면 마음이 더욱 한가해져서

仍諧宿所好(잉해숙소호) : 그대로 좋은 곳에 머물러

永遠辭人間(영원사인간) : 영원히 인간세계를 떠나고 싶네.

 

* 그러나 세상을 초탈한 세계에 살고 싶다고 했던 이태백은 반 년 만에 여산을 떠나 현실 세계로 돌아가서 정치권력의 틈바구니에서 생을 마치게 된다. 이태백이 여산에 오기 1년 전인 755년에 안록산(安綠山)의 난이 일어난다. 안록산이 하북 일대에서 반란을 일으켜 낙양을 점거함에, () 현종은 수도인 장안을 버리고 사천으로 몸을 피한다. 당현종은 사천의 성도(成都)에 도착한 후, 태자인 이형(李亨)에게 북방지역인 황하 유역의 반란을 진압토록 하고, 왕자인 영왕(永王) 이린(李璘)은 남방지역으로 파견하여 양자강 유역을 장악하도록 하였다. 황명을 받은 이린은 사천에서 양자강을 따라 내려오며 인재를 불러 모으는데, 여산에 있던 이태백도 부름을 받는다. 그런데 북방을 진압하러 떠난 태자 이형은 감숙성(甘肅省)에서 황제(肅宗)로 즉위하고, 현종은 실권을 잃고 태상황(太上皇)으로 물러나 앉는다. 황제가 된 이형 즉 숙종은 아우인 이린이 자기에게 위협이 될까 두려워 하여 남방지역으로 대군을 파견하여 이린을 토벌하였다.이태백은 여산을 떠나 이린에게 갔으나, 이린은 숙종이 파견한 군사에게 피살되고 이린을 따랐던 이태백도 체포되어 심양(尋陽)의 감옥에 갖힌다. 이린의 죄목이 국가 반역죄였으므로 이태백도 사형을 당할 뻔 했으나, 재상을 지냈던 처가의 도움으로 야랑(夜郞, 현재의 貴州 遵義부근)으로 유배되었다. 결국 이태백은 다시 여산에 오지 못하고 762년에 병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태백 뿐아니라 그의 부인도 여산에 와서 여()도사가 되었다. 이태백의 부인인 이등공(李騰空)은 당현종때의 재상 이림보(李林甫)의 딸이었는데, 채시랑(蔡侍郞)의 딸인 채심진(蔡尋眞)과 함께 여산에 와서 도를 닦았다고 한다. 두 사람은 육수정이 편찬한 도교 경전을 연구하며, 단약(丹藥)과 부적으로 많은 사람들의 병을 고쳤다. 그러한 사실이 알려지자 당 덕종년간에 황후가 토지와 비단을 하사했고, 그들이 세상을 떠난 후에는 채심진이 있던 곳에는 심진관(尋眞觀)을 짓고 이등공이 있던 곳에는 소덕관(昭德觀)을 지었다고 한다.

 

* 오로봉(五老峰)은 여산의 동쪽 파양호를 임한 곳에, 1300여 미터에 이르는 다섯 개의 봉우리가 치솟아 있는 모습이 다섯 노인 같다고 하여 붙은 이름이다. 오로봉의 제1봉은 기묘한 바위들이 첩첩히 쌓여있고, 2봉은 바위가 풍화되어 천연 동굴을 이루었으며, 3봉은 가장 험하며, 4봉은 가장 높고, 5봉에는 산 정상에 정자가 있다고 한다. 그리하여 오로봉에 오르면 낚싯대처럼 우뚝 솟은 바위, 병풍처럼 둘러친 암벽, 짐승 같이 웅크린 산, 새 같이 날아갈 듯한 봉우리 등등 여러 모습이 눈에 들어온다. 이러한 절묘한 암봉은 운무와 어울려 더욱 장관을 이룬다. 아침저녁으로 해가 뜨고 질 때는 만 갈래 빛이 운무와 휘황찬란하게 어우러져서 금색의 부용(芙蓉-연꽃)이 파란 하늘에 떠있는 것 같기도 하고, 때로는 구름이 치솟아 생긴 폭포운(瀑布雲)이 온갖 주위를 감싸서 사방의 산천이 전혀 보이지 않아 마치 망망한 대해중에 홀로 선 느낌이 들기도 한다.

 

망오로봉(望五老峰) : 오로봉을 바라보며

廬山東南五老峰(여산동남오로봉) : 여산 동남쪽의 오로봉이여

靑天削出金芙蓉(청천삭출금부용) : 푸른 하늘에 금색 연꽃이 불쑥 솟아 있구나.

九江秀色可攬結(구강수색가람결) : 구강의 빼어난 경치를 모두 모아 놓았으니

吾將此地巢雲松(오장차지소운송) : 내 장차 이곳에서 구름과 소나무를 벗 삼아 살리라.

 

이 시구 중 청천삭출금부용(靑天削出金芙蓉)은 여산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절묘한 표현으로 많이 회자되었다. 청나라 때 한 시인은 오로봉에 오른 후 "이곳에 오지 않으면 이런 표현을 할 수 없고, 이곳에 오지 않으면 이 표현의 맛을 알 수 없다"고 칭탄했다고 한다. 오로봉은 이태백이 가장 좋아하여 은거하고 싶어 하던 곳이었다. 그래서 후인들은 오로봉 아래의 골짜기를 이태백의 호를 따서 청련곡(靑蓮谷)이라 했고, 태백초당(草堂)을 지어 이태백의 뜻을 기렸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