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효행편2

명심보감 23. 효행편(孝行篇) 속(續) 산과바다 明心寶鑑(명심보감) HOME  23. 효행편(孝行篇) 속(續) 효행편·속(孝行篇·續)은 어버이를 정성을 다해 섬기라는 내용이다.  孫順 家貧 與其妻 傭作人家以養母 有兒每奪母食 順 謂妻曰 兒奪母食 兒 可得 母難再求 乃負兒往歸醉山北郊 欲埋掘地 忽有甚奇石鍾 警怪試撞之 舂容可愛 妻曰 得此奇物 殆兒之福 埋之不可 順 以爲然 將兒與鍾還家 懸於樑撞之 王 聞鍾聲 淸遠異常而覈聞其實 曰昔 郭巨 埋子 天賜金釜 今今孫順 埋兒 地出石鍾 前後符同 賜家一區 歲給米五十石손순 가빈 여기처 용작인가이양모 유아매탈모식 순 위처왈 아탈모식 아 가득 모난재구 내부아왕귀취산북교 욕매굴지 홀유심기석종 경괴시당지 용용가애 처왈 득차기물 태아지복 매지부가 순 이위연 장아여종환가 현어량당지 왕 문종성 청원이상이핵문기실 왈 석 곽거 매자 천사김.. 2024. 5. 21.
명심보감 4. 효행편(孝行篇) 산과바다 明心寶鑑(명심보감) HOME  4. 효행편(孝行篇) 효행편(孝行編)은 효는 모든 행실의 근본이니 힘써 행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詩曰 父兮生我 母兮鞠我 哀哀父母 生我劬勞 欲報深恩 昊天罔極시왈 부혜생아 모혜국아 애애부모 생아구로 욕보심은 호천망극 ▶ 시전에 가로되, “아버지 날 낳으시고 어머니 날 기르시니 슬프고 슬프도다. 어버이시어, 나를 낳아 기르시느라고 애쓰셨도다. 그 깊은 은혜를 갚고 자 할진데 넓은 하늘과 같이 끝이 없느니라.”  子曰 孝子之事親也 居則致其敬 養則致其樂 病則致其憂 喪則致其哀 祭則致其嚴자왈 효자지사친야 거칙치기경 양칙치기락 병칙치기우 상칙치기애 제칙치기엄 ▶ 공자 가로되, “효자가 어버이를 섬길진대 기거에는 공경함을 다하고 받들어 섬김에는 즐거움을 다하고, 병드신 때에는 .. 2024. 5.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