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書經/第二篇 夏書(하서)

書經(서경) 第三 五子之歌(오자지가) 1~6

by 산산바다 2016. 3. 4.

산과바다

書經(서경) HOME

 

 

第二篇 夏書(하서)

第三 五子之歌(오자지가) 1~6

 

五子之歌(오자지가) 1

太康尸位(태강시위) : 태강은 하는 일 없이 자리만을 차지하고

以逸豫滅厥德(이일예멸궐덕) : 놀고 게으름만 피우며 덕을 망쳤다

黎民咸貳(려민함이) : 백성들은 모두 두 마음을 갖게 되었으나

乃盤遊無度(내반유무도) : 그는 절도 없이 돌아다니며 놀기만 하였다

畋于有洛之表(전우유낙지표) : 낙수의 남쪽 기슭으로 사냥을 가서

十旬弗反(십순불반) : 백날이 지나도 돌아오지 않았다

有窮后羿(유궁후예) : 궁나라의 제후 예가

因民弗忍(인민불인) : 백성들이 견디지 못함을 이유로

距于河(거우하) : 그를 황하에서 막았다

厥弟五人(궐제오인) : 그의 동생 다섯 사람은

御其母以從(어기모이종) : 어머님을 모시고 따라갔다

徯于洛之汭(혜우낙지예) : 낙수의 북쪽 물굽이에서 그를 기다렸다

五子咸怨(오자함원) : 다섯 형제들은 모두 원망을 하고

述大禹之戒(술대우지계) : 우임금의 훈계를 서술하여

以作歌(이작가) : 노래를 지어 불렀다

 

 

五子之歌(오자지가) 2

其一曰皇祖有訓(기일왈황조유훈) : 그 중의 첫째가 이르기를, “할아버님께서 훈제가 계셨나니

民可近(민가근) : 백성들은 가까이할지언정

不可下(부가하) : 얕잡아 보면 안 되는 것

民惟邦本(민유방본) : 백성이야말로 나라의 근본

本固邦寧(본고방녕) : 근본이 굳어야 나라가 편하리

予視天下(여시천하) : 내 천하를 둘러보니

愚夫愚婦(우부우부) : 어리석은 남자 어리석은 여자도

一能勝予(일능승여) : 모두 나보다 훌륭하게 보였으니

一人三失(일인삼실) : 한 사람이 여러 번 실수할 수 있는 것

怨豈在明(원개재명) : 원망이 어지 분명해지기를 기다리랴

不見是圖(불현시도) : 나타나지 않았을 때 조치해야 하느니

予臨兆民(여림조민) : 내 만백성을 대함에

凜乎若朽索之馭六馬(름호야후삭지어륙마) : 썩은 고삐로 여섯 마리 말을 몰 듯 두려움을 느끼니

爲人上者(위인상자) : 남의 위에 앉은 사람이

奈何不敬(나하부경) : 어찌 공경하지 않을 수 있을소냐?”

 

 

五子之歌(오자지가) 3

其二曰訓有之(기이왈훈유지) : 그 중의 둘째가 이르기를, “훈계에 있으시니

內作色荒(내작색황) : 안으로 여색에 빠지거나

外作禽荒(외작금황) : 밖으로 사냥질에 빠지거나

甘酒嗜音(감주기음) : 술을 좋아하고 음악을 즐기거나

峻宇彫牆(준우조장) : 높은 집과 조각한 담을 두르거나

有一於此(유일어차) : 어느한 가지만여기에 있다 해도

未或不亡(미혹부망) : 망하지 않을 자는 하나도 없으리라.”

 

 

五子之歌(오자지가) 4

其三曰惟彼陶唐(기삼왈유피도당) : 그 중의 셋째가 이르기를, “저 요임금으로부터

有此冀方(유차기방) : 이 기 나라를 다스렸으나

今失厥道(금실궐도) : 지금 그의 도를 잃고

亂其紀綱(난기기강) : 나라의 기강이 어지러워져

乃底滅亡(내저멸망) : 멸망하기에 이른 것이다.”

 

 

五子之歌(오자지가) 5

其四曰明明我祖(기사왈명명아조) : 그 중의 넷째가 이르기를, “밝고 밝은 우리 할아버지께서는

萬邦之君(만방지군) : 모든 나라의 임금으로

有典有則(유전유칙) : 법이 있고 규율이 었어

貽厥子孫(이궐자손) : 그 자손에게 물려 주셨도다

關石和鈞(관석화균) : 석으로 재는 물건을 통용케 하고 고르게 하여

王府則有(왕부칙유) : 임금의 창고는 그득하였는데

荒墜厥緖(황추궐서) : 그 분의 유업을 함부로 떨어뜨리어

覆宗絶祀(복종절사) : 종족을 멸망시키고 후사를 끊어놓았도다.”

 

 

五子之歌(오자지가) 6

其五曰嗚呼曷歸(기오왈오호갈귀) : 그 중의 다섯째가 이르기를, “, 어디로 돌아가는가

予懷之悲(여회지비) : 내 마음의 슬픔이여

萬姓仇予(만성구여) : 만백성이 우리를 원수로 아니

予將疇依(여장주의) : 우리는 장차 누구를 의지하랴

鬱陶乎予心(울도호여심) : 답답하고 섧도다, 이내 마음이여

顔厚有忸怩(안후유뉴니) : 얼굴은 뜨거워지고 부끄러운 마음이 생긴다

弗愼厥德(불신궐덕) : 그분의 덕을 삼가지 못하였으니

雖悔可追(수회가추) : 후회한들 쫓아 갈 수 있으리오.”

 

 

 

 

산과바다 이계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