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第二篇 夏書(하서)
第一 禹貢(우공) 1~13
禹貢(우공) 1
禹敷土(우부토) : 우는 땅을 다스리시고
隨山刊木(수산간목) : 산에 이르면 나무를 베어 젖히고
奠高山大川(전고산대천) : 높은 산과 큰 강을 안정시켰다.
冀州(기주) : 기주
旣載壺口(기재호구) : 호구산에서 시작하여
治梁及岐(치량급기) : 양산과 기산가지 다스렸고
旣修太原(기수태원) : 태원 땅을 닦고는
至于岳陽(지우악양) : 악산 남쪽 기슭에 이르렀으며
覃懷底績(담회저적) : 담회 땅의 일을 바치고는
至于衡漳(지우형장) : 장수가 가로지르는 곳에까지 이르렀다.
厥土惟白壤(궐토유백양) : 그곳 흙은 희고도 부드러웠고
厥賦惟上上錯(궐부유상상착) : 부세는 일등에다 이등이 섞이었으며
厥田(궐전) : 밭은
惟中中(유중중) : 오등 정도였다.
恒衛旣從(항위기종) : 항수와 위수가 잘 다스려지자
大陸旣作(대륙기작) : 대륙 호숫가는 농사지을 수 있게 되었다.
島夷皮服(도이피복) : 동북쪽 오랑캐들은 갖옷을 바쳐왔다.
夾右碣石(협우갈석) : 그들은 갈석산을 오른쪽으로 끼고
入于河(입우하) : 황하로 들어왔다.
禹貢(우공) 2
濟河惟兗州(제하유연주) : 제수와 황하 사이가 연주이다.
九河旣道(구하기도) : 아홉 갈래의 황하물을 잘 인도하고
雷夏旣澤(뇌하기택) : 뇌하를 호수로 만든 뒤
灉沮會同(옹저회동) : 옹수와 저수를 그곳으로 모았고
桑土旣蠶(상토기잠) : 뽕나무가 자라는 땅에는 누에를 치게 하니
是降丘宅土(시강구댁토) : 언덕으로부터 내려와 평지에 살게 되었다.
厥土黑墳(궐토흑분) : 그곳 흙은 검고 걸어서
厥草惟繇(궐초유요) : 풀은 우거지고
厥木惟條(궐목유조) : 나무는 길게 자랐다.
厥田惟中下(궐전유중하) : 그곳 밭은 육 등 정도였고
厥賦貞(궐부정) : 부세는 구 등이었다.
作十有三載(작십유삼재) : 십삼 년 동안을 다스린 뒤에야
乃同(내동) : 부세가 딴 주와 같아졌다.
厥貢漆絲(궐공칠사) : 그곳의 공물은 칠과 명주실이었고
厥篚織文(궐비직문) : 그곳의 바구니는 무늬를 넣어 짠 비단으로 채워져 있었다.
浮于濟漯(부우제탑) : 그들은 제수와 탑수에 배를 띄워
達于河(달우하) : 황하에 이르렀다.
禹貢(우공) 3
海岱(해대) : 바다와 태산 사이가
惟靑州(유청주) : 청주이다
嵎夷旣略(우이기략) : 우리 지방을 다스리고 나서
濰淄其道(유치기도) : 유수와 치수물길을 인도하였다.
厥土白墳(궐토백분) : 그곳 흙은 희고 걸어서
海濱廣斥(해빈광척) : 바닷가에는 넓은 개펄이 있었다.
厥田惟上下(궐전유상하) : 그곳의 밭은 삼등이었고
厥賦中上(궐부중상) : 부세는 사 등 정도였다.
厥貢鹽絺(궐공염치) : 공물은 소금과 고운 칡베였는데
海物惟錯(해물유착) : 해물이 섞여 있었다.
岱畎絲枲鉛松怪石(대견사시연송괴석) : 태산 골짜기에서는 명주실·모시·납·소나무·괴상하게 생긴 돌이 났다.
萊夷作牧(래이작목) : 내산의 오랑캐들에게는 가축을 치게 하니
厥篚檿絲(궐비염사) : 그들의 공물 바구니에는 산누에고치실이 담기어 왔다.
浮于汶(부우문) : 그들은 문수에 배를 띄워
達于濟(달우제) : 제수에 이르렀다.
禹貢(우공) 4
海岱及淮(해대급회) : 바다와 태산과 회수 사이가
惟徐州(유서주) : 서주이다.
淮沂其乂(회기기예) : 회수와 기수를 다스리니
蒙羽其藝(몽우기예) : 몽산과 우산 지방에도 농사를 지을 수 있게 되었으며
大野旣瀦(대야기저) : 대야호의 물을 잘 막아 놓으니
東原底平(동원저평) : 동원 땅이 평평해졌다.
厥土赤埴墳(궐토적식분) : 그곳 흙은 붉고 차지고 걸었고
草木漸包(초목점포) : 풀과 나무는 무성하게 자랐다.
厥田惟上中(궐전유상중) : 밭은 이 등 정도였고
厥賦中中(궐부중중) : 부세는 오 등이었다.
厥貢惟土五色(궐공유토오색) : 공물은 다섯 가지 빛깔의 흙이었는데
羽畎夏翟(우견하적) : 우산의 골짜기에서는 다섯 빛깔의 꿩 털
嶧陽孤桐(역양고동) : 역산의 남쪽 기슭에서는 외로이 자란 오동나무
泗濱浮磬(사빈부경) : 사수가에서는 흙 속에 떠 있는 경석이 났다.
淮夷(회이) : 회수 근처의 오랑캐들은
蠙珠曁魚(빈주기어) : 진주와 물고기를 바쳤고
厥篚衣纖縞(궐비의섬호) : 그들의 공물 바구니에는 검은 비단 흰 색과 검은 색을 섞어 짠 비단 흰 비단이 들어 있었다.
浮于淮泗(부우회사) : 그들은 회수와 사수에서 배를 띄워
達于河(달우하) : 황하에 이르렀다.
禹貢(우공) 5
淮海(회해) : 회수와 바다 사이가
惟揚州(유양주) : 양주이다.
彭蠡旣瀦(팽려기저) : 팽려호 물을 잘 막아 놓으니
陽鳥攸居(양조유거) : 철새들이 그곳에 살게 되었다.
三江旣入(삼강기입) : 세 갈래의 강물을 바다로 인도하니
震澤底定(진택저정) : 진택 못물이 일정하여져
篠簜旣敷(소탕기부) : 크고 작은 대나무들이 퍼졌다.
厥草惟夭(궐초유요) : 풀은 싱싱하고 길게 자랐고
厥木惟喬(궐목유교) : 나무는 높다랗게 자랐고
厥土惟塗泥(궐토유도니) : 그곳 흙은 진흙이 많았다.
厥田惟下下(궐전유하하) : 밭은 구등 정도였고
厥賦下上(궐부하상) : 부세는 칠등에다
上錯(상착) : 욕 등이 섞여있었다.
厥貢惟金三品(궐공유금삼품) : 공물은 세 가지 쇠붙이와
瑤琨篠簜(요곤소탕) : 구슬과 옥돌과 크고 작은 대나무와
齒革羽毛(치혁우모) : 상아·짐승가죽·새깃·소꼬리털과
惟木(유목) : 나무였다.
島夷卉服(도이훼복) : 섬에 사는 오랑캐들은 풀로 만든 옷을 바쳤다.
厥篚織貝(궐비직패) : 그들의 공물 바구니에는 조개 무늬가 있는 비단이 담기어 있었고
厥包橘柚(궐포귤유) : 그들의 보따리에는 귤과 유자를 싸서
錫貢(석공) : 공물로 바쳤다.
沿于江海(연우강해) : 그들은 강해로 따라
達于淮泗(달우회사) : 다시 회수와 사수로 올라왔다.
禹貢(우공) 6
荊及衡陽(형급형양) : 형산과 형산 남쪽 기슭 사이가
惟荊州(유형주) : 형주이다.
江漢(강한) : 강수와 한수를
朝宗于海(조종우해) : 모아 바다로 흘러가게 하니
九江孔殷(구강공은) : 아홉 가닥의 강수가 크게 바로 잡히었고
沱潛旣道(타잠기도) : 타수와 잠수를 잘 인도하니
雲土(운토) : 운택의 땅이 보이게 되었고
夢作乂(몽작예) : 몽택의 물이 다스려졌다.
厥土惟塗泥(궐토유도니) : 그 곳의 흙은 진흙이 많았다.
厥田惟下中(궐전유하중) : 밭은 팔등 정도요
賦上下(부상하) : 부세는 삼등 정도였다.
厥貢羽毛齒革(궐공우모치혁) : 공물은 새깃·소꼬리 털·상아·가죽과
惟金三品(유금삼품) : 세 가지 쇠붙이 및
杶榦栝柏(춘간괄백) : 참나무·산뽕나무·향나무·잣나무와
礪砥砮丹(려지노단) : 거친 숫돌 고운 숫돌·달족 돌·단사였다.
惟箘簵楛(유균로고) : 조릿대와 화살대 및 호나무는
三邦(삼방) : 세 나라에서
底貢厥名(저공궐명) : 공물로 바치어 이름이 났다.
包匭菁茅(포궤청모) : 공물 보따리에는 궤짝에 넣은 가시 달린 띠풀이 있었고
厥篚玄纁璣組(궐비현훈기조) : 그들의 바구니에는 검은 비단과 붉은 비단과 둥글지 않은 구슬과 구슬 꿰는 끈이 담기어 있었고
九江納錫大龜(구강납석대구) : 아홉 가닥의 강수에서는 큰 거북을 바쳤다.
浮于江沱潛漢(부우강타잠한) : 그들은 강수와 타수와 잠수와 한수에 배를 띄워
逾于洛(유우낙) : 낙수를 거쳐
至于南河(지우남하) : 남쪽 황하에 이르렀다.
禹貢(우공) 7
荊河惟豫州(형하유예주) : 형산과 황하 사이가 예주였다.
伊洛瀍澗(이낙전간) : 이수와 낙수와 전수와 간수를
旣入于河(기입우하) : 황하로 들여보내니
滎波旣豬(형파기저) : 형파 못물이 잘 막히었고
導菏澤(도하택) : 가택 못물을 끌어
被孟豬(피맹저) : 맹저 못에 이르게 하였다.
厥土惟壤(궐토유양) : 그 곳 흙은 부드러웠으나
下土墳壚(하토분로) : 밑흙은 걸파면서 검고 굳었다
厥田惟中上(궐전유중상) : 밭은 사등 정도였고
厥賦錯上中(궐부착상중) : 부세는 이등에다 일등이 좀 섞이어 있었다.
厥貢漆枲絺紵(궐공칠시치저) : 공물은 칠·모시·칡베·모시 옷감이었고
厥篚纖纊(궐비섬광) : 그곳의 공물 바구니에는 가는 면사가 들어 있었고
錫貢磬錯(석공경착) : 명에 따라 경을 가는 숫돌을 바치기도 하였다.
浮于洛(부우낙) : 그들은 낙수에 배 띄워
達于河(달우하) : 황하에 이르렀다.
禹貢(우공) 8
華陽黑水(화양흑수) : 화산 남쪽 기슭으로부터 흑수 사이가
惟梁州(유량주) : 양주이다.
岷嶓旣藝(민파기예) : 민산과 파산 근처를 농사지을 수 있게 하고
沱潛旣道(타잠기도) : 타수와 잠수를 잘 인도하였고
蔡蒙旅平(채몽려평) : 채봉산도 잘 다스렸으며
和夷底績(화이저적) : 화수지방 오랑캐들도 말을 잘 들어 일하게 되었다.
厥土靑黎(궐토청려) : 그곳의 흙은 검푸르렀으며
厥田惟下上(궐전유하상) : 밭은 칠등 정도였고
厥賦下中三錯(궐부하중삼착) : 부세는 팔등에다 칠등과 구등이 섞이어 있었다.
厥貢(궐공) : 공물은
璆鐵(구철) : 황금·철·
銀鏤(은루) : 은·강철·
砮磬(노경) : 살촉들·경구 등이 섞이어 있었다.
熊羆(웅비) : 곰·말곰·
狐狸(호리) : 여우·너구리와
織皮(직피) : 짐승털 가죽으로 짠 융단이었다.
西傾(서경) : 서경산의 것은
因桓是來(인환시내) : 환수를 거쳐 왔고
浮于潛(부우잠) : 그들은 잠수에 배를 띄워
逾于沔(유우면) : 면수를 지나
入于渭(입우위) : 위수로 들어와서는
亂于河(난우하) : 황하를 건너왔다.
禹貢(우공) 9
黑水西河(흑수서하) : 흑수와 서하 사이가
惟雍州(유옹주) : 옹주이다.
弱水旣西(약수기서) : 약수를 서쪽으로 끌어내고
涇屬渭汭(경속위예) : 경수를 위수 북쪽 물급이로 끌어들였고
漆沮旣從(칠저기종) : 칠수와 저수를 다스리고
灃水攸同(풍수유동) : 풍수도 함께 위수로 합쳤다.
荊岐旣旅(형기기려) : 형산과 기산을 다스리고
終南惇物(종남돈물) : 종남산과 돈물산을 거쳐
至于鳥鼠(지우조서) : 조서산에까지 이르렀으며
原隰底績(원습저적) : 들과 진펄에서도 일을 잘 하여
至于豬野(지우저야) : 저야호에까지 미치었으며
三危旣宅(삼위기댁) : 삼위산 지방도 사람들이 살 수 있게 되니
三苗丕叙(삼묘비서) : 삼묘족 들이 크게 다스려졌다.
厥土惟黃壤(궐토유황양) : 그곳 흙은 누렇고 부드러웠으며
厥田惟上上(궐전유상상) : 밭은 일등 정도였고
厥賦中下(궐부중하) : 부세는 육등이었다.
厥貢(궐공) : 공물은
惟球琳琅玕(유구림랑간) : 경 만드는 구슬과 구슬 및 옥돌이었다.
浮于積石(부우적석) : 그들은 적석산 기슭에서 배를 띄워
至于龍門西河(지우룡문서하) : 용문산 서하에 이르러
會于渭汭(회우위예) : 다시 위수 북쪽 물굽이로 모였다.
織皮(직피) : 짐승 털가죽으로 짠 융단은
崑崙析支渠搜(곤륜석지거수) : 곤륜과 석지와 거수 지방에서 났으며
西戎卽叙(서융즉서) : 이 서쪽 오랑캐 나라들도 질서가 잡혔던 것이다.
導岍及岐(도견급기) : 견산가 기산으로부터 시작하여
至于荊山(지우형산) : 형산에 이르렀고
逾于河(유우하) : 황하를 건너
壺口雷首(호구뇌수) : 호구산과 뇌수산을 거쳐
至于太岳(지우태악) : 태악에 이르렀으며
底柱析城(저주석성) : 저주산과 석성산을 거쳐
至于王屋(지우왕옥) : 왕옥산에 이르렀으며
太行恒山(태행항산) : 태행산과 항산을 거쳐
至于碣石(지우갈석) : 갈석산에 이르러
入于海(입우해) : 바다에 다다랐다,
禹貢(우공) 10
西傾朱圉鳥鼠(서경주어조서) : 서경산·주어산·조서산을 거쳐
至于太華(지우태화) : 태화산에 이르렀으며
熊耳外方桐栢(웅이외방동백) : 웅이산·외방산·동백산을 거쳐
至于陪尾(지우배미) : 백미산에 이르렀다.
導嶓冢(도파총) : 파총산으로 부터 시작하여
至于荊山(지우형산) : 형산에 이르렀다.
內方(내방) : 내방산을 거쳐
至于大別(지우대별) : 대별산에 이르렀고
岷山之陽(민산지양) : 민산 남쪽 기슭을 거쳐
至于衡山(지우형산) : 형산에 이르렀으며
過九江(과구강) : 강수의 아홉 가닥을 지나
至于敷淺原(지우부천원) : 부천원산에까지 다다랐다.
導弱水(도약수) : 약수를 인도하되
至于合黎(지우합려) : 합려에 이르러
餘波入于流沙(여파입우류사) : 남은 물을 유사에 들어간다.
導黑水(도흑수) : 흑수를 인도하되
至于三危(지우삼위) : 삼위에 이르러
入于南海(입우남해) : 남녁 바다로 들어간다.
導河(도하) : 하를 인도하되
積石(적석) : 적석으로
至于龍門(지우룡문) : 용문에 이르며
南至于華陰(남지우화음) : 남으로 화산 북녘에 이르며
東至于底柱(동지우저주) : 동으로 저주에 이르며
又東至于孟津(우동지우맹진) : 또 동으로 맹 나루에 이르며
東過洛汭(동과낙예) : 동으로 낙물 속을 지나
至于大伾(지우대비) : 대비에 이르며
北過洚水(배과홍수) : 북으로 강수를 지나
至于大陸(지우대륙) : 대륙에 이르며
又北播爲九河(우배파위구하) : 또 북으로 나누어 아홉 강이 되어
同爲逆河(동위역하) : 한가지로 거스르는 물이 되어
入于海(입우해) : 바다로 들어간다.
禹貢(우공) 11
嶓冢導漾(파총도양) : 파총산으로부터 양수를 인도하여
東流爲漢(동류위한) : 동쪽으로 흘러 한수를 이루고
又東爲滄浪之水(우동위창낭지수) : 다시 동쪽으로 흘러 창랑지수를 이루었으며
過三澨(과삼서) : 삼서수를 지나서
至于大別(지우대별) : 대별산에 이르러
南入于江(남입우강) : 남쪽으로 강수로 들어갔고
東匯澤(동회택) : 동쪽으로는 물이 괴어
爲彭蠡(위팽려) : 팽려호를 이루었고
東爲北江(동위배강) : 동쪽엔 북강이 있어
入于海(입우해) : 바다로 들어갔다.
岷山導江(민산도강) : 민산에서 강수를 인도하여
東別爲沱(동별위타) : 동쪽으로는 따로 타수를 이루었고
又東至于澧(우동지우례) : 또 동쪽으로 나아가서는 예수에 이르렀으며
過九江(과구강) : 아홉 가닥의 강이 있는 곳을 지나
至于東陵(지우동능) : 동릉에 이르렀으며
東迆北會(동이배회) : 동쪽으로 비껴 흘러 북쪽으로 물이 괸
爲匯(위회) : 팽려호로 합치었고
東爲中江(동위중강) : 동쪽에 중강이 있어
入于海(입우해) : 바다로 흘러들어갔다.
導沇水(도연수) : 연수를 인도하여
東流爲濟(동류위제) : 동쪽으로 흘러 제수가 되어
入于河(입우하) : 황하로 들어갔고
溢爲滎(일위형) : 물이 넘쳐 형파호가 되었으며
東出于陶丘北(동출우도구배) : 동쪽으로 도구 북쪽으로 나와
又東至于菏(우동지우하) : 다시 동쪽으로 우하에 이르렀으며
又東北(우동배) : 또 동북쪽으로 흘러
會于汶(회우문) : 문수와 합치었고
又北東入于海(우배동입우해) : 다시 북쪽으로 가다 동쪽으로 꺾여 흘러 바다로 들어갔다.
導淮自桐栢(도회자동백) : 동백산으로부터 회수를 인도하여
東會于泗沂(동회우사기) : 동쪽으로 사수·기수와 합치어
東入于海(동입우해) : 동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가게 하였다.
導渭自鳥鼠同穴(도위자조서동혈) : 조서동혈산으로부터 위수를 인도하여
東會于灃(동회우풍) : 동쪽으로 흘러 풍수와 합쳤으며
又東會于涇(우동회우경) : 또 동쪽으로 흘러 경수와 합치었고
又東過漆沮(우동과칠저) : 다시 동쪽으로 칠수와 저수를 지나
入于河(입우하) : 황하로 들어갔다.
導洛自熊耳(도낙자웅이) : 웅이산으로터 낙수를 인도하여
東北會于澗瀍(동배회우간전) : 동북쪽으로 흘러 간수·전수와 합치게 하였으며
又東會于伊(우동회우이) : 또 동쪽으로 나가 이수와 합치었고
又東北入于河(우동배입우하) : 다시 동북쪽으로 들러 황하로 들어갔다.
禹貢(우공) 12
九州攸同(구주유동) : 아홉 주가 다 같이 질서 잡히고
四隩旣宅(사오기댁) : 사방의 구비 구석까지도 사람이 살게 되었다.
九山刊旅(구산간려) : 모든 산의 나무를 베어 길을 내고
九川滌源(구천척원) : 모든 냇물은 근원부터 잘 흐르도록 터놓고
九澤旣陂(구택기피) : 모든 호수물을 방죽으로 잘 막아 놓았다.
四海會同(사해회동) : 온 세상이 임금님께 굴복하게 되고
六府孔修(륙부공수) : 여섯 가지 물자들이 크게 다스려져
庶土交正(서토교정) : 모든 고장이 다 같이 바로잡히었다.
底愼財賦(저신재부) : 재물과 부세를 신중히 다루어
咸則三壤(함칙삼양) : 모두 세 가지 등급의 땅에 따라
成賦中邦(성부중방) : 중국의 부세를 정하였다.
錫土姓(석토성) : 땅을 백성들에게 내려 주고
祗台德先(지태덕선) : 공경히 덕을 먼저 하니
不距朕行(부거짐항) : 나의 하는 일을 아무도 거역하지 않게 되었다고 말씀하시기에 이르렀다.
禹貢(우공) 13
五百里甸服(오백리전복) : 서울로부터 사방 오백리 땅이 전복이었다.
百里納總(백리납총) : 백리 안은 부세로 곡식을 베어 묶은 채 바치게 하였다.
二百里納銍(이백리납질) : 둘째 백리 안은 이삭을 따서 바치게 하였다.
三百里納秸服(삼백리납갈복) : 셋째 백리 안은 집과 수염만을 딴 곡식을 바치게 하였다.
四百里粟(사백리속) : 네재 백리 안은 찧지 않은 곡식을 바치게 하였다.
五百里米(오백리미) : 다섯째 백리 안은 찧은 곡식을 바치게 하였다.
五百里侯服(오백리후복) : 또 그 밖의 사방 오백리 땅이 후복이다.
百里采(백리채) : 첫 백리 안 땅은 경재부들의 땅이었다.
二百里男邦(이백리남방) : 두 번째 백리는 남작들의 나라였다.
三百里諸侯(삼백리제후) : 나머지 삼백리 안 땅은 제후들의 나라였다.
五百里綏服(오백리수복) : 또 그 밖의 오백리가 수복이었다.
三百里揆文敎(삼백리규문교) : 첫 삼백리 안은 교육으로 교화시킬 원칙으로 삼았다.
二百里奮武衛(이백리분무위) : 나머지 이백 리 땅은 무력을 떨치어 나라를 보위하였다.
五百里要服(오백리요복) : 또 그밖의 오백리가 요복이었다.
三百里夷(삼백리이) : 첫 삼백리 안 땅은 오랑캐들이 살았고
二百里蔡(이백리채) : 나머지 이백리는 채이었다.
五百里荒服(오백리황복) : 오백리는 황복이고
三百里蠻(삼백리만) : 삼백리는 만이요
二百里流(이백리류) : 이백리는 류이다.
東漸于海(동점우해) : 동쪽으로는 바다에 다다랐고
西被于流沙(서피우류사) : 서쪽으로는 유사에 미쳤으며
朔南曁(삭남기) : 북쪽으로부터
聲敎訖于四海(성교흘우사해) : 남쪽까지 명성과 교화가 온 세상에 퍼졌다.
禹錫玄圭(우석현규) : 우는 검은 구슬로 만든 홀을 바치고
告厥成功(고궐성공) : 그의 일을 모두 이루었음을 아뢰었다.
산과바다 이계도
'書經 > 第二篇 夏書(하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書經(서경) 第四 胤征(윤정) 1~4 (0) | 2016.03.04 |
---|---|
書經(서경) 第三 五子之歌(오자지가) 1~6 (0) | 2016.03.04 |
書經(서경) 第二 甘誓(감서) (0) | 2016.03.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