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12. 연애(戀愛)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산바다 2025. 2. 1. 09:32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12. 연애(戀愛)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격활상사 隔闊相思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몹시 사모(思慕).
구곡간장 九曲肝腸 굽이굽이 서린 창자라는 뜻으로, 깊은 마음속 또는 시름이 쌓인 마음속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유래 
낙화유수 落花流水 1.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이라는 뜻으로, 가는 봄의 경치(景致)를 이르는 말. 2. 살림이나 세력(勢力)이 약()해져 아주 보잘것없이 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3. ‘떨어지는 꽃에 정()이 있으면 물에도 또한 정()이 있어 떨어지는 꽃은 물이 흐르는 대로 흐르기를 바라고 유수(流水)는 떨어지는 꽃을 띄워 흐르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남녀(男女)가 서로 그리워함을 이르는 말. 유래 
무산몽 巫山夢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무산우 巫山雨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무산운 巫山雲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무산지몽 巫山之夢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무산지우 巫山之雨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무산지운 巫山之雲 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백화지원 白華之怨 사랑을 잃은 여성(女性)의 슬픔.
비익조 比翼鳥 1. 암컷과 수컷의 눈과 날개가 하나씩이어서 짝을 짓지 아니하면 날지 못한다는 전설(傳說)()의 새.
2. 남녀(男女)나 부부(夫婦) 사이의 두터운 정()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사모불망 思慕不忘 사모(思慕)해 잊지 않음.
삼추지사 三秋之思 하루가 삼() () 같은 생각이라는 뜻으로, 몹시 사모(思慕)하여 기다리는 마음을 이르는 말. 출전:시경(詩經)72 采葛(채갈)-詩經王風(시경 왕풍)
상사불망 相思不忘 사랑하는 남녀(男女)가 서로 그리워해 잊지 못함.
상중 桑中 남녀(男女)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快樂)이나 풍속(風俗)의 퇴폐(頹廢)를 풍자(諷刺)하여 이르는 말. 중국(中國)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淫蕩)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상중지희 桑中之喜 남녀(男女) 간의 불의(不義)의 쾌락(快樂)이나 풍속(風俗)의 퇴폐(頹廢)를 풍자(諷刺)하여 이르는 말. 중국(中國) 위나라(--)의 공실(公室)이 음탕(淫蕩)하여 뽕나무밭에서 정을 통하였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시경(詩經) 48 桑中(상중)-詩經鄘風(시경용풍) 유래 
애급옥오 愛及屋烏 사람을 사랑하면 그 집 지붕 위에 앉은 까마귀까지도 귀엽게 보인다.’는 뜻으로, 그 사람과 연관(聯關)된 사람이나 물건(物件)까지도 사랑함을 이르는 말.
애별리고 愛別離苦 불교(佛敎)에서 말하는 팔고(八苦)의 하나. 사랑하는 사람과 헤어져야 하는 괴로움. 출전:석현기(析玄記)
연군지정 戀君之情 (임금)에 대한 그리움과 변함없는 사랑.
연리 連理 1. 여러 가지 이치(理致)를 논(). 2. 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3. 화목(和睦)한 부부(夫婦)나 남녀(男女) 사이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연리비익 連理比翼 비익조(比翼鳥)와 연리지(連理枝)’라는 뜻으로, 부부(夫婦)가 아주 화목(和睦)함을 이르는 말. 유래 
연리지 連理枝 1. 두 나무의 가지가 서로 맞닿아서 결이 서로 통한 것.
2.
화목(和睦)한 부부(夫婦)나 남녀(男女) 사이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장한가(長恨歌) - 백거이(白居易) 하늘에 있어서는 원컨대 비익조가 되고 땅에서는 원컨대 연리지가 되기를(在天願作 比翼鳥 在地願鳥 連理枝)이라고 노래 했다. 유래 
연모지정 戀慕之情 사랑하여 그리워하는 정().
연연불망 戀戀不忘 그리워서 잊지 못함.
염념불망 念念不忘 자꾸 생각나서 잊지 못함.
염념재자 念念在玆 자꾸 생각이 나서 잊지 못함.
오매불망 寤寐不忘 자나 깨나 잊지 못함.
오매사복 寤寐思服 자나 깨나 늘 생각함.
옥오지애 屋烏之愛 그 사람을 사랑하면 그의 집 지붕에 있는 까마귀까지도 사랑스럽게 보인다.’는 뜻으로, 깊은 사랑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설원(說苑)
운우락 雲雨樂 구름과 비를 만나는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婦人)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婦人)이 떠나면서 자기(自己)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 (朝雲暮雨) (雲雨之情) 유래
운우지락 雲雨之樂 구름과 비를 만나는 즐거움이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婦人)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婦人)이 떠나면서 자기(自己)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 (朝雲暮雨) (雲雨之情) 유래
운우지정 雲雨之情 구름 또는 비와 나누는 정()’이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婦人)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婦人)이 떠나면서 자기(自己)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朝雲暮雨) (雲雨樂)
의중지인 意中之人 1. 마음속에 있어서 잊을 수 없는 사람.
2.
마음속으로 지목(指目)한 사람. 출전:도연명(陶淵明)의 오언(五言) 시주적조사(示周績祖謝) - 도연명(陶淵明)
일각삼추 一刻三秋 매우 짧은 시간(時間)이 삼() () 같다.’는 뜻으로, 몹시 기다려지거나 지루한 느낌을 이르는 말.
일각여삼추 一刻如三秋 일각(一刻)이 삼() ()과 같다.’는 뜻으로, 몹시 기다려지거나 몹시 지루한 느낌을 이르는 말.
일별삼춘 一別三春 작별(作別)한 지 삼() ()이나 되었다.’는 뜻으로, 그리운 정()을 이르는 말.
일일삼추 一日三秋 하루가 삼() () 같다.’는 뜻으로,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을 이르는 말.
일일여삼추 一日如三秋 하루가 삼() () 같다.’는 뜻으로, 몹시 애태우며 기다림을 이르는 말.
일일천추 一日千秋 일일여삼추(一日如三秋)’를 강조(強調)하여 이르는 말.
전전반측 輾轉反側 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출전:시경(詩經) 01 關雎(관저)-詩經(시경) 輾轉反側(전전반측) : 잠 못 자며 뒤척이네 유래 
전전불매 輾轉不寐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이며 잠을 이루지 못함. 유래 
조운모우 朝雲暮雨 아침의 구름과 저녁의 비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초나라(--)의 회왕(懷王)이 꿈속에서 어떤 부인(婦人)과 잠자리를 같이했는데, 그 부인(婦人)이 떠나면서 자기(自己)는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되어 양대(陽臺) 아래에 있겠다고 했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송옥(宋玉)의 고당부(高唐賦) (雲雨之情) (雲雨樂) 유래 
종천지모 終天之慕 이 세상(世上) 끝날 때까지 계속(繼續)되는 사모(思慕)의 정().
척과만거 擲果滿車 던진 과일이 수레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여성(女性)이 남성(男性)에게 사랑을 고백(告白)함을 이르는 말. 유래 
파경 破鏡 1. 깨어진 거울. 2. 이지러진 달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3.
부부(夫婦)의 금슬(琴瑟)이 좋지 않아 이혼(離婚)하게 되는 일. 출전:사기(史記) 유래 
파경중원 破鏡重圓 깨진 거울이 다시 둥근 모습을 되찾다.’는 뜻으로, 생이별(生離別)한 부부(夫婦)가 다시 결합(結合)한 것. 출전:태평광기(太平廣記) 유래 
할비맹 割臂盟 팔뚝을 베어 피로 맺은 맹세(盟誓)라는 뜻으로, 남녀(男女)의 굳은 사랑의 맹세(盟誓)를 이르는 말. 출전: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 유래 
흉중생진 胸中生塵 가슴에 먼지가 생긴다.는 뜻으로, 사람을 잊지 않고 생각은 오래 하면서 만나지 못함을 일컫는 말.

 

12 한자성어 연애.hwpx
0.09MB

 

 

 

 

산과바다 이계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