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성어(漢字成語)***/한자성어(漢字成語)

5. 출중(出衆)에 관련된 漢字成語

산산바다 2025. 1. 30. 13:49

산과바다

한자성어(漢字成語) HOME

 

 

5. 출중(出衆)에 관련된 漢字成語

한글 발음 漢字成語 의미 해석
가인박명 佳人薄命 미인(美人)은 불행(不幸)하거나 병약(病弱)하여 요절(夭折)하는 일이 많음. 출전:박명가인(薄命佳人) : 소식(蘇軾) 유래 
가중연성 價重連城 여러 성()을 합()할 정도(程度)로 그 값어치가 귀중(貴重)하다는 말.
가치연성 價値連城 여러 성()을 합()할 정도(程度)로 그 값어치가 귀중(貴重)하다는 말.
각로청수 刻露淸秀 나뭇잎이 저 산 모양(模樣)이 드러나 맑고 빼어나다.’는 뜻으로, 가을 경치(景致)가 맑고 수려함을 형용(形容)해 이르는 말. 출전:구양수(歐陽脩)
간기인물 間氣人物 세상(世上)에 드문 뛰어난 인물(人物).
간성 干城 방패(防牌旁牌)와 성()’이라는 뜻으로,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군대(軍隊)나 인물(人物)을 이르는 말.
간성지재 干城之材 나라를 지키는 믿음직한 인재(人材).
간세지재 間世之材 여러 세대를 통()하여 드물게 나는 뛰어난 인재(人材).
거일반삼 擧一反三 한 가지를 들어서 세 가지를 돌이켜 안다.는 뜻으로, 한 가지 일을 미루어 모든 일을 헤아림. 매우 영리(怜悧伶俐)함을 이르는 말. 출전:논어(論語)의 술이편(述而篇) 擧一隅  不以三隅反  則不復也한 모서리를 가르쳐주었는데도 나머지 세모서리를 미루어 알지 못하면 다시 가르쳐주지 않는다.' 論語(논어) 7. 述而(술이)
경거숙로 輕車熟路 가볍고 빠른 수레를 타고 익숙한 길을 간다.’는 뜻으로, 일에 숙달(熟達)하여 조금도 막힘이나 머뭇거림이 없음을 이르는 말. 출전:한유(韓愈)
경국대재 經國大才 나랏일을 맡아 다스릴 만한 재주. 또는 그러한 재주를 가진 인물(人物).
경국지사 經國之士 나랏일을 다스릴 만한 사람.
경국지재 經國之才 국사(國事)를 경륜(經綸)할 만한 능력(能力). 또는 그러한 능력(能力)을 가진 사람.
경세도량 經世度量 세상(世上)을 다스려 나갈 만한 품성(品性).
경세지재 經世之才 세상(世上)을 다스려 나갈 만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지닌 사람.
경신읍귀 驚神泣鬼 ()이 놀라고 귀신(鬼神)이 운다.는 뜻으로, 매우 뛰어난 시문(詩文)은 귀신(鬼神)을 감동(感動)시킨다는 말 또는 그런 시문(詩文).
경화수월 鏡花水月 거울에 비친 꽃과 물에 비친 달이라는 뜻으로, 눈으로 볼 수 있으나 잡을 수는 없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시문(詩文)에서 느껴지기는 하나 표현(表現)할 수 없는 미묘(微妙)한 정취(情趣)를 이른다. 출전: 시가직설(詩家直說)
계군고학 鷄群孤鶴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人物)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혜소전(嵆紹傳)>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계군일학 鷄群一鶴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人物)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혜소전(嵆紹傳)>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계비지총 繫臂之寵 군주(君主)의 특별(特別)한 총애(寵愛)를 이르는 말. 유래 
고곡주랑 顧曲周郞 음악(音樂)을 잘못 연주(演奏)하면 주랑(周郞)이 곧 알아차리고 돌아본다.는 뜻으로, 음악(音樂)에 조예(造詣)가 깊은 사람을 가리키는 말. 출전:삼국지(三國志)
고금독보 古今獨步 고금(古今)을 통()하여 홀로 뛰어남.
고금무쌍 古今無雙 아주 뛰어나서, 예나 이제나 견줄 만한 것이 없음.
곡고화과 曲高和寡 ()이 높으면 화답(和答)하는 사람이 적다.는 뜻으로, 사람의 재능(才能)이 너무 높으면 따르는 무리들이 적어진다는 말.
공전절후 空前絕後 이전(以前)에도 없었고 앞으로도 없음.
광세지재 曠世之才 세상(世上)에서 보기 드물게 비범(非凡)한 재주. 또는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
광풍제월 光風霽月 1. 비가 갠 뒤의 맑게 부는 바람과 밝은 달. 2. 마음이 넓고 쾌활(快活)하여 아무 거리낌이 없는 인품(人品)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황정견(黃庭堅)이 주돈이(周敦頤)의 인품(人品)을 평()한 데서 유래(由來)한다. 유래 
교룡운우 蛟龍雲雨 비구름을 얻은 교룡(蛟龍)이 하늘로 비상(飛上)한다.는 뜻으로, 영웅(英雄), 풍운아(風雲兒)가 기회(機會)를 얻어 대활약(大活躍)함을 비유(比喩譬喩)한 말. 출전:오지(吳志)
교초 翹楚 잡목(雜木) 무더기 속에 높이 자란 가시나무라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에서 뛰어남. 또는 그런 사람이나 사물(事物).
구국간성 救國干城 나라를 구하는 방패(防牌旁牌)와 성().
구약현하 口若懸河 입이 급()히 흐르는 물과 같다.’는 뜻으로, 거침없이 말을 잘하는 것. 출전:한유(韓愈) 유래 
구여현하 口如懸河 입이 급()히 흐르는 물과 같다.’는 뜻으로, 거침없이 말을 잘하는 것. 출전:한유(韓愈)의 석고가(石鼓歌) 유래 
국사무쌍 國士無雙 그 나라에서 가장 뛰어난 인물(人物)은 둘도 없다.’는 뜻으로, 나라에서 견줄 사람이 없을 정도(程度)로 빼어난 선비. 출전:사기(史記) 유래 
군계일학 群鷄一鶴 닭의 무리 가운데에서 한 마리의 학()이란 뜻으로, 많은 사람 가운데서 뛰어난 인물(人物)을 이르는 말. 진서(晉書)<혜소전(嵆紹傳)>에 나오는 말이다. 유래 
금상첨화 錦上添花 비단(緋緞) 위에 꽃을 더한다.’는 뜻으로, 좋은 일 위에 또 좋은 일이 더하여짐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왕안석(王安石)의 글에서 유래(由來)한다. 북송(北宋) ,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의 한 사람인 왕안석(王安石)이 만년(晚年)에 남경(南京)에서 은둔(隱遁隱遯)할 때 지은 시() 즉사(卽事)에 나오는 구절(句節)이다. 강물은 남쪽 정원(庭園)으로 흘러 서쪽 언덕으로 기울고, 바람에 영롱(玲瓏)한 이슬이 아름답구나. 문 앞 버드나무는 옛사람 도잠(陶潛)의 집이고, 우물가 오동나무는 옛 총지(總持)의 집이라. 아름다운 초대(招待)에 맑은 술을 술잔에 따라 마시고, 즐거운 노랫가락은 비단(緋緞) 위에 꽃을 더하네. 무릉도원(武陵桃源)에서 대접(待接)받으니 냇물에는 붉은 노을이 아직도 많구나.유래 
금제옥회 金虀玉膾 () 같은 무침 요리(料理)와 옥() 같은 생선회(生鮮膾)’라는 뜻으로, 맛있는 요리(料理)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기수 琪樹 1. 선경(仙境)에 있다는 옥()같이 아름다운 나무. 2. 눈이 많이 쌓인 나무의 모양(模樣). 3. ‘아름다운 나무라는 뜻으로,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이르는 말.
기화가거 奇貨可居 진기(珍奇)한 물건(物件)은 잘 간직하여 나중에 이익(利益)을 남기고 판다.’는 뜻으로, 좋은 기회(機會)를 놓치지 말아야 함을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의 여부위열전(呂不韋列傳) 유래 
낙양지귀 洛陽紙貴 낙양(洛陽)의 종이가 귀()해졌다.’는 뜻으로, 문장(文章)이나 저서(著書)가 호평(好評)을 받아 잘 팔림을 이르는 말. 또는 쓴 글의 평판(評判)이 널리 알려짐. 출전:진서(晉書) 유래 
낙필점승 落筆點蠅 붓 떨어진 자리에 파리를 그려 그림을 살려내다.’라는 뜻으로, 화가(畫家)의 훌륭한 솜씨를 이르는 말. 출전: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 유래 
낭묘지기 廊廟之器 묘당(廟堂)에 앉아 나라의 정무(政務)에 참여(參與)할 만한 인물(人物)이라는 뜻으로, 재상(宰相)이 될 만한 인물(人物)을 말함. 출전:삼국지(三國志)의 촉지(蜀志)
낭중지추 囊中之錐 주머니 속의 송곳이라는 뜻으로, 재능(才能)이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에게 알려짐을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의 평원군전(平原君傳) 유래 
노반운제 魯般雲梯 노반(魯般)의 운제(雲梯)’라는 뜻으로, 노반(魯般)처럼 기계(機械) 따위를 교묘(巧妙)하게 잘 만드는 재주. 유래 
노반지교 魯般之巧 노반(魯般)처럼 기계(機械) 따위를 교묘(巧妙)하게 잘 만드는 재주. 유래 
능서불택필 能書不擇筆 글씨를 잘 쓰는 이는 붓을 가리지 않는다.’는 뜻으로, 일에 능()한 사람은 도구를 탓하지 않음을 이르는 말. 출전:당서(唐書) 유래 
능자다로 能者多勞 유능(有能)한 사람은 남보다 더 수고함. 능력(能力)이 있는 사람일수록 필요(必要) 이상(以上)의 수고를 하게 됨. 출전:장자(莊子)
대인호변 大人虎變 호랑이털이 가을에 그 무늬가 뚜렷해지듯 큰사람은 호랑이와 같이 변한다.는 뜻으로, ()이 높은 사람이 정치(政治)를 하게 되면 세상(世上)을 근본적(根本的)으로 선명(鮮明)하게 변화(變化)시킴을 이르는 말. 출전:역경(易經)49 택화혁(澤火革)
도리만천하 桃李滿天下 복숭아와 오얏(자두)이 천하(天下)에 가득하다.’는 뜻으로, 우수(優秀)한 문하생(門下生)이 많음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출전:자치통감(資治通鑑) 유래 
독안용 獨眼龍 1. 애꾸눈의 영웅(英雄). 2. 애꾸눈을 가진, 지혜(智慧知慧)와 덕망(德望)이 높은 승려(僧侶). 출전:오대사(五代史) 유래 
동량 棟梁(棟樑) 1. 마룻대와 들보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마룻대와 들보로 쓸 만한 재목(材木)’이라는 뜻으로, 집안이나 나라를 떠받치는 중대(重大)한 일을 맡을 만한 인재(人材)를 이르는 말.
동량재 棟梁材 마룻대와 들보로 쓸 만한 재목(材木)’이라는 뜻으로, 집안이나 나라를 떠받치는 중대(重大)한 일을 맡을 만한 인재(人材)를 이르는 말.
동량지기 棟梁之器 들보와 같은 그릇이라는 뜻으로, 한 집안이나 나라의 기둥이 될 만한 재목(材木)을 가리키는 말이다.
동량지신 棟梁之臣 한 나라의 중요(重要)한 책임(責任)을 맡아 수행(遂行)할 만한 신하(臣下).
동량지재 棟梁之材 마룻대와 들보로 쓸 만한 재목(材木)’이라는 뜻으로, 집안이나 나라를 떠받치는 중대(重大)한 일을 맡을 만한 인재(人材)를 이르는 말.
두남일인 斗南一人 북두칠성(北斗七星)의 남쪽(-)에서 제일(第一)가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천하(天下)에 으뜸가는 훌륭한 인물(人物)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당서(唐書) 유래 
등교기봉 騰蛟起鳳 뛰어오르는 교룡(蛟龍)과 날아오르는 봉황(鳳凰)’이라는 뜻으로, 재능(才能)이 뛰어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만록총중홍일점 萬綠叢中紅一點 전체(全體)가 푸른 잎으로 덮인 가운데 한 송이의 붉은 꽃이 피어 있다.’는 뜻으로, 평범(平凡)한 것이 많은 가운데서 하나가 뛰어남. 또는 많은 남자(男子) 가운데 여자(女子)가 한 사람 끼여 있음을 이르는 말.
명세재 命世才 한 시대(時代)를 바로잡아 구원(救援)할 만한 큰 인재(人材).
명세지재 命世之才 1. 한 시대(時代)를 바로잡아 구원(救援)할 만한 큰 인재(人材).
2. ‘맹자(孟子)’의 다른 이름.
명주출로방 明珠出老蚌 오래 묵은 조개에서 명주(明珠)가 나온다.는 뜻으로, 보잘것없는 어버이가 뛰어난 자식(子息)을 낳은 것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출전:삼보결록(三輔決錄)
무불통달 無不通達 무슨 일이든지 환히 통()하여 모르는 것이 없음.
무불통지 無不通知 무슨 일이든지 환히 통()하여 모르는 것이 없음.
무소부지 無所不知 알지 못하는 바가 없다.’는 뜻으로, 모르는 것이 없음.
무소불능 無所不能 능통(能通)하지 않은 것이 없음.
문무겸비 文武兼備 문식(文識)과 무략(武略)을 모두 갖추고 있음.
문일지십 聞一知十 하나를 듣고 열 가지를 미루어 안다.’는 뜻으로, 지극(至極)히 총명(聰明)함을 이르는 말. 논어(論語)<공야장편(公冶長篇)>에 나오는 말이다.  聞一以知十論語(논어) 5. 公冶長(공야장)  유래 
미인박명 美人薄命 미인(美人)은 불행(不幸)하거나 병약(病弱)하여 요절(夭折)하는 일이 많음.
미증유 未曾有 (只今)까지 한 번도 있어 본 적이 없음.
박람강기 博覽強記 여러 가지의 책()을 널리 많이 읽고 기억(記憶)을 잘함.
박문강기 博聞強記 사물(事物)을 널리 알고 이를 잘 기억(記憶).
박문강식 博聞強識 널리 사물(事物)을 보고 들어 잘 기억(記憶)하고 있음.
박문강지 博聞強知 널리 사물(事物)을 보고 들어 잘 기억(記憶)하고 있음.
박학다식 博學多識 학식(學識)이 넓고 아는 것이 많음.
발군 拔群 여럿 가운데에서 특별(特別)히 뛰어남.
백낙일고 伯樂一顧 명마(名馬)가 백낙(伯樂)을 만나 세상(世上)에 알려진다.’는 뜻으로, 자기(自己)의 재능(才能)을 알아주는 사람을 만나 대접(待接)을 잘 받음을 이르는 말. 출전:전국책(戰國策) 유래 
백미 白眉 흰 눈썹이라는 뜻으로, 여럿 가운데에서 가장 뛰어난 사람이나 훌륭한 물건(物件)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중국(中國) 촉한(蜀漢) 때 마씨(馬氏) 다섯 형제(兄弟)가 모두 재주가 있었는데 그중(-)에서도 눈썹 속에 흰 털이 난 마량(馬良)이 가장 뛰어났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삼국지(三國志) 유래 
백전노장 百戰老將 1. 수많은 싸움을 치른 노련(老鍊)한 장수(將帥).
2. 온갖 어려운 일을 많이 겪은 노련(老鍊)한 사람.
불세출 不世出 좀처럼 세상(世上)에 나타나지 아니할 만큼 뛰어남.
비이소사 匪夷所思 보통(普通) 사람으로서는 헤아리지 못할 생각이나 평범(平凡)하지 않는 생각.
사공명주생중달 死孔明走生仲達 죽은 제갈공명(諸葛孔明)이 살아 있는 중달(仲達)을 도망치게 한다.’는 뜻으로, 죽은 뒤에도 적()이 두려워할 정도(程度)로 뛰어난 장수(將帥) 또는 겁쟁이를 비유한 말. 출전:삼국지(三國志)
사차불후 死且不朽 죽더라도 썩어 없어지지 않는다.’는 뜻으로, 몸은 죽어 없어져도 명성(名聲)만은 그대로 후세(後世)에 길이 전()함을 이르는 말.
사회부연 死灰復燃 다 탄 재가 다시 불이 붙었다.’는 뜻으로, 세력(勢力)을 잃었던 사람이 다시 세력(勢力)을 잡음. 혹은 곤경(困境)에 처해 있던 사람이 훌륭하게 됨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출전:사기(史記)의 한 장유열전(韓長孺列傳) 유래 
삼고지례 三顧之禮 인재(人材)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勞力).
삼고초려 三顧草廬 인재(人材)를 맞아들이기 위하여 참을성 있게 노력(勞力). 중국(中國) 삼국시대(三國時代), 촉한(蜀漢)의 유비(劉備)가 난양(南陽)에 은거(隱居)하고 있던 제갈량(諸葛亮)의 초옥(草屋)으로 세 번이나 찾아갔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삼국지(三國志)의 촉지(蜀志) 유래 
삼촌설 三寸舌 길이가 세 치밖에 안 되는 짧은 혀라는 뜻으로, 사람을 움직이게 하는 뛰어난 언변(言辯)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전국시대(戰國時代)에 평원군(平原君)의 식객(食客) 노릇을 하던 모수(毛遂)라는 사람이 세 치밖에 안 되는 혀로 초나라(--)의 구원병(救援兵) 20()을 파견(派遣)하게 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출전(出典)사기(史記)<평원군전(平原君傳)>이다.
삼촌지설 三寸之舌 세 치의 혀라는 뜻으로, 뛰어난 말재주를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
삼촌지설강어백만지사 三寸之舌彊於百萬之師 세 치의 혀가 백만 명()의 군대(軍隊)보다 더 강()하다.’는 뜻으로, 뛰어난 말재주를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
상산사세 常山蛇勢 상산의 뱀 같은 기세(氣勢)’라는 뜻으로, ()이 공격(攻擊)하면 조직적(組織的)이고 긴밀(緊密)히 연락(連絡聯絡)하여 대처(對處)하는 것이나 앞과 끝이 잘 맺어진 완벽(完璧)한 문장(文章)을 비유(比喩譬喩)한 말. 출전:손자(孫子) 유래 
선재 仙才 신선(神仙)과 같은 재능(才能)이란 뜻으로, 뛰어난 재주를 일컫는 말.
선재귀재 仙才鬼才 평범(平凡)하고 속()된 것을 초월(超越)한 재주.
섬섬옥수 纖纖玉手 가녀리고 가녀린 옥 같은 손이라는 말로, 가냘프고 고운 여자(女子)의 손.
수화지재 隋和之材 수후지주(隋侯之珠)와 화씨지벽(和氏之璧)과 같이 천하(天下)의 귀중(貴重)한 보배라는 뜻으로, 뛰어난 인재(人材)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는 수후지주(隋侯之珠), ()는 화씨지벽(和氏之璧)을 말한다. 유래 
십보방초 十步芳草 열 걸음 안에 아름다운 꽃과 풀이 있다.는 뜻으로, 세상(世上)에는 훌륭한 사람 또는 인재(人材)가 많음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압권 壓卷 1. 여러 책()이나 작품(作品) 가운데 제일(第一) 잘된 책()이나 작품(作品). 고대(古代) 중국(中國)의 관리(官吏) 등용(登用登庸) 시험(試驗)에서 가장 뛰어난 답안지(答案紙)를 다른 답안지(答案紙) 위에 얹어 놓았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2. 하나의 책()이나 작품(作品) 가운데 가장 잘된 부분(部分).
3. 여럿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 유래 
연대지필 椽大之筆 1. ‘서까래만 한 큰 붓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대문장(大文章)이나 대논문(大論文)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남조(南朝) 시대(時代)의 감엄(江淹)이 꿈에 곽박(郭璞)에게 서까래만 한 큰 붓을 받은 후() 훌륭한 문장(文章)을 남겼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 2. 훌륭한 문장(文章)을 짓는 재능(才能). 3. 다른 사람의 문장(文章)을 칭송(稱頌)하여 이르는 말.
연석보천 鍊石補天 돌을 다루어 무너진 하늘을 수리(修理)한다.’는 뜻으로, 큰 공적(攻積)을 세움을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 유래 
연성지보 連城之寶 여러 성()을 합()할 정도(程度)로 그 값어치가 귀중(貴重)하다는 말.
영탈 穎脫 주머니 속의 송곳 끝이 밖으로 튀어나와 있다.’는 뜻으로, 뛰어나고 훌륭한 재능(才能)이 밖으로 드러나는 데가 있음을 이르는 말.
옥수 玉樹 아름다운 나무라는 뜻으로, 재주가 뛰어난 사람을 이르는 말.
왕좌지재 王佐之材 임금을 도와서 나라의 큰일을 할 만한 인물(人物).
왕좌지재 王佐之才 임금을 도울 만한 재능(才能).
요요작작 夭夭灼灼 나이가 젊고 용모(容貌)가 꽃같이 아름다움.
요요정정 夭夭貞靜 나이가 젊고 용모(容貌)가 아름다우며 마음이 올바르고 침착(沈着).
월궁항아 月宮姮娥 1. 전설(傳說)에서, 달에 있는 궁()에 산다는 선녀(仙女). 2. 견줄 만한 사람이 없을 정도(程度)로 아름다운 여자(女子)를 비유적(比喩的譬喩的)으로 이르는 말.
유서지재 柳絮之才 여자(女子)의 뛰어난 글재주. 유래 
유어출청 遊魚出聽 거문고 소리가 빼어나 물고기가 떠올라 들을 정도(程度)’라는 뜻으로, 재주가 뛰어남을 칭찬(稱讚)하여 이르는 말. 출전:순자(荀子)
의마재 倚馬才 말에 의지(依支)하여 기다리는 동안에 긴 문장(文章)을 지어 내는 글재주라는 뜻으로, 글을 빨리 잘 짓는 재주를 이르는 말. 출전:세설신어(世說新語)
의마지재 倚馬之才 말에 의지(依支)하여 기다리는 동안에 긴 문장(文章)을 지어 내는 글재주라는 뜻으로, 글을 빨리 잘 짓는 재주를 이르는 말. 출전:세설신어(世說新語) 유래 
의마칠지 倚馬七紙 말에 의지(依支)해 기다리는 사이에 일곱 장의 종이에 가득 쓴다.’는 뜻으로, 글을 빨리 잘 짓는 것, 대단히 훌륭한 문재(文才)를 말함. 출전:세설신어(世說新語) 유래 
이극구당 履屐俱當 맑은 날에는 신으로 쓰고 궂은 날에는 나막신으로 쓴다.’는 뜻으로, 온갖 재주를 구비(具備)하여 모든 일을 능란(能爛)하게 다룰 수 있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인자무적 仁者無敵 어진 사람은 널리 사람을 사랑하므로 천하(天下)에 적대(敵對)할 사람이 없음. 출전:孟子(맹자) 5. 可使制挺(가사제정)
일기당천 一騎當千 한 사람의 기병(騎兵)이 천() 사람을 당()한다.’는 뜻으로, 싸우는 능력(能力)이 아주 뛰어남을 이르는 말.
일세지웅 一世之雄 그 시대(時代)에 대적(對敵)할 만한 사람이 없을 정도(程度)로 뛰어난 사람.
일수백확 一樹百穫 나무 한 그루를 심어서 백() 가지의 이익(利益)을 본다.’는 뜻으로, 유능(有能)한 인재(人材) 하나를 길러 여러 가지 효과(效果)를 얻음을 이르는 말. 출전:관자(管子)
일일천리 一日千里 1. ‘하루에 천() ()를 달린다.’는 뜻으로, 말이 매우 빨리 달림을 이르는 말. 2. 발전(發展)하는 속도(速度)가 빠름. 3. 물의 흐름이 빠름.
일필 逸筆 뛰어난 붓놀림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글이나 그림. 또는 그런 재능(才能).
자성일가 自成一家 자기(自己) 혼자의 힘으로 어떤 재주나 기술(技術)에 통달(通達)하여 따로 일가(一家)를 이룸.
전대미문 前代未聞 지난 시대(時代)에는 들어 본 적이 없다.’는 뜻으로, 이제까지 들어 본 적이 없음.
전대지재 專對之才 남의 물음에 지혜(智慧知慧)롭게 혼자 대답(對答)할 수 있어, 외국(外國)의 사신(使臣)으로 보낼 만한 인재(人材).
전인미답 前人未踏 1. 이제까지 그 누구도 가 보지 못함. 2. 이제까지 그 누구도 손을 대어 본 일이 없음.
절인지력 絕人之力 남보다 훨씬 뛰어난 힘.
정대고명 正大高明 정대(正大)하고도 높고 밝다.’는 뜻으로, 대현(大賢)의 학덕(學德)을 형용(形容)하는 말.
족탈불급 足脫不及 맨발로 뛰어도 따라가지 못한다.’는 뜻으로, 능력(能力)ㆍ역량(力量)ㆍ재질(才質) 따위가 두드러져 도저(到底)히 다른 사람이 따라가지 못할 정도(程度)임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준골 駿骨 준마(駿馬)의 골상(骨相)’이라는 뜻으로, 현명(賢明)한 인재(人材)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준량 駿良 1. ‘아주 좋은 말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인재(人材)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2. 뛰어나게 좋음.
준족 駿足 1. 발이 빠른 좋은 말. 2. 빠르게 잘 달림. 또는 그런 사람. 3. 뛰어난 인재(人材)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중니재생 仲尼再生 공자(孔子)가 다시 태어났다.’는 뜻으로, 공자(孔子)에 버금갈 정도(程度)로 현명(賢明)함을 이르는 말. 중니(仲尼)는 공자(孔子)의 자(). 유래 
지피지기 知彼知己 ()의 사정(事情)과 나의 사정(事情)을 자세(仔細子細)히 앎. 손자(孫子)<모공편(謀攻篇)>에 나온 말이다. 知彼知己 百戰不殆〕〔不知彼不知己 每戰必敗유래 
직금회문 織錦回文 비단(緋緞)으로 회문(回文)을 짜 넣다.는 뜻으로, 구성(構成)이 절묘(絕妙)한 훌륭한 문학작품(文學作品)을 비유(比喩譬喩). 출전:진서(晉書)
천의무봉 天衣無縫 1. ‘천사(天師)의 옷은 꿰맨 흔적(痕跡痕迹)이 없다.’는 뜻으로, 일부러 꾸민 데 없이 자연(自然)스럽고 아름다우면서 완전(完全)함을 이르는 말. 태평광기(太平廣記)의 곽한(郭翰)의 이야기에 나오는 말로, ()로 시가(詩歌)나 문장(文章)에 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2. 완전무결(完全無缺)하여 흠()이 없음을 이르는 말. 3. 세상사(世上事)에 물들지 아니한 어린이와 같은 순진(純眞)함을 이르는 말. 유래 
천하일품 天下一品 비교(比較)할 수 없을 정도(程度)로 뛰어남.
청출어람 靑出於藍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弟子)나 후배(後輩)가 스승이나 선배(先輩)보다 나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순자(荀子)<권학편(勸學篇)>에 나오는 말이다. 출전:순자(荀子)의 권학편(勸學篇) 유래 
청출어람이청어람 靑出於藍而靑於藍 푸른 색이 쪽에서 나왔으나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弟子)가 스승보다 나은 것을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출전:순자(荀子)의 권학편(勸學篇) 유래 
추낭 錐囊 송곳이 든 주머니라는 뜻으로, 재능(才能)이 뛰어난 사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의 평원군전(平原君傳) 유래 
추처낭중 錐處囊中 송곳이 주머니에 있으면 그 끝이 밖으로 뚫고 나오는 것과 같이 재능(才能) 있는 사람은 머지않아 그 재능(才能)이 알려지기 마련임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사기(史記)의 평원군전(平原君傳) 유래 
출람 出藍 쪽에서 뽑아낸 푸른 물감이 쪽보다 더 푸르다.’는 뜻으로, 제자(弟子)나 후배(後輩)가 스승이나 선배(先輩)보다 나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순자(荀子)<권학편(勸學篇)>에 나오는 말이다. 출전:순자(荀子)
출람지예 出藍之譽 제자(弟子)가 스승보다 낫다는 평판(評判)이나 명성(名聲). 출전:순자(荀子)
출중 出衆 여러 사람 가운데서 특별(特別)히 두드러짐.
칠보재 七步才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을 만한 재주라는 뜻으로, 아주 뛰어난 글재주를 이르는 말. 중국(中國) 위나라(--)의 시인(詩人) 조식(曹植)이 형() 조비(曹丕)의 명()에 따라 일곱 걸음을 걸을 동안에 시()를 지었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유래  콩대를 태워서 콩을 삶으니, 가마솥 속에 있는 콩이 우는구나. 본디 같은 뿌리에서 태어났건만, 어찌하여 이다지도 급히 삶아대는가.(煮豆燃豆萁 豆在釜中泣 本是同根生 相煎何太急)
탁려풍발 踔厲風發 논변(論辯)이 탁절(卓絕)하고 날카로워 바람처럼 세차게 입에서 나온다.는 뜻으로, 재기(才氣)가 뛰어나 다른 것과는 비교(比較)가 안되는 상태(狀態)를 이르는 말. 출전:한유(韓愈)
탄주지어불유지류 呑舟之魚不遊枝流 큰 고기는 지류(支流)에서 놀지 않는다.’는 뜻으로, 현자(賢者)는 항상(恒常) 고상(高尙)한 뜻을 지님을 비유(比喩譬喩)해 이르는 말. 출전:열자(列子)
태산북두 泰山北斗 1. 태산(泰山)과 북두칠성(北斗七星)을 아울러 이르는 말. 2. 세상(世上) 사람들로부터 존경(尊敬)받는 사람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출전:당서(唐書) 유래 
파벽 破僻 양반(兩班)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人口數)가 적은 성씨(姓氏)에 인재(人材)가 나서 본래(本來)의 미천(微賤)한 상태(狀態)를 벗어남.
파옹구우 破甕救友 옹기(장독 따위의)를 깨뜨려서 친구(親舊)를 구()한다는 뜻. 출전:송사(宋史) 유래
파천황 破天荒 1. 이전(以前)에 아무도 하지 못한 일을 처음으로 해냄을 이르는 말. 북몽쇄언(北夢瑣言)에 나오는 말로, 중국(中國) 당나라(--)의 형주(荊州) 지방(地方)에서 과거(科擧)의 합격자(合格者)가 없어 천지(天地)가 아직 열리지 않은 혼돈(混沌渾沌)한 상태(狀態)라는 뜻으로 천황(天荒)이라고 불리었는데 유세(劉蛻)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합격(合格)하여 천황(天荒)을 깼다는 데서 유래(由來)한다.
2. 양반(兩班)이 없는 시골이나 인구수(人口數)가 적은 성씨(姓氏)에 인재(人材)가 나서 본래(本來)의 미천(微賤)한 상태(狀態)를 벗어남. 유래 
팔방미인 八方美人 1. 어느 모로 보나 아름다운 미인(美人). 2. 누구에게나 두루 곱게 보이는 방법(方法)으로 처세(處世)하는 사람. 3. 여러 방면(方面)의 일에 능통(能通)한 사람.
하필성문 下筆成文 붓을 들어 쓰기만 하면 문장(文章)이 이루어진다.’는 뜻으로, 뛰어난 글재주를 비유(比喩譬喩)하는 말. 출전:삼국지(三國志)
하필성장 下筆成章 붓을 대면 문장(文章)이 된다.’는 뜻으로, 글을 짓는 것이 빠름을 이르는 말.
하필성편 下筆成篇 붓을 대면 문장(文章)이 된다.’는 뜻으로, 글을 짓는 것이 빠름을 이르는 말.
학립계군 鶴立鷄群 닭이 많은 곳에 학이 서 있다.는 뜻으로, 눈에 띄게 월등(越等)함을 이르는 말. 출전:고사성어고(故事成語考) 유래 
홍곡 鴻鵠 큰 기러기와 고니라는 뜻으로, 포부(抱負)가 원대(遠大)하고 큰 인물(人物)을 이르는 말.
홍점지익 鴻漸之翼 큰 기러기의 날개는 한 번() 날갯짓을 해서 천() ()를 날아갈 수 있을 만큼 강력(強力)한 것이라는 뜻으로, 뛰어난 재능(才能)이나 위대(偉大)한 능력(能力) 또는 그런 재능(才能)을 가진 사람을 이르는 말. 출전:한서(漢書)
화룡점정 畫龍點睛 무슨 일을 하는 데에 가장 중요(重要)한 부분(部分)을 완성(完成)함을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을 그리고 난 후()에 마지막으로 눈동자(-瞳子)를 그려 넣었더니 그 용()이 실제(實際) ()이 되어 홀연히 구름을 타고 하늘로 날아 올라갔다는 고사(故事)에서 유래(由來)한다출전:수형기(水衡記) 유래 
화중신선 花中神仙 여러 가지 꽃 가운데 신선(神仙)’이라는 뜻으로, ‘해당화(海棠花)’를 달리 이르는 말. 출전:군방보(群芳譜)
화중왕 花中王 여러 가지 꽃 가운데 왕()’이라는 뜻으로, ‘모란꽃(牡丹-)’을 달리 이르는 말.
환골탈태 換骨奪胎 1. ‘뼈대를 바꾸어 끼고 태()를 바꾸어 쓴다.’는 뜻으로, 고인(古人)의 시문(詩文)의 형식(形式)을 바꾸어서 그 짜임새와 수법(手法)이 먼저 것보다 잘되게 함을 이르는 말. 중국(中國) 남송(南宋)의 승려(僧侶) 혜홍(惠洪)<냉재야화(冷齋夜話)>에 나오는 말이다. 2. 사람이 보다 나은 방향(方向)으로 변()하여 전혀(-) 딴 사람처럼 됨. 유래 
후기지수 後起之秀 후배(後輩) ()의 뛰어난 인물(人物)을 이르는 말.
후생각고 後生角高 뒤에 난 뿔이 우뚝하다.’는 뜻으로, 제자(弟子)나 후배(後輩)가 스승이나 선배(先輩)보다 뛰어날 때 이르는 말.
희대미문 稀代未聞 매우 드물어 좀처럼 듣지 못함.

 

5 한자성어 출중.hwpx
0.12MB

 

 

 

 

산과바다 이계도