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산에는 꽃이 피네

유홍초속13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24. 9. 28. 담음 * 유홍초(留紅草)는 잎이 새 깃처럼 갈라져 있어 새깃유홍초라고도 하고  * 둥근잎유홍초는 잎이 하트모양으로 둥글어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 2024. 9. 29.
유홍초 Cypress vine 산과바다 유홍초 Cypress vine 2024. 7. 21. 담음 * 둥근잎유홍초에 비해 유홍초는 잎이 빗살같이 갈라져 새깃(가는잎) 유홍초 라고도 하는데 모두 유홍초 이군요.      유홍초 Quamoclit pennata(Desr.)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유홍초란 한자명 留紅草(유홍초)에서 온 이름이며 縷紅草(누홍초)라고도 한다.줄기는 길이 1~2m이고 덩굴이 왼쪽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있고 빗살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좌우로 퍼진다.꽃은 7~8월에 피며 홍색 또는 백색이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 2024. 7. 22.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23. 10. 7. 담음 * 유홍초(留紅草)는 잎이 새 깃처럼 갈라져 있어 새깃유홍초라고도 하고  * 둥근잎유홍초는 잎이 하트모양으로 둥글어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 2023. 10. 7.
유홍초 Cypress vine 산과바다 유홍초 Cypress vine 2023. 9. 23. 담음 * 둥근잎유홍초에 비해 유홍초는 잎이 빗살같이 갈라져 새깃(가는잎)유홍초라고도 하는데 모두 유홍초 이군요.      유홍초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유홍초란 한자명 留紅草(유홍초)에서 온 이름이며 縷紅草(누홍초)라고도 한다.줄기는 길이 1~2m이고 덩굴이 왼쪽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있고 빗살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좌우로 퍼진다.꽃은 7~8월에 피며 홍색 또는 백색이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편.. 2023. 9. 24.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20. 8. 27. 담음 * 유홍초(留紅草)는 잎이 새 깃처럼 갈라져 있어 새깃유홍초라고도 하고  * 둥근잎유홍초는 잎이 하트모양으로 둥글어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 2020. 8. 28.
유홍초 Cypress vine 산과바다 유홍초 Cypress vine  2019. 7. 12. 담음 * 둥근잎유홍초에 비해 유홍초는 잎이 빗살같이 갈라져 새깃(가는잎)유홍초라고도 하는데 모두 유홍초 이군요.      유홍초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유홍초란 한자명 留紅草(유홍초)에서 온 이름이며 縷紅草(누홍초)라고도 한다.줄기는 길이 1~2m이고 덩굴이 왼쪽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있고 빗살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좌우로 퍼진다.꽃은 7~8월에 피며 홍색 또는 백색이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화경이 나와 그 끝에 1개의 꽃이 달린다. 꽃받침은 5개로 깊게 갈라지며 열.. 2019. 7. 19.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18. 9. 24. 담음 * 유홍초(留紅草)는 잎이 새깃처럼 갈라져 있어 새깃유홍초라고도 하는데  * 둥근잎유홍초는 잎이 하트모양으로 둥글어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 2018. 9. 29.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17. 10. 13. 담음 * 유홍초(留紅草)는 잎이 새깃처럼 갈라져 있어 새깃유홍초라고도 하는데  * 둥근잎유홍초는 잎이 하트모양으로 둥글어 쉽게 구분이 되는군요.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 2017. 10. 17.
유홍초(=새깃유홍초) Cypress vine 산과바다 유홍초(=새깃유홍초) Cypress vine  2016. 10. 20. 담음 * 삭과(蒴果)가 익어가는데 늦둥이 유홍초가 꽃을 보여주니 더 예뻐보이는군요. * 둥근잎유홍초에 비해 잎이 빗살같이 갈라져 있어서 새깃(가는잎)유홍초라고도 하는군요.      유홍초 Quamoclit pennata (Desr.)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유홍초란 한자명 留紅草(유홍초)에서 온 이름이며 縷紅草(누홍초)라고도 한다.줄기는 길이 1~2m이고 덩굴이 왼쪽으로 감으면서 다른 물체에 기어 올라간다.잎은 어긋나기 하며 엽병이 있고 빗살처럼 완전히 갈라지며 열편은 선형이고 좌우로 퍼진다.꽃은 7~8월에 피며 홍색 또는 백색이고 잎겨드랑이에서 긴 .. 2016. 10. 22.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14. 9. 10. 담음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홍색이며 긴 꽃대 끝에 3∼5개씩 달린다. 꽃은 나팔꽃을 축소시킨 것과 같은 모양이고 꽃받침 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암술은 1개이다... 2014. 9. 11.
둥근잎유홍초 留紅草 Quamoclit coccinea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留紅草 Quamoclit coccinea 2013. 8. 31. 담음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홍색이며 긴 꽃대 끝에 3∼5개씩 달린다. 꽃은 나팔꽃을 축소시킨 것과 같은 모양이고 꽃받침 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2013. 8. 31.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2012. 9. 26. 담음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홍색이며 긴 꽃대 끝에 3∼5개씩 달린다. 꽃은 나팔꽃을 축소시킨 것과 같은 모양이고 꽃받침 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 2012. 9. 27.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산과바다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coccinea Moench  2011. 9. 8. 담음      둥근잎유홍초 Quamoclit angulata Bojer      속씨식물문 >쌍떡잎식물강 >통화식물목 >메꽃과 >유홍초속(Quamoclit) 메꽃과 유홍초속의 한해살이 덩굴식물로 능조라>라고도 한다. 열대 아메리카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덩굴은 나팔꽃처럼 자라면서 왼쪽으로 감아 올라간다. 길이는 3m 내외이다. 잎은 어긋나고 잎자루가 길며 심장 모양 원형이다. 잎 끝이 갑자기 뾰족해지며 밑 부분의 양쪽 끝이 뾰족한 각으로 된다.꽃은 8∼9월에 피고 노란빛을 띤 홍색이며 긴 꽃대 끝에 3∼5개씩 달린다. 꽃은 나팔꽃을 축소시킨 것과 같은 모양이고 꽃받침 수술은 각각 5개씩이며 암술은 1개이다. .. 2011. 9.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