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태풍이란 Typhoon ? 태풍이란 - 기상청 날씨누리 (weather.go.kr)
태양으로부터 오는 열에너지는 지구의 날씨를 변화시키는 주된 원인으로 작용한다. 지구는 구형으로 되어 있어 저위도와 고위도 사이에는 열에너지 불균형이 나타난다.
태양의 고도각이 높아 많은 에너지를 축적한 적도부근의 바다에서는 대류구름들이 만들어지게 된다. 때때로 이러한 대류구름들이 모여 거대한 저기압 시스템으로 발달하게 되는데, 이를 태풍이라고 부른다.
태풍은 바다로부터 증발한 수증기를 공급받아 강도를 유지하면서 고위도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태풍은 지구 남북 간의 에너지 불균형을 해소하는 역할을 한다.
태풍 이름 태풍이란 - 기상청 날씨누리 (weather.go.kr)
2024.5.10. 현재
태풍은 일주일 이상 지속될 수 있어 같은 지역에 여러 개의 태풍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이때 발표되는 태풍 예보가 혼동되지 않도록 태풍 이름을 붙이게 되었다.
태풍에 처음으로 이름을 붙인 것은 호주의 예보관들이었다. 그 당시 호주 예보관들은 자신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을 붙였는데, 예를 들어 싫어하는 정치가의 이름이 앤더슨이라면 “현재 앤더슨이 태평양 해상에서 헤매고 있는 중입니다” 또는 “앤더슨이 엄청난 재난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라고 태풍 예보를 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 공군과 해군에서 공식적으로 태풍 이름을 붙이기 시작했는데, 이때 예보관들은 자신의 아내나 애인의 이름을 사용했다. 이러한 전통에 따라 1978년까지는 태풍 이름이 여성이었다가 이후부터는 남자와 여자 이름을 번갈아 사용하였다.
북서태평양에서의 태풍 이름은 1999년까지 미국 합동태풍경보센터에서 정한 이름을 사용했다. 그러나 2000년부터는 아시아-태평양지역 국민들의 태풍에 대한 관심과 경계를 높이기 위해서 각 태풍위원회 회원국이 제출한 이름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태풍 이름은 각 국가별로 10개씩 제출한 총 140개가 각 조 28개씩 5개조로 구성되고, 1조부터 5조까지 순차적으로 사용한다. 140개를 모두 사용하고 나면 1번부터 다시 사용한다. 태풍이 보통 연간 약 25개 정도 발생하므로 전체의 이름이 다 사용되려면 약 4∼5년이 소요된다. 태풍위원회 회원국에는 북한도 포함되어 있어 한글로 된 태풍 이름은 20개이다.
국가명 | 1조 | 2조 | 3조 | 4조 | 5조 |
캄보디아 | 담레이 | 콩레이 | 나크리 | 크로반 | 트라세 |
DAMREY | KONG-REY | NAKRI | KROVANH | TRASES | |
중국 | 하이쿠이 | 인싱 | 펑선 | 두쥐안 | 무란 |
HAIKUI | YINXING | FENGSHEN | DUJUAN | MULAN | |
북한 | 기러기 | 도라지 | 갈매기 | 수리개 | 메아리 |
KIROGI | TORAJI | KALMAEGI | SURIGAE | MEARI | |
홍콩 | 윈욍 | 마니 | 풍웡 | 초이완 | 칭마 |
YUN-YEUNG | MAN-YI | FUNG-WONG | CHOI-WAN | TSING-MA | |
일본 | 고이누 | 우사기 | 고토 | 고구마 | 도카게 |
KOINU | USAGI | KOTO | KOGUMA | TOKAGE | |
라오스 | 볼라벤 | 파북 | 노카엔 | 참피 | 옹망 |
BOLAVEN | PABUK | NOKAEN | CHAMPI | ONG-MANG | |
마카오 | 산바 | 우딥 | 페냐 | 인파 | 무이파 |
SANBA | WUTIP | PENHA | IN-FA | MUIFA | |
말레이시아 | 즐라왓 | 스팟 | 누리 | 츰파카 | 므르복 |
JELAWAT | SEPAT | NURI | CEMPAKA | MERBOK | |
미크로네시아 | 에위니아 | 문 | 실라코 | 네파탁 | 난마돌 |
EWINIAR | MUN | SINLAKU | NEPARTAK | NANMADOL | |
필리핀 | 말릭시 | 다나스 | 하구핏 | 루핏 | 탈라스 |
MALIKSI | DANAS | HAGUPIT | LUPIT | TALAS | |
한국 | 개미 | 나리 | 장미 | 미리내 | 호두 |
GAEMI | NARI | JANGMI | MIRINAE | HODU | |
태국 | 프라피룬 | 위파 | 메칼라 | 니다 | 꿀랍 |
PRAPIROON | WIPHA | MEKKHALA | NIDA | KULAP | |
미국 | 마리아 | 프란시스코 | 히고스 | 오마이스 | 로키 |
MARIA | FRANCISCO | HIGOS | OMAIS | ROKE | |
베트남 | 손띤 | 꼬마이 | 바비 | 룩빈 | 선까 |
SON-TINH | CO-MAY | BAVI | LUC-BINH | SONCA | |
캄보디아 | 암필 | 크로사 | 마이삭 | 찬투 | 네삿 |
AMPIL | KROSA | MAYSAK | CHANTHU | NESAT | |
중국 | 우쿵 | 바이루 | 하이선 | 뎬무 | 하이탕 |
WUKONG | BAILU | HAISHEN | DIANMU | HAITANG | |
북한 | 종다리 | 버들 | 노을 | 민들레 | 잠자리 |
JONGDARI | PODUL | NOUL | MINDULLE | JAMJARI | |
홍콩 | 산산 | 링링 | 돌핀 | 라이언록 | 바냔 |
SHANSHAN | LINGLING | DOLPHIN | LIONROCK | BANYAN | |
일본 | 야기 | 가지키 | 구지라 | 도케이 | 야마네코 |
YAGI | KAJIKI | KUJIRA | TOKEI | YAMANEKO | |
라오스 | 리피 | 농파 | 찬홈 | 남테운 | 파카르 |
LEEPI | NONGFA | CHAN-HOM | NAMTHEUN | PAKHAR | |
마카오 | 버빙카 | 페이파 | 페이러우 | 말로 | 상우 |
BEBINCA | PEIPAH | PEILOU | MALOU | SANVU | |
말레이시아 | 풀라산 | 타파 | 낭카 | 냐토 | 마와르 |
PULASAN | TAPAH | NANGKA | NYATOH | MAWAR | |
미크로네시아 | 솔릭 | 미탁 | 사우델 | 사르불 | 구촐 |
SOULIK | MITAG | SAUDEL | SARBUL | GUCHOL | |
필리핀 | 시마론 | 라가사 | 나라 | 아무야오 | 탈림 |
CIMARON | RAGASA | NARRA | AMUYAO | TALIM | |
한국 | 제비 | 너구리 | 개나리 | 고사리 | 독수리 |
JEBI | NEOGURI | GAENARI | GOSARI | DOKSURI | |
태국 | 끄라톤 | 부알로이 | 앗사니 | 차바 | 카눈 |
KRATHON | BUALOI | ATSANI | CHABA | KHANUN | |
미국 | 바리자트 | 마트모 | 아타우 | 에어리 | 란 |
BARIJAT | MATMO | ETAU | AERE | LAN | |
베트남 | 짜미 | 할롱 | 방랑 | 송다 | 사올라 |
TRAMI | HALONG | BANG-LANG | SONGDA | SAOLA |
열대저기압과 태풍
태풍은 열대저기압의 한 종류이다. 세계기상기구(WMO)는 열대저기압 중에서 중심 부근의 최대풍속이 33㎧ 이상인 것을 태풍(TY), 25~32㎧인 것을 강한 열대폭풍(STS), 17~24㎧인 것을 열대폭풍(TS), 그리고 17㎧ 미만인 것을 열대저압부(TD)로 구분한다. 한편, 우리나라와 일본에서는 최대풍속이 17㎧이상인 열대저기압 모두를 태풍이라고 부른다.
중심부근 최대풍속 | 세계기상기구(WMO) | 한국/일본 | |
17㎧ 미만(34kt미만) | 열대저압부(TD : Tropical Depression) | TD | 열대저압부 |
17㎧-24㎧(34-47kt) | 열대폭풍(TS : Tropical Storm) | TS | 태풍 |
25㎧-32㎧(48-63kt) | 강한 열대폭풍(STS : Severe Tropical Storm) | STS | |
33㎧ 이상(64kt이상) | 태풍(TY : Typhoon) | TY |
주) 1㎧ ≒ 1.94kt
이는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이름으로 불리는데, 북서태평양에서는 태풍(Typhoon), 북중미에서는 허리케인(Hurricane), 인도양과 남반구에서는 사이클론(Cyclone)이라고 부른다.
태풍은 전향력 효과가 미미한 남북위 5˚이내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는 태풍은 7~10월 사이에 발생한다.
태풍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은 다음과 같다.
태풍이 주로 발생하는 지역
① 북대서양 서부, 서인도제도 부근
② 북태평양 동부, 멕시코 앞바다
③ 북태평양의 동경(東經) 180˚의 서쪽에서 남중국해
④ 인도양 남부(마다가스카르에서 동경 90˚까지 및 오스트레일리아 북서부)
⑤ 벵골만과 아라비아해
①, ②, ③지역은 7~10월에 많이 발생하며, ④, ⑤지역은 4~6월과 9~12월에 많이 발생한다.
태풍의 어원
옛 문헌에 나타난 우리나라 바람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고구려 모본왕(摹本王) 2년 3월(서기 49년 음력 3월)에 폭풍으로 인해 나무가 뽑혔다는 기록이 전해온다. 그 당시 바람의 세기를 현재 기준에 따라 짐작해 보면, 평균풍속 30㎧(시속 110㎞) 이상이다. 이 정도면 중형급 태풍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신라에서는 경주에 큰 바람이 불고 금성동문이 저절로 무너졌다고 전해 내려온다.
고려시대에는 정종(靖宗) 6년(서기 950년) 음력 9월 1일 폭우가 내리고 질풍(疾風)이 불어 길거리에 죽은 사람이 있었으며 광화문이 무너졌다는 기록이 있다.
조선시대에는 명종(明宗) 17년(서기 1526년) 경상 감사의 서장(書狀)에 의하면, “경상도에서 음력 7월 15~16일 폭풍과 호우가 밤낮으로 계속 몰아쳐 기와가 날아가고 나무가 뽑혔으며, 시냇물이 범람하여 가옥이 표류하였고 인명과 가축도 많이 상하였으며 온갖 농작물이 침해되어 아예 추수할 가망조차 없습니다. 그 중에서도 진주 지방은 민가가 전부 침수되었고 밀양에는 물에 떠내려가 죽은 사람이 매우 많으니 이처럼 혹심한 수재는 근고에 없었던 것입니다.” 라는 내용과 또 “신이 지난 8월 8일에 김해(金海)로부터 안골포(安骨浦)에 당도하였는데 이때에 비바람이 몰아쳐 밤새도록 멈추지 아니하였고 지붕의 기와가 모두 날아갔습니다.” 라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태풍’이라는 단어는 1904년부터 1954년까지의 기상관측 자료가 정리된 「기상연보(氣像年報) 50년」에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태풍의 ‘태(颱)'라는 글자가 중국에서 가장 처음 사용된 예는 1634년에 편집된 《복건통지(福建通志)》56권 <토풍지(土風志)>에 있다. 중국에서는 옛날에 태풍과 같이 바람이 강하고 회전하는 풍계(風系)를 ‘구풍(具風)'이라고 했으며, 이 ‘구(具)'는 ‘사방의 바람을 빙빙 돌리면서 불어온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Typhoon" 이라는 영어 단어는 어디서 기원했을까? 그리스 신화에 티폰(Typhon)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다. 대지의 여신인 가이아(Gaia)와 거인 족 타르타루스(Tartarus) 사이에서 태어난 티폰(Typhon)은 백 마리의 뱀의 머리와 강력한 손과 발을 가진 용이었으나, 아주 사악하고 파괴적이어서 제우스(Zeus)신의 공격을 받아 불길을 뿜어내는 능력은 빼앗기고 폭풍우 정도만을 일으킬 수 있게 되었다. ‘티폰(Typhon)'을 파괴적인 폭풍우와 연관시킴으로써 'taifung'을 끌어들여 'typhoon'이라는 영어 표현을 만들어 냈다. 영어의 ‘typhoon'이란 용어는 1588년에 영국에서 사용한 예가 있으며, 프랑스에서는 1504년 ‘typhon'이라 하였다.
태풍의 강도분류
구분 | 최대풍속 |
- | 17m/s(61km/h, 34kt) 이상 ~ 25m/s(90km/h, 48kt) 미만 |
중(normal) | 25m/s(90km/h, 48kt) 이상 ~ 33m/s(119km/h, 64kt) 미만 |
강(strong) | 33m/s(119km/h, 64kt) 이상 ~ 44m/s(158km/h, 85kt) 미만 |
매우강(very strong) | 44m/s(158km/h, 85kt) 이상 ~ 54m/s(194km/h, 105kt) 미만 |
초강력(super strong) | 54m/s(194km/h, 105kt) 이상 |
태풍의 크기분류
태풍의 크기는 강풍반경을 기준으로 구분하였으나,
태풍정보서비스 개선에 따라 2020.5.15. 이후 크기 분류 대신 강풍반경과 폭풍반경 정보로 제공한다.
강풍반경 :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1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반경(km)
폭풍반경 : 태풍 중심으로부터 풍속 25m/s 이상의 바람이 부는 반경(km)
(참고)
단계 | 강풍반경(풍속 15m/s 이상의 반경) |
소형(Small) | 300km 미만 |
중형(Medium) | 300km 이상~500km 미만 |
대형(Large) | 500km 이상~800km 미만 |
초대형(Extra-large) | 800km 이상 |
폐기된 태풍 이름의 목록
다음은 폐기된 태풍 이름의 목록이다. 2000년 일본 기상청이 북서 태평양에서 발생한 태풍에 이름을 붙이기 시작한 이래 모두 33개의 태풍 이름이 폐기되었다.
태풍 이름을 없애는 것은 세계기상기구에 의해 연말에 열리는 회의에서 결정되는데, 보통 그 해에 막대한 피해를 입혔던 태풍의 이름을 더 이상 쓰지 않는다.
하지만 큰 피해를 주지 않았거나, 사용되지 않은 태풍의 이름이더라도 일부 변경되기도 한다. 실례로 2002년에 태국에서 제출한 "하누만"(HANUMAN)은 미처 태풍 이름으로 사용되기 전에 인도 기상청이 "하누만"이 힌두교의 신의 이름과 같다는 근거로 반대하면서 "모라꼿"(MORAKOT)으로 변경되었다. 같은 해에 미국에서 제출한 "코도"(KODO)도 사용되기 전에 "에어리"(AERE)로 변경되었다. 2004년에는 홍콩에서 제출한 "야냔"(YANYAN)과 "팅팅"(TINGTING)은 홍콩 현지에서 진행된 태풍 이름 공모를 통하여 선정된 "돌핀"(DOLPHIN)과 "라이언록"(LIONROCK)으로 각각 변경되었다. 그 외로 9개의 태풍 이름의 로마자 표기법이 변경되었다. 2014년 2월, 말레이시아가 소나무(SONAMU)라는 이름이 쓰나미와 발음이 비슷하여 혼란을 일으킬 수 있다는 이유로 변경을 요청했다. 2015년 2월, 소나무를 대신하여 종다리(JONGDARI)가 태풍 이름으로 제출되었다.
이름 | 대체된 이름 | 연도 | 영향을 준 지역 |
와메이(VAMEI) | 페이파(PEIPAH) | 2001년 | 말레이시아 |
차타안(CHATAAN) | 마트모(MATMO) | 2002년 | 괌, 추크 제도, 일본 |
루사(RUSA) | 누리(NURI) | 2002년 | 대한민국 |
봉선화(PONGSONA) | 노을(NOUL) | 2002년 | 괌 |
임부도(IMBUDO) | 몰라베(MOLAVE) | 2003년 | 필리핀, 중국 본토 |
매미(MAEMI) | 무지개(MUJIGAE) | 2003년 | 대한민국, 일본 |
수달(SUDAL) | 미리내(MIRINAE) | 2004년 | 야프섬 |
라나님(RANANIM) | 파나피(FANAPI) | 2004년 | 중국 본토 |
팅팅(TINGTING) | 라이언록(LIONROCK) | 2004년 | 괌, 북마리아나 제도 |
맛사(MATSA) | 파카르(PAKHAR) | 2005년 | 중국 본토 |
나비(NABI) | 독수리(DOKSURI) | 2005년 | 일본 |
룽왕(LONGWANG) | 하이쿠이(HAIKUI) | 2005년 | 대만, 중국 본토 |
짠쯔(CHANCHU) | 산바(SANBA) | 2006년 | 필리핀, 베트남, 중국 본토, 대만, 대한민국, 일본 |
빌리스(BILIS) | 말릭시(MALIKSI) | 2006년 | 필리핀, 대만, 중국 본토 |
사오마이(SAOMAI) | 손띤(SON) | 2006년 | 중국 본토 |
상산(XANGSANE) | 리피(LEEPI) | 2006년 | 필리핀, 베트남 |
두리안(DURIAN) | 망쿳(MANKHUT) | 2006년 | 필리핀, 베트남 |
모라꼿(MORAKOT) | 앗사니(ATSANI) | 2009년 | 필리핀, 대만, 중국 본토 |
켓사나(KETSANA) | 참피(CHAMPI) | 2009년 | 필리핀, 베트남 |
파마(PARMA) | 인파(IN-FA) | 2009년 | 필리핀 |
파나피(FANAFI) | 라이(RAI) | 2010년 | 대만, 중국 본토 |
와시(WASHI) | 하토(HATO) | 2011년 | 필리핀 |
보파(BOPHA) | 암필(AMPIL) | 2012년 | 필리핀 |
비센티(VICENTE) | 란(LAN) | 2012년 | 홍콩, 중국 본토 |
우토르(UTOR) | 바리자트(BARIJAT) | 2013년 | 필리핀, 중국 본토 |
피토(FITOW) | 문(MUN) | 2013년 | 중국 본토 |
하이옌(HAIYAN) | 바이루(BAILU) | 2013년 | 필리핀, 중국 본토 |
소나무(SONAMU) | 종다리(JONGDARI) | 2013년 | 필리핀 |
람마순(RAMASUN) | 부알로이(BUALOI) | 2014년 | 필리핀, 홍콩 |
사우델로르(SOUDELOR) | 사우델(SAUDEL) | 2015년 | 필리핀, 대만, 중국 본토 |
무지개(MUJIGAE) | 수리개(SURIGAE) | 2015년 | 필리핀, 홍콩, 중국 본토 |
곳푸(KOPPU) | 고구마(KOGUMA) | 2015년 | 필리핀, 대만 |
멜로르(MELOR) | 츰파카(CEMPAKA) | 2015년 | 필리핀 |
므란티(MERANTI) | 냐토(NYATOH) | 2016년 | 필리핀, 대만, 중국 본토, 대한민국 (열대저압부 약화된 상태로 영향) |
사리카(SARIKA) | 트라세(TRASES) | 2016년 | 필리핀, 중국 본토, 홍콩 |
하이마(HAIMA) | 무란(MULAN) | 2016년 | 필리핀, 중국 본토, 일본 (온대저기압 변질 후 영향) |
녹텐(NOCK-TEN) | 힌남노(HINNAMNOR) | 2016년 | 필리핀 |
하토(HATO) | 야마네코(YAMANEKO) | 2017년 | 중국 대륙, 홍콩, 베트남 |
카이탁(KAI-TAK) | 윈윙(YUN-YEUNG) | 2017년 | 필리핀, 태국 |
덴빈(TEMBIN) | 고이누(KOINU) | 2017년 | 필리핀, 말레이시아, 베트남 |
룸비아(RUMBIA) | 폴라산 | 2018년 | 중국 대륙 [4] |
망쿳(MANGKHUT) | 끄라톤 | 2018년 | 필리핀, 중국 대륙, 홍콩, 베트남 |
레끼마(LEKIMA) | 미정.영구제명(추정) | 2019년 | 대만, 중국 대륙,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
파사이(FAXAI) | 미정.영구제명(추정) | 2019년 | 일본 |
하기비스(HAGIBIS) | 라가사 | 2019년 | 일본, 대한민국 |
봉퐁(VONGFONG) | 페냐 | 2020년 | 필리핀 |
린파(LINFA) | 미정.영구제명(추정) | 2020년 | 베트남 |
몰라베(MOLAVE) | 미정.영구제명(추정) | 2020년 | 필리핀, 베트남 |
고니(GONI) | 미정.개나리 | 2020년 | 필리핀, 베트남 |
밤꼬(VAMCO) | 미정.방랑방랑 | 2020년 | 필리핀, 베트남 |
꼰선(Conson) | 미정.영구제명(추정) | 2021년 | 필리핀, 중국 하이난성, 베트남 |
곤파스(Konpas) | 미정.영구제명(추정) | 2021년 | 필리핀, 대만, 일본 류큐 열도, 중국 남부, 베트남, 라오스 |
라이(RAI) | 미정.영구제명(추정) | 2021년 | 팔라우, 필리핀, 베트남, 중국 하이난성 |
말라카스(MALAKAS) | 미정.영구제명(추정) | 2022년 | 미크로네시아 연방, 일본 오가사와라 제도, 간토 지방, 러시아 캄차카반도, 알류샨 열도, 북마리아나 제도, 팔라우 동부 |
메기(Megi) | 미정.영구제명(추정) | 2022년 | 필리핀 |
망온(MA-ON) | 미정.영구제명(추정) | 2022년 | 필리핀, 중국 대륙, 베트남, 라오스 |
힌남노(Hinnamnor) | 옹망 | 2022년 | 일본, 필리핀, 대만, 대한민국,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러시아 |
노루(NORU) | 호두 | 2022년 | 필리핀, 중국(하이난성), 베트남, 태국, 말레이시아 |
날개(NALGAE) | 잠자리 | 2022년 | 미크로네시아, 팔라우, 대만, 베트남, 중국 본토(하이난성), 홍콩, 마카오, 일본 사키지마제도, 대한민국 |
독수리(DOKSURI) | 2023년 | 필리핀, 대만, 일본, 중국 (동부) | |
도라(DORA) | 2023년 | ||
사올라(SAOLA) | 2023년 | 필리핀(루손섬), 대만, 중국 (남부) | |
하이쿠이(Haikui) | 2023년 | 미국 (북마리아나 제도), 일본(사키지마제도), 대만, 중국(푸젠성, 광둥성) | |
출처: 일본 기상청 - 베스트 트랙 세계 기상 기구 - List of Names for Tropical Cyclones Adopted by the Typhoon Committee for the Western North Pacific Ocean and the South China Sea 대한민국 기상청 - 국가태풍센터 |
* 태풍 이름 Typhoon 2024.5.10. 현재
* 태풍 이름 Typhoon 2018년 개정된 태풍의 이름 2019. 3. 20. 현재
* 태풍의 이름과 종류 (2000.1.1 시행- 2007년 개정)
산과바다 이계도
'과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 절반이 가려진다. (0) | 2020.06.22 |
---|---|
태풍 이름 Typhoon (0) | 2019.09.07 |
나로호 3차 발사 성공하기를 기원하며 (0) | 2012.11.28 |
시간(時間, time)은 비(非)공간적인 연속체(連續體) (0) | 2010.12.06 |
태풍의 이름과 종류 (0) | 2010.04.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