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여행이 좋아**/국내 여행

광양 매화마을에 가보다.

by 산산바다 2016. 3. 26.

산과바다

  

광양매화마을에 가보다.

2016. 3. 24.

매년 이맘때면 가보고 싶었었는데......

산과바다는 이창근 벗님과 부부 동반하여 광양매화마을에 가보다.

봄마음 꽃길 따르며 梅花珍風景을 보며 梅花香이 들리는 듯하였다.

장소 : 광양시 다압면 섬진강가 매화마을

 

창근벗님 예쁜모델 덕분에 돋보입니다 그려.

 

매화는 귀하게 여겨지는 꽃이다.

매화를 귀하게 여기는 것은 함부로 번성하지 않고, 나무의 늙은 모습이 아름답고, 꽃봉오리가 벌어지지 않고 오므라져 있는 아름다운 자태 때문이라고 한다.

春寒속에서 홀로 핀 梅花孤高한 자태는 선비의 곧은 지조와 절개로 즐겨 비유된다는데......

위 예쁜 모델과 함께한 창근 벗님을 두고 표현 한것과도 같아보인다. 

 

광양매화축제장에 주차 할 수 없어 멀리에 주차하고 30여분 섬진강가를 걸어서 축제장 매화마를로 향했답니다.

주차장은 넓은데 만차로 주차 할 수 없어 멀리에 주차하고 그 덕분에 섬진강가를 둘러보며 30여분 걸어서  매화마을로 걸어왔답니다.

 

 

陶山月夜詠梅 - 退溪(李滉 : 1501~1570)

달밤에 매화를 읊다

晩發梅兄更識眞(만발매형갱식진) : 더디 핀 매화의 참뜻을 다시 살피니

故應知我怯寒辰(고응지아겁한진) : 내가 추위를 겁내는 줄 알아서 이네

可憐此夜宜蘇病(가련차야의소병) : 애석하다 이 밤에 병이 낫는다면

能作終宵對月人(능작종소대월인) : 밤새도록 달과 더불어 노닐 텐데

 

故應(고응) ; 응당 ~이기 때문이다

蘇病(소병) ; 병에서 깨어나다,

蘇生하다 *() ; , 야간, 작다

  

벗님 무엇을 담고 있는가요?

 

 

雪中梅(설중매) - 惲壽平(운수평 : 중국 청나라 때의 화가)

 

雪殘何處覓春光(설잔하처멱춘광) : 아직도 눈이 남아 있는데 어디서 봄을 찾으랴.

漸見南枝放草堂(점견남지방초당) : 초당 남쪽 매화가지에 꽃이 막 피려하네.

未許春風到桃李(미허춘풍도도리) : 봄바람이 복사꽃 살구꽃을 피우기 전에

先敎鐵幹試寒香(선교철간시한향) : 단단한 가지에 상큼한 향기를 먼저 알리네.

 

 

설중매(설중매) - 方岳(방악 : 중국 宋代 시인)

 

有梅無雪不精神(유매무설불정신) : 매화 있고 눈 없으니 산뜻하지 못하고

有雪無詩俗了人(유설무시속료인) : 눈 있고 시 없으니 사람 속되게 하네.

日暮詩成天又雪(일모시성천우설) : 해질녘 시를 짓고 하늘에선 또 눈이 내리니

與梅幷作十分春(여매병작십분춘) : 매화와 어울려 격을 갖춘 봄이로세.

 

 

悲春梅(비춘매) - 李裕元(이유원 : 1814~1888)

봄날에 핀 꽃을 슬퍼하다.

 

人愛雪中梅(인애설중매) : 사람들은 눈 속에 피는 설중매만 사랑한다.

不愛春日開(불애춘일개) : 봄날에 피는 다른 꽃들에게는 관심조차 없구나!

花則知其時(화칙지기시) : 꽃은 그 때를 알아 제 때에 피는 것을,

人則異其栽(인칙이기재) : 사람들은 특별하게 피는 꽃만 가꾸려 하는구나!

早開頭百花(조개두백화) : 설중매가 아무리 다른 꽃 보다 일찍 핀다고 하지만

春氣已自回(춘기이자회) : 봄날 따뜻한 기운은 때가 되면 돌아오게 되는 것을

人以非時香(인이비시향) : 사람들은 제 철 아닌 향기만을 좋다고 하고,

徒事羯鼓催(도사갈고최) : 부질없이 빨리 꽃 피기를 재촉하는구나!

 

우아하면서도 매서운 추위를 뚫고 피어나는 매화의 의연한 기상은 남자들의 마음을 끌기에 충분하다. 부드러움이 강한 것을 이기듯이 매화는 아름다운 여인처럼 사내의 마음을 사로잡고 만다하여, 매화는 예부터 시인과 묵객들의 사랑을 듬뿍 받아오고 있다. 중국 진나라 때는 문학이 번창하면 매화가 만발하고, 문학이 쇠퇴하면 매화를 구경조차 어렵다는 기록이 있다. 그만큼 매화는 동양에 깊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매화의 매력은 그 아름다운 자태 못지않게 향기에 있다. 매화는 깃털이 떨어지는 소리를 들을 만큼 마음을 가다듬어야 비로소 향기의 진수를 느낄 수 있다고 한다. 그래서 어떤 이는 매화의 향기를 코로 맡지 않고 '귀로 듣는 향기'라고 말한다. 이는 마치 묵객들이 묵향을 느끼는 것과 같다. 귀로 들어야만 그 향기의 진수를 뼛속까지 느낄 수 있다는 것이다. 

홍쌍리는 마을 이름이 아니고 청매실농원을 운영하는 홍쌍리여사의 이름 이라는군요.

 

창근 벗님이 담는모습이 아름다워 담았군요.

 

산과바다의 애인도 모델급 수준이 될까? 히어리보다는 예뻐보이는군요.

 

히어리

 

 

벗님과 두런거며......사진을 담으며......온통 매화로 뒤덮인 매화마을 정자가 있는 곳까지 즐거움에 거닐며 아쉬움을 남기고

섬진강을 바라보며 매화마을을 내려 욌답니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