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바다
현미경의 구조와 명칭
현미경 사용법
1. 목적
현미경은 육안으로는 보기 어려운 미생물이나 기타 미소한 물질을 관찰하고자 할 때 사용되므로 현미경의 구조와 기능을 잘 이해하고 사용법을 숙지하여야 한다.
2. 관련 이론
* 접안렌즈 : 대물렌즈에 의해서 십자선 위의 생긴 상을 확대하여 보기 위한 장치
* 조동나사 : 경통이나 재물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면서 전체적으로 상을 찾고 대강을 초점을 맞출 때 사용한다.
* 경통 : 현미경이나 망원경에서 접안렌즈와 대물렌즈를 연결하는 통
* 미동나사 : 조동나사를 통해 대강의 초점을 맞춘 후 정확한 초점으로 맞춘다.
* 재물대 : 관찰물을 올려놓을 수 있는 수평판
* 조리개 : 반사경을 통해 들어오는 광선의 다발을 조절하여 깨끗한 상을 보게 하는 장치
* 대물렌즈 : 물체의 상을 맺기 위해 사용되는 렌즈
* 반사경 : 빛을 반사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거울
- 경통이동식 현미경과 재물대이동식 현미경의 비교
* 경통이동식현미경 : 프레파라트를 좌우로 움직이면 상은 반대로 움직이고 상하로 움직일 때도 상도 반대로 움직인다. 이 현미경에서는 대물렌즈에 의해 원래의 모습(제작된 프레파라트의 모습)에서 상하좌우가 바뀌게 되고 접안렌즈는 크기만 확대해주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우리가 이 현미경을 통해 보는 상은 상하좌우가 바뀐 모습이다.
* 재물대이동식현미경 : 프레파라트를 좌우로 움직이면 상은 반대로 움직이지만 상하로 움직이면 상은 움직인 방향 그대로 움직인다. 이 현미경에서는 대물렌즈에 의해 원래의 모습에서 상하좌우가 바뀌게 되며 대물렌즈와 접안렌즈 사이에 거울이 있어서 거울에 의해 상하좌우가 다시 한번 바뀌게 된다. 그리고 접안렌즈는 물체의 모습과 상관없이 크기만 확대해주는 기능을 하므로 우리가 이 현미경을 통해 보는 상은 좌우가 뒤바뀐 모습이다.
- 현미경 사용시 주의점
① 현미경을 다룰 대에는 손을 청결히 한다.
② 현미경을 이동할 때는 양손을 쓰되 한 손으로 경주를 또 한 손으로는 경각을 받쳐서 든다.
③ 현미경을 실험대위에 올려놓을 때에는 충격을 주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놓되, 실험대의 가장자리에서 충분히 안으로 들여놓는다.
④ 렌즈에는 손을 대거나 산, 기타 수분이 닿지 않도록 한다.
⑤ 자연광을 쓰는 경우, 직사광선이 비치지 않는 곳이 좋다.
⑥ 관찰이 끝난 다음에는 저배율로 돌려 렌즈와 현미경의 다른 부위를 청소하여 현미경케이스에 집어넣어야 한다. 이 때 렌즈는 양피지나 렌즈페이퍼로 닦아야 한다.
3. 준비사항 현미경
4. 실험방법
① 준비한 프레파라트를 재물대 위의 구멍 한복판에 오게 하고 클립으로 고정한다.
② 반사경을 조절하여 시야를 밝게 한다.
③ 옆에서 보면서 조동나사로 경통을 서서히 내려 대물렌즈가 거의 프레파라트에 닿게 한다.
④ 접안렌즈로 들여다보면서 조동나사를 올려서 상이 나타나게 한다.
⑤ 미동나사로 상을 더욱 또렷하게 보이도록 초점을 조절한다.
⑥ 조리개를 조절하면 상이 더욱 명확해 진다.
⑦ 대물렌즈교환기를 돌려서 고배율로 관찰한다.
+참고문헌 네이버 백과사전 "일반생물학실험"
산과바다 이계도
'과학 > 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백야 현상(白夜現象) (0) | 2009.05.27 |
---|---|
소화기관 (0) | 2008.09.01 |
[스크랩] 32만년 세월이 빚은 `황금빛 절경` (0) | 2008.04.10 |
무지개(대기과학) (rainbow) (0) | 2008.04.07 |
주상절리(株狀節理 Columnar Joint) (0) | 2008.03.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